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과학흥미도 조사 및 상관관계 분석 An Investigation of SL-BIS/BAS and the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m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and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on the their relation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on interest in science that developed by Kind et al., (2007) were selec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and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on the their relation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on interest in science that developed by Kind et al., (2007)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After that, second-grade 80 students, fourth-grade 87 students, sixth-grade 107 students, eighth-grade 123 students and eleventh-grade 128 students were required to accomplish a questionnaire on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SL-BIS/BAS), interest in science. Based on these materials, SL-BIS/BAS by student's variables and relations of between the system to interest in science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s. First, the sensitivity about SL-BI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s. But sensitivity about SL-BAS and interest in science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was higher than it in middle school. Second, there were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SL-BIS and interest in science, an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L-BAS and interest in sci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ations of motivation to related variables, and the motivation by student's variables are identified.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bout motivation by students' variables and to make a plan for the appropriate strategies for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and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on the their relation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on interest in science that developed by Kind et al., (2007)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After that, second-grade 80 students, fourth-grade 87 students, sixth-grade 107 students, eighth-grade 123 students and eleventh-grade 128 students were required to accomplish a questionnaire on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SL-BIS/BAS), interest in science. Based on these materials, SL-BIS/BAS by student's variables and relations of between the system to interest in science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s. First, the sensitivity about SL-BI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s. But sensitivity about SL-BAS and interest in science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was higher than it in middle school. Second, there were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SL-BIS and interest in science, an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L-BAS and interest in sci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ations of motivation to related variables, and the motivation by student's variables are identified.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bout motivation by students' variables and to make a plan for the appropriate strategies for learn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어떤 것을 배우고자 하는 학습에 대한 의지인 흥미도(Taber, 2004)와 과학학습과 관련된 접근 성향과 회피 성향을 검사하는 과학학습 동기체계를 조사해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학습과 관련된 동기체계가 과학흥미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체계가 과학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어떤 것을 배우고자 하는 학습에 대한 의지인 흥미도(Taber, 2004)와 과학학습과 관련된 접근 성향과 회피 성향을 검사하는 과학학습 동기체계를 조사해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학습과 관련된 동기체계가 과학흥미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체계가 과학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사에게 학습자의 기질적 차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과학학습 행동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에게 학습자의 기질적 차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과학학습 행동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를 기반으로 과학학습동기체계에 따른 행동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행동체계이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SL-BIS/BAS 검사지를 통해 과학학습 동기체계, 즉 과학 학습 상황에 대한 민감한 정도를 조사하고, 과학흥미도 검사를 통한 결과와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L-BIS/BAS와 과학흥미도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SL-BIS/BAS와 과학흥미도와의 상관관계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하위변인에 대한 내용도 함께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이 연구는 과학학습과 관련된 상황에서 학습자가 나타내게 되는 행동에 대한 동기 체계와 과학흥미도를 조사하고 두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학습과 관련된 상황에서 학습자는 상황에 따라 즐거움과 두려움,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 연구에서 SL-BIS/BAS와 과학흥미도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과학학습에서 과학흥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 과학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SL-BAS 민감성을 계속 유지 및 높일 수 있도록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는 학습상황에 따른 교육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제안 방법
이 연구는 학생들의 SL-BIS/BAS 검사지를 통해 과학학습 동기체계, 즉 과학 학습 상황에 대한 민감한 정도를 조사하고, 과학흥미도 검사를 통한 결과와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L-BIS/BAS와 과학흥미도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방법을 고안하여 그에 적합한 검사지 및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SL-BIS/BAS와 과학흥미도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방법을 고안하여 그에 적합한 검사지 및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과학흥미도 검사지는 번역한 후, 과학교육 전문가 3인과 교사 출신 박사과정 6인이 참석한 세미나를 통해 2차례에 걸쳐 검토하고 과학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의뢰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방법을 고안하여 그에 적합한 검사지 및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과학흥미도 검사지는 번역한 후, 과학교육 전문가 3인과 교사 출신 박사과정 6인이 참석한 세미나를 통해 2차례에 걸쳐 검토하고 과학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의뢰하였다. 타당도 의뢰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한 후 검사지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투입하였다.
선정한 과학흥미도 검사지는 번역한 후, 과학교육 전문가 3인과 교사 출신 박사과정 6인이 참석한 세미나를 통해 2차례에 걸쳐 검토하고 과학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의뢰하였다. 타당도 의뢰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한 후 검사지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투입하였다. 검사지를 회수하여 자료를 코딩하였으며, 코딩 과정에서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거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확정지었다.
타당도 의뢰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한 후 검사지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투입하였다. 검사지를 회수하여 자료를 코딩하였으며, 코딩 과정에서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거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확정지었다. 그 후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검사지를 회수하여 자료를 코딩하였으며, 코딩 과정에서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거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확정지었다. 그 후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 대해 성별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2학년, 4학년, 6학년은 초등학교의 연속적인 변화과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각 학교급의 중간 학년이기 때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표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흥미도 검사에 목적이 있으므로 7가지 영역 중 ‘학교에 대한 태도’ 영역을 제외한 총 6가지 영역, 즉, ‘교내과학학습’, ‘과학실험교육’, ‘교외 과학’, ‘과학의 중요성’, ‘과학에 대한 자기개념’, ‘미래과학참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17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각 검사지는 우편을 통해 발송하여 담임교사 또는 교과 담당 교사의 감독 하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연구자가 교사에게 유선으로 검사의 취지를 자세히 이야기한 후 검사에 대한 사전 정보가 담겨진 내용을 검사지와 함께 동봉하여 발송하였다.
SL-BIS/BAS 검사지와 과학흥미도 검사지는 해결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었으며, 학생들에게 검사지 답변 내용은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설명하고 연구 동의를 구해 검사지 작성을 요청하였다. 아울러 질문지의 문항들을 읽지 않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응답자들을 걸러내기 위하여 반대의 의미로 진술된 5개의 역채점 문항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이 과학 자체에 대하여 흥미와 즐거움을 느끼는 수준이 점점 낮아진다는(곽영순 등, 2006; 이양락 외, 2004) 결과와 대치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과학흥미도의 하위 영역에 대해 분산 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교내과학학습’ 0.
과학 학습에 관한 접근 성향과 회피 성향을 측정하는 SL-BIS/BAS와 과학흥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았다. 분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행동억제체계와 행동활성화체계, 그리고 과학흥미도를 살펴보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과 이 연구결과의 교육적 함의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이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 대해 성별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2학년, 4학년, 6학년은 초등학교의 연속적인 변화과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각 학교급의 중간 학년이기 때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표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생은 1개교 274명, 중학생은 1개교 123명, 고등학생은 1개교 131명으로 총 52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2학년, 4학년, 6학년은 초등학교의 연속적인 변화과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각 학교급의 중간 학년이기 때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표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초등학생은 1개교 274명, 중학생은 1개교 123명, 고등학생은 1개교 131명으로 총 52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지 중 이름을 기록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부를 제거하여 실제 분석 대상은 초등학생 274명, 중학생 123명, 고등학생 128명으로 총 525명이었다.
초등학생은 1개교 274명, 중학생은 1개교 123명, 고등학생은 1개교 131명으로 총 52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지 중 이름을 기록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부를 제거하여 실제 분석 대상은 초등학생 274명, 중학생 123명, 고등학생 128명으로 총 525명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이 274명, 여학생이 251명이다.
Kind 등(2007)이 개발한 과학 태도 측정 도구에서 태도는 개체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바탕으로 가지고 있는 감정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ROSE 질문지, PISA 2003, Pell과 Jarvis(2001) 등의 태도 측정 항목을 재구성하여 개발되었다. 이 검사지는 영국 전역에 있는 다섯 개 중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11-14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의 간격을 두고, 첫 번째 932명, 두 번째 668명을 대상으로 총 2회의 면담을 통하여 실질적인 학교 현장이 반영되도록 개발되었다. 총 7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0.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17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각 검사지는 우편을 통해 발송하여 담임교사 또는 교과 담당 교사의 감독 하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0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L-BIS/BAS와 과학흥미도에 대해 각각 학년별 분산분석과 두 검사 결과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를 알아보았다.
이론/모형
과학학습과 관련된 학습상황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학습에 대한 접근 성향과 회피 성향은 임성만(2010)의 SL-BIS/BAS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L-BIS/BAS 척도에 관한 구성 체계는 표 2와 같다.
최근의 교육과정은 예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탐구 수업 증가,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 탐구를 통한 이해가 주가 되고 있으므로, 보다 실질적인 과학흥미도를 검사하기 위해 최근에 Kind 등(2007)이 개발한 과학 태도 측정 도구를 번역하여 이 연구의 검사 문항으로 사용하였다. Kind 등(2007)이 개발한 과학 태도 측정 도구의 구성 체계는 표 2와 같다.
성능/효과
과학학습 동기체계와 관련하여 자기효능감 및 과학성취도에 대한 연구에서, SL-BIS는 자기효능감과 낮은 부적 상관이 있으며, SL-BAS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체계의 설명력은 41%로 특히 SL-BAS가 자기효능감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임성만 등, 2011). 이는 SL-BIS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향이 있고, SL-BAS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향은 상위집단에서 더 잘 나타났다. 또한, 과학학습 동기체계와 과학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본 남지연 등(2011)의 연구에서는 SL-BIS는 과학성취도와 상관이 낮은 부적 상관이 있으며, SL-BAS는 과학성취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과학학습에서 학습이나 관계불안에 의한 SL-BIS에 덜 민감할수록, 또 보상, 도전이나 흥미추구에 의한 SL-BAS에 민감할수록 과학 성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L-BIS와 SL-BAS를 독립변수로 하여, 학습자의 과학 성취도를 측정하는 모형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정 결과, 과학 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특성을 알아본 임성만 등(2012)의 연구에서는 SL-BIS에 민감한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실험 결과에 대한 부정적 반응’, ‘실험 활동에 소극적임’, ‘침묵’, ‘단순 반복 질문’과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고,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 ‘실험 결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 ‘실험에 대한 도전 정신’, ‘학습지 작성에 열심’, ‘구체적 질문을 많이 함’, ‘상호 보완적 모둠 실험 선호’와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한적이기는 하나 SL-BIS/ BAS의 검사결과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개인별 특성에 따른 처치를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SL-BIS/BAS 척도의 문항은 총 36문항으로 ‘학습 불안’ 7문항, ‘관계불안’ 4문항, ‘보상민감성’ 10문항, ‘도전추구’ 5문항, ‘흥미추구’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SL-BIS의 점수는 범위는 최저 11점에서 최고 44점, SL-BAS의 점수 범위는 최저 25점에서 최고 100점이다. 임성만(2010)의 연구에서 SL-BIS /BAS 척도의 타당도 CVI는 0.
그 결과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교내과학학습’ 0.53점, ‘과학에 대한 자기개념’ 0.06점, ‘과학실험교육’이 0.08점, ‘교외과학’ 0.68점, ‘미래과학참여’ 0.56점, ‘과학의 중요성’ 0.27점이 높았다.
SL-BIS/BAS와 과학흥미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과학훙미도와 SL-BIS는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SL-BAS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그 값 또한 유의미하였다(r=-.68, p<.01).
, 1992), 교사의 수업 방법이나 수업 환경 속에서 느끼는 불안 요소는 과학흥미도를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의 결과인 SL-BIS와 과학흥미도와의 부적 상관관계와 SL-BIS와 자기효능감과의 부적 상관관계(임성만 등, 2011), 그리고 SL-BIS와 과학성취와의 부적 상관관계(남지연 등, 2011)를 보면, 학습자에게 과학학습과 관련된 불안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기체계인 SL-BIS의 점수가 높은 학생들에게는 과학학습과 관련된 불안 요소인 어려운 실험으로 인한 실패, 학생들과의 친밀감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아울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이재천 등(1997)이 지적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수업행동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인간적인 친밀감을 가진 교사로서 수업시간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임성만 등(2012)의 연구에서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 과학학습 활동 상황에서 어려운 실험에 도전하고자 하는 적극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모둠 실험을 선호하였다. 즉, 이번 연구의 결과인 SL-BAS와 과학흥미도와의 높은 정적 관계를 보더라도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는 학생 개개인의 기질적인 특성인 SL-BAS를 발현시킨다고 할 수 있다. 임성만 등(2011)의 연구에서 SL-BAS와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이 있었는데, 이 또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접근 성향인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학습에 대한 기질적인 특성(SL-BIS/BAS)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과 성공적인 과학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SL-BIS에 대한 민감성은 학교급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과학학습에 대한 불안은 학교급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즉, 과학학습에 대한 불안은 학교급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반면, SL-BAS에 대한 민감성은 학교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SL-BAS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과학흥미도 또한 높았다. 둘째, SL-BIS는 과학흥미도와 낮은 부적상관이 있으며, SL-BAS와는 과학흥미도와 다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SL-BAS에 대한 민감성은 학교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SL-BAS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과학흥미도 또한 높았다. 둘째, SL-BIS는 과학흥미도와 낮은 부적상관이 있으며, SL-BAS와는 과학흥미도와 다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SL-BIS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과학흥미도가 낮은 경향이 있고, SL-BAS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과학흥미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연구
또한, 학생들의 과학학습과 관련된 동기체계가 과학흥미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체계가 과학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사에게 학습자의 기질적 차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과학학습 행동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를 기반으로 과학학습동기체계에 따른 행동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행동체계이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01)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대상자의 표집이 임의표집으로 일부 지역에 국한된 값으로 연구의 제한점이라 생각된다.
과학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SL-BAS 민감성을 계속 유지 및 높일 수 있도록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는 학습상황에 따른 교육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SL-BIS 민감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육적 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불안과 관련된 노출을 통제시키는 학습자별 맞춤식 개별 처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 시 나타나는 행동특성으로 무엇이 관찰되는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특성을 알아본 임성만 등(2012)의 연구에서는 SL-BIS에 민감한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실험 결과에 대한 부정적 반응’, ‘실험 활동에 소극적임’, ‘침묵’, ‘단순 반복 질문’과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고,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 ‘실험 결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 ‘실험에 대한 도전 정신’, ‘학습지 작성에 열심’, ‘구체적 질문을 많이 함’, ‘상호 보완적 모둠 실험 선호’와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한적이기는 하나 SL-BIS/ BAS의 검사결과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개인별 특성에 따른 처치를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학습이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SL-BAS영역에서는 중학생-고등학생-초등학생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그 차이는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과학흥미도 검사에서는 중학생-초등학생-고등학생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 차이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는 중학생-초등학생, 중학생-고등학생 간에서만 나타났다. 이 두 검사의 결과는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학습이 다른 학교급에 비해 과학적인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동기란 어떤 심리적 요인인가?
동기는 특정 행동을 유발하고 방향감을 제시하는 근원으로, 인간 행동의 에너지이고 행동의 활성을 증감시키며 행동의 방향을 정해주는 심리적 요인이다(Ryan & Deci, 2000). 학습에서 동기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의욕을 갖게 하여, 그 자체가 교육목표인 동시에 다른 교육목표의 성취를 촉진하는 수단으로(곽영순 등, 2006), 과학 영역의 학업적 성취(Glynn et al.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