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리에서 수직주시시차와 입체시와의 관계
A Correlation Between Vertical Fixation Disparity and Stereopsis at Nea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3 = no.52, 2013년, pp.321 - 327  

윤민화 (동강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수직주시시차의 유형별 분포를 분석하고 입체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입체시 검사표는 부분적으로 random dot을 이용하는 RANDOT(R) stereotest를 사용하였다. 근거리에서 수직주시시차는 환자와의 거리를 25 cm 유지한 상태에서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해, 한쪽 눈에 하나씩 보이는 두 개의 가는 선이 프리즘을 가입하여 한 줄로 일치될 때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주시시차곡선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43명을 대상으로 근거리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유형은 제 1유형이 55.82%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제 2유형이 23.25%로 가장 적게 분포하였으며, 제 3유형이 4.65%, 제 4유형은 4.65%, 제 5유형은 6.98%, 제 6유형은 4.65%로 분포하였다. 두 변수들 사이의 선형적 상관관계의 정도를 보는 상관분석의 결과를 보면 입체시는 수직주시시차를 나타내는 Y-intercept(r = -0.07), 일부융합제거시 사위량(r = -0.03), 완전융합제거시 사위량(r = -0.00)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와는 r = 0.36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관계는 낮은 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수직주시시차를 나타내는 Y-intercept는 일부융합 제거시 사위량(r = 0.89)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수직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는 r = -0.33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관계는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회귀분석(regresson analysis)결과, 입체시와 수직주시시차의 변화에 따른 관계는 수직주시시차가 1분( ' ) 변하면 입체시는 7.631초( ' ) 만큼 변화하며, 입체시가 1초( ' ) 변하면 수직주시시차는 0.017분( ' ) 만큼 변화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입체시와 수직주시시차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직주시시차 만으로 입체시를 판단하기 힘들며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직주시시차 이외의 다른 요인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vertical fixation disparity and stereopsis by analyzing distribution of types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Methods: In this study, RANDOT(R) stereotest partly using random dot was used in stereopsis tests. The vertical fixation disparity in close prox...

주제어

참고문헌 (36)

  1. Kim DN.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Shinkwang pub, 2010;240. 

  2. Ogle KN. Researches in binocular vision. 1st Ed. New York: Hafner, 1965;69-93. 

  3. Park HJ. Analysis of binocular vision by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J Korean Oph Opt Soc. 2007;12(1):53-59. 

  4. Sucher DF, Stewart J. Vertical fixation disparity in learning disabled. Optom Vis Sci Dec. 1993;70(12):1038-1043. 

  5. Luu CD, Green JF, Abel L. Vertical fixation disparity curve and the effects of vergence training in a normal young adult population. Optom Vis Sci. 2000;77(12):663-669. 

  6. Tychsen L. Binocular vision. In; Moses RA et al.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9th Ed. St Louis Mosby, 1992;773- 810. 

  7. Romano PE, Romano JA, Puklin JE. Stereoacuity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normal binocular single vision. Am J Ophthalmol. 1975;79(6):966-971. 

  8. Griffen JR. Binocular Anomalies, Procedures for vision therapy, 2nd Ed. Chicago: Professional Press, 1982;415. 

  9. Hasse HJ. Zur fixations disparation, 2nd Ed. Heidelberg: Verlag der deutschen optikerzeitung, 2000;215-223. 

  10. Saladin JJ.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Optom Vis Sci. 1995;72(7):487-492. 

  11. Sung PJ. Optometry, 2nd Ed. Seoul: Daihakseolim, 2002; 226-228, 230, 237, 252. 

  12. Jin YH. Strabismus, 1st Ed. Ulsan: UUP, 1997;67-75. 

  13. Ogle KN, Martens TG, Dyer JA. Oculomotor imbalance in binocular vision and fixation disparity, 1st ed. Philadelphia: Lea&Febiger, 1967;75-119. 

  14. Bae HJ, Yun MO, Kim JY, Song SJ, Kim JS, Eom JH, et al. The study of near fixation disparity by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Korean J Vis Sci. 2012;14(1):56-62. 

  15. Pickwell LD, Gilchrist JM, Hesler J. Comparison of associated heterophoria measurements using the mallett test for near vision and the sheedy disparometer. Ophthal Physiol Opt. 1988;8(1):19-25. 

  16. Simons K. Stereoacuity norms in young children. Arch Ophthalmol. 1981;99(3):439-445. 

  17. Tychsen L. Binocular vision, In : William MH ed.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9th Ed. St Louis: Mosby 1992;773- 853. 

  18. Von Noorden G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Mosby, 1996;8-40. 

  19. Yoon DH, Lee SU, Choi O. Ophthalmology, 2nd Ed. Seoul: Ilchokak, 1991;205. 

  20. Parks MM. Monofixation syndrome. In : Tasman W.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 1991;1-12. 

  21. Parks MM. Binocular vision. In : Tasman W.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 1991;1-14. 

  22. Parks MM. Stereoacuity as an indicator of bifixation. In : Strabismus symposium, 1st Ed. New York: S Karger, 1968; 258-260. 

  23. Ing MR. Early surgical alignment for congenital esotropia. Ophthalmology. 1983;90(2):132-135. 

  24. Park HJ, Yoon Y. The study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by fixation disparity card. J Korean Oph Opt Soc. 2010; 15(1):61-66. 

  25. Jimnez JR, Olivares JL, Prez-Ocn F, del Barco LJ. Associated phoria in relation to stereopsis with random-dot stereograms. Optom Vis Sci. 2000;77(1):47-50. 

  26. Saladin JJ. Stereopsis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Optom Vis Sci. 2005;82(3):186-205. 

  27. Shin HS, Lee SH, Yun MO, Kim MY, Bae HS, Park SC.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exophoria and stereoacuity. J Korean Oph Opt Soc. 2009;14(2):41-46. 

  28. Ogle KN. Researches in binocular vision, 1st Ed. New York: Hafner, 1964. 

  29. Sung PJ. Optometry, 6th ed. Seoul: Daihak publishing company, 2008;247-253. 

  30. Jenkins TC, Abd-Manan F, Pardhan S. Fixation disparity and near visual acuity. Ophthal Physiol Opt 1995;15(1): 53-58. 

  31. Leske DA, Holmes JM. Maximum angle of horizontal strabismus consistent with true stereopsis. J AAPOS 2004;8(1):28-34. 

  32. Ukwade MT, Bedell HE, Harwerth RS. Stereopsis is perturbed by vergence error. Vision Res 2003;43(2):181-193. 

  33. Elliott DB. Clinical procedures in primary eye care, 3rd ed. New York: Butterworth Heinemann, 2007;201-206. 

  34. Min BM, Park WC.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titmus stereoacuity. J Korean Oph Soc. 1987; 28(6):1339-1342. 

  35. Kwon MJ, Byun JW, Jeon IC, Mah KC. The Effect on srereopsis by induced deviation during prism adaptation. Korean J Vis Sci. 2009;11(3):187-201. 

  36. North RV, Henson DB, Smith TJ. Influence of proximal, accommodative and disparity stimuli upon the vergence system. Ophthal Physiol Opt. 1993;13(3):239-2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