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바람 관측기기인 풍기(風旗)의 연구
A Study on the Punggi (風旗), Meteorological Instrument Made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3 no.1, 2013년, pp.47 - 61  

전준혁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nggi (風旗) is one of the meteorological instruments made in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 Its purpose was to observe the direction of the wind. It is estimated that it started its operation in the $16^{th}$ century at least. But it does not remain in a perfect form, like the Chugugi (測雨...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기란 무엇인가? 풍기는 바람을 의미하는 풍(風)과 깃발을 의미하는 기(旗)가 합쳐져 용어 그대로 ‘바람의 방향을 알기 위한 깃발’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용어의 해석대로 완전한 구조의 풍기 유물은 현존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제작한 기상 관측 기구는 무엇인가? 조선시대에 제작한 기상 관측 기구는 세 가지가 있다. 세계 최초(最初), 최고(最古)의 우량(雨量) 측정계인 측우기(測雨器)와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水標), 그리고 바람을 관측하는 풍기(風旗)가 있다. 측우기에 관해서는 和田雄治 (1917)가 처음 언급한 이래 지금까지도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풍기대는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풍기를 이루던 받침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데, 지금은 이를 풍기대(風旗臺)라고 부른다. 현재 풍기대는 2기가 남아 있으며, 경복궁(景福宮)과 창경궁(昌慶宮)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들은 1985년 8월 9일에 보물로 지정된 것으로, 경복궁에 위치한 풍기대 (이하 경복궁 풍기대)는 보물 제 847호이며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려대학교박물관, 19C 초, 東闕圖. 

  2. 국사편찬위원회, 2007: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두산동아, 61-67. 

  3. 김대호, 2007: 일제강점 이후 경복궁의 훼철과 사용 (1910-현재), 서울학연구 XXIX, 83-131. 

  4. 나일성, 2000: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86-188. 

  5. 두산동아 사서편집국, 2011: 신활용옥편 (제 2판, 2011), 두산동아 

  6. 민경덕, 2001: 대기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133-135. 

  7. 부경온, 권원태, 김상원, 이현정, 2006: 19세기 공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18년 복원, 대기. 16(4), 343-350. 

  8. 성주덕 편저, 이면우, 허윤섭, 박권수 역주, 2003: 서운관지, 소명출판. 

  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국역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3, 의상, 180. 

  10. 이문규, 2000: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136-139. 

  11. 이순지 편저, 김수길 윤상철 공역, 2006: 천문류초, 대유학당, 438-439. 

  12. 전상운, 1974: 한국의 과학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64-166. 

  13. 전상운, 1986: 세종 시대의 과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67-68. 

  14. 전상운, 김성삼, 김정흠, 나일성, 남천우, 박성래, 박익수, 박흥수, 유경로, 이은성, 이태녕, 송상용, 1984: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 보고, 한국과학사학회 6. 

  15. 전상운, 1998: A history of science in Korea, JIMOONDANG, 154-156. 

  16. 전상운, 1998: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7. 전상운, 2000: 세종문화사대계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80-82. 

  18. 전상운, 2000: 한국과학사, 사이언스북스. 

  19. 전태일, 이단, 전영신, 2011: 창덕궁 측우대에 새긴 '측우기명' 연구- "철재진적 (澈齋眞蹟)"을 중심으로-. 대기, 21(4), 455-469. 

  20. 정연식, 2010: 조선시대 觀天臺와 日影臺의 연혁-창경궁 일영대와 관련하여-. 한국문화, 265-297. 

  21. 조선기술발전사편찬위원회, 1996: 조선기술발전사 4 조선전기편,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96. 

  22. 한국과학문화재단, 1997: 우리의 과학 문화재, 한국과학문화재단, 110-111. 

  23. 한국기상학회, 2003: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175. 

  24. 한상복, 2007: 1500년대 측우기록과 1770년 이후 서울 월강수량 시계열자료.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504-505. 

  25. 홍이섭, 1946: 홍이섭 全書 1, 정음사, 177-178. 

  26. Chun, Y. S. and Jeon, S. W., 2005: Chugugi, Supyo, and Punggi: Meteorological instruments of the 15th century in Korea, History of Meteorology, 2(2005), 25-36. 

  27. Rufus, W. C., 1936: Astronomy in Korea, Chosun Christian College. 

  28. 宮川卓也, 2008: 20세기 초 일제의 한반도 기상관측망 구축과 식민지 기상학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29. 每日新報, 1929: 英祖時代의 風信機, 1929. 7. 14. 

  30. 和田雄治, 1917: 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 朝鮮總督府觀測所 (仁川). 

  31. 日省錄, 正祖 17年(1793), 戊申,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32. 申坪, 1996: 新羅經硏究, 동학사. 

  33.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世宗 10年 (1428) 8月 5日 (甲申). 

  34. 朝鮮王朝實錄, 宣祖實錄, 宣祖 28年 (1437) 2月 13日 (壬戌). 

  35.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世宗 19年 (1437) 11月 29日 (乙卯). 

  36. 朝鮮王朝實錄, 宣祖實錄, 宣祖 28年 (1594) 2月 11日 (庚申). 

  37. 朝鮮王朝實錄, 正祖實錄, 正祖 6年 (1782) 7月 27日 (壬戌). 

  38. 朝鮮王朝實錄, 正祖實錄, 正祖 15年 (1791) 1月 3日 (戊寅). 

  39. 朝鮮王朝實錄, 正祖實錄, 正祖 15年 (1791) 1月 11日 (乙巳). 

  40. 朝鮮王朝實錄, 純祖實錄, 純祖 27年 (1827) 7月 22日 (乙丑). 

  41.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 1930,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報告書,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 京城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昭和 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