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헐외사시에서 과교정 (-)렌즈가 입체시 및 사시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ercorrection (-)Lens on Stereo-acuity and Angle of Devi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3 = no.52, 2013년, pp.305 - 311  

김영청 (전남대학교 의학과) ,  박상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간헐외사시의 비수술적 치료법들 중의 하나인 과교정 (-)렌즈 처방이 입체시와 사시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간헐외사시로 진단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1.00, -2.00, 그리고 -3.00 D의 단계적인 과교정 (-)렌즈를 착용하게 한 후 근거리(33 cm)와 원거리(6 m)에서 사시각(prism diopter, ${\Delta}$), 입체시(second of arc, arcsec), 양안시력(LogMAR), 사시조절능력(control of exodeviation) 및 워쓰4등검사를 이용한 융합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과교정 전의 평균 사시각은 근거리 $20.9{\pm}9.7$ ${\Delta}$, 원거리 $23.0{\pm}7.5$ ${\Delta}$이다. -1.00, -2.00, -3.00 D의 (-)렌즈 착용 시 근거리 사시각은 각각 $18.5{\pm}10.0$ ${\Delta}$ (p<0.01), $15.8{\pm}9.0$ ${\Delta}$ (p<0.01), 그리고 $14.0{\pm}9.1$ ${\Delta}$ (p<0.01)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원거리 사시각은 -2.00 D 및 -3.00D의 렌즈 착용 시 각각 $21.4{\pm}5.2$ ${\Delta}$ (p=0.01), $19.6{\pm}6.3$ ${\Delta}$ (p<0.01)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양안시력, 사시조절능력, 융합력, 입체시는 과교정 (-)렌즈를 처방하더라도 의미 있는 감소를 보이지 않고 유지되었다(p>0.05). 결론: 간헐외사시에서 과교정 (-)렌즈 처방은 근거리 및 원거리 외사시각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과교정 시 양안시력과 입체시는 감소하지 않고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scription of overcorrection (-) lens, which is the one of the non-surgical treatments, on stereo-acuity and angle of devi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Twenty four children with intermittent exotropia were enrolled from Octo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9] 또한, 간헐외사시와 입체시의 관계에 대한 여러 연구들 또한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 렌즈의 처방이 원거리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된 바 있다」10-13]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 렌즈가 사시각 또는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헐외사시로 진단받은 환아에서 -1.00 D에서 -3.00 D 의 (-) 렌즈 착용이 양안시력, 근거리와 원거리 사시각 및 근거리와 원거리 입체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ah SH, Jun HS, Kim SH. An epidemiologic survey of strabismus among school-children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1997;38(12):2195-2199. 

  2. Nusz KJ, Mohney BG, Diehl NN. The course of intermittent exotropia in a population-based cohort. Ophthalmology. 2006;113(7):1154-1158. 

  3. Romanchuk KG, Dotchin SA, Zurevinsky J. The natural history of surgically untreated intermittent exotropia-looking into the distant future. J AAPOS. 2006;10(3):225-231. 

  4. Stathacopoulos RA, Rosenbaum AL, Zanoni D, Stager DR, McCall LC, Ziffer AJ, et al. Distance stereoacuity. assessing control in intermittent exotropia. Ophthalmology. 1993;100(4):495-500. 

  5. Hatt SR, Mohney BG, Leske DA, Holmes JM. Variability of control in intermittent exotropia. Ophthalmology. 2008; 115(2):371-376. 

  6. Caltrider N, Jampolsky A. Overcorrecting minus lens therapy for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Ophthalmology. 1983;90(10):1160-1165. 

  7. Kennedy JR. The correction of divergent strabismus with concave lenses. Am J Optom. 1954;31(12):605-614. 

  8. Goodacre H. Minus overcorrection: conservative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in the young child? a comparative study. Aust Orthopt J. 1985;22(1):9-17. 

  9. Reynolds JD, Wackerhagen M, Olitsky SE. Over-minus lens therap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m Orthopt J. 1994; 44(1):86-91. 

  10. Haggerty H, Richardson S, Hrisos S, Strong NP, Clarke MP. The newcastle control score: a new method of grading the severity of intermittent distance exotropia. Br J Ophthalmol. 2004;88(2):233-235. 

  11. Rutstein RP, Fuhr P, Schaafsma D. Distance stereopsis in orthophores, heterophores, and intermittent strabismics. Optm Vis Sci. 1994;71(7):415-421. 

  12. Koklanis K, Georgievski Z, Zhang K. The use of distance stereoacuity assessment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minus lenses in intermittent exotropia. J AAPOS. 2010; 14(6):488-493. 

  13. Rowe FJ, Noonan CP, Freeman G, Debell J. Intervention for intermittent distance exotropia with overcorrecting minus lenses. Eye. 2009;23(2):320-325. 

  14. Yildirim C, Mutlu FM, Chen Y, Altinsoy HI. Assessment of central and peripheral fusion and near and distance stereoacuity in intermittent exotropic patients before and after strabismus surgery. Am J Ophthalmol. 1999;128(2): 222-230. 

  15. Matsuo T, Yamane T, Fujiwara H, Ohtsuki H, Watanabe Y. Predictive factors for long-term outcome of stereoacuity in Japanese patients with pure accommodative esotropia. Strabismus. 2005;13(2):79-84. 

  16. Chung YR, Yang H, Lew HM, Lee JB, Chang YH. The assessment of stereoacuity in patients with strabismu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8):1309-1316. 

  17. Jin HC, Lee YC, Lee SY.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grade and stereoacuity in basic intermittent ex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133-137. 

  18. Scott WE, Mash J. stereoacuity in normal individuals. Ann Ophthalmol. 1974;6(1):99-101. 

  19. Wright KW, Spiegel PH.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2nd Ed. New York: Springer, 2002;144-149. 

  20. Walsh LA, LaRoche GR, Tremblay F. The use of binocular visual acuity in the assess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J AAPOS. 2000;4(3):154-157. 

  21. Von Noorden GK,Campos EC. Binocular vision and space perception. In: Lampert R.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6th Ed. St. Louis: Mosby, 2001;7-37. 

  22. Kim SH, Suh YW, Song JS, Park JH, Kim YY, Huh K, et al. Clinical research on the ophthalmic factors affecting 3D asthen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012;49(4): 248-253. 

  23. Arthur BW, Keech RV. The polarized 3-dot tes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7;24(6):305-308. 

  24. Lee SY, Bae SH. Comparison of various kinds of stereocuity tests in preschool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2000;41(9):1983-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