$\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대별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Research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by Ag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2= no.51, 2013년, pp.203 - 211  

이완석 (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예기훈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안선정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신범주 (부산대학교 IT응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양안으로 사물을 주시할 때 우세안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 시 우세안의 중요성이 크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양안에 있어서 굴절력의 변화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186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 test법을 통한 우세안을 검사하였다. 검사의 일관성을 위해 동일인이 측정하였으며,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3회 반복 실시하였다. Spss통계를 통해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자 186명 중 우안 우세안은 135명, 좌안 우세안은 51명이었다. 굴절이상 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10세 이전(평균 $8.8{\pm}1.18$세)과 본격적으로 굴절이상이 발생하는 10세에서 20세 사이(평균 $14.1{\pm}2.58$세), 그리고 시력안정화 시기에 접근하는 20세 이후(평균 $51.8{\pm}17.51$) 모두 우세안의 시력이 비우세안보다 시력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시성 난시에 있어서 우세안의 난시 굴절력 평균값이 비우세안 난시안의 평균값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7<0.05). 결론: 양안 중에서 전체적으로 난시도가 작고 균형 잡힌 눈이 우세안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hen we look at the object, we used the dominant eye mainly. For this reason, a prescription of the dominant eye is an important factor for glasses and contact lenses. This study evaluated visual acuity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through analyzing refractive power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시 도를 진행 정도에 따라 약도 근시, 중등도 근시, 그리고 고도 근시로 구분하여 근시가 약했을 때와 근시의 진행이 많이 진행된 경우의 실제 우세안과 비우세안간의시력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시 도의 진행 정도와 상관없이 우세 안의 시력이 비우세안보다 다소 높았으나 역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근시, 정시, 그리고 원시로 분류하여 각 굴절이상 종류별로 우세안의 시력 변화 및 근시정도를 알아보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시도를 진행 정도에 따라 경도 근시, 중등도 근시, 그리고 고도근시로 구분하여 근시의 진행이 많이 진행된 경우 실제 우세안과 비우세안간의 시력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시 도의 진행정도와 상관없이 우세 안의 시력이 비 우세 안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우위적으로 시력 기능을 사용할수록 시력 자체의 변화가 더 민감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들의 양안을 조사하여 우세 안과 비우세 안을 구분한 다음 현재 발생한 굴절이상의 형태를 근시, 정시, 원시, 난시로 나누고, 이를 다시 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라 고도, 중도, 약도 굴절이상으로 세분화하여 우세 안과 비우세 안의 시력과 굴절 이상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특히 연령대를 나누어 시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유년기와 신체의 성장과 작업환경에 따라 시력이 현저하게 변하는 시력 민감 기인 청소년기 그리고 안정기에 접어드는 청, 장년기에 있어서 시력과 우세안과 비우세 안의 변화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서 우세안과 비우세 안의 처방에 조금 더 올바르게 대응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사회 환경이 근거리 작업에 깊숙이 노출되는 시대로 접근하면서 근시 환자의 증가가 과도한 근거리 작업을 통해 조절을 직간접적으로 유발하여 후천적으로 근시를 유발할 것이라는 가정이 힘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11] 이에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눈은 주도적으로 근거리 시 생활에 작용하기 때문에 근시가 진행될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시력 변화가 안정되는 연령까지 근시가 더 진행되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령대로 나누어 양안의 우세안과 비우세 안의 시력변화를 그 진행 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Park HJ, Yoo GC, Kim JM.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ant eye and visual functions. Korean J Vis Sic. 2000;2(1):25-32. 

  2. Lee HJ, Chang CS. The study of corrected lens and dominan eye in elementary school. J Korea phthalmol Soc. 2003;8(2):53-56. 

  3. Koo BS, Cho YA. The relationship of dominant eye, dominant hand, and deviated eye in strabismus. J Korean Ophtanlmol Soc. 1996;37(8):1277-1282. 

  4. Robison SE, Block SS, Boudreaux JD, Flora RJ. Handeye dominance in a population with mental handicaps : prevalence and a comparison of methods. J Am Optom Assoc. 1999;70(9):563-570. 

  5. Duke-Elder WS. The physiology of the eye and of vision. system of ophthalmology, 4th Ed. St Louis: CV Mosby, 1968;687. 

  6. Choi JS, Ko CJ. A study on dominant eye. J Korea Ophthalmol Soc. 1983;24(3):459-462. 

  7. Coren S. Sensorimotor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eye dominance and handedness. Percept Mot Skills. 1999; 88(2):424-426. 

  8. Park HJ, Yoo GC, Kim JM. The study on the dominant eye tests and application. Korean J Vis Sic. 2000;2(2): 161-167. 

  9. Sonby A, Leary GA, Feaser GR. Family studies on ocular refraction & Its components. J Med Gent. 1966;3(4):269-273. 

  10. Saw SM, Nieto FJ, Katz J, Schein OD, Levy B. Chew SJ.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2000;77(10):549-554. 

  11. Saw SM, Chua WH, Hong CY. Wu HM, Chan WY, Chia KS, et al. Near-work in early-onset myopia. Invest Ophthal Vis Sci. 2002;43(2):332-339. 

  12. Joo SH, Shim MS, Shim HS. A clinical study on relation among accommodative amplitude, response, and facility in young adults. J. Korean Oph Opt Soc. 2009;14(1): 121-125. 

  13. Teikari JM, O'Donnell. Astigmatism in 72 twins. Cornea. 1989;8(4):263-266. 

  14. Zeki SM. Optic nerve hypoplasia and astigmatism: a new association Br J Ophth. 1990;74:297-299. 

  15. Nitta M, Shimizu K, Niida T. The influence of ocular dominance on monovision-the influence of strength of ocular dominance on visual functions. Nihon Ganka Gakkai Zasshi. 2007;111(6):44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