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굽힘운동이 목빗근과 심부목굽힘근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Using Sling on Thicknes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Deep Cervical Flexor Muscl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2, 2013년, pp.253 - 261  

윤기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전공) ,  김경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thicknes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SCM) and deep cervical flexor muscle(DCF) through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CCFEx) Using Sling. METHODS: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wo group: control group (n=21) without n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수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만성 목통증 대상군에게 목의 심부근 근력강화와 고유수용성 조절 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한 운동을 통해 목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 통증 감소와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굽힘운동을 단시간 중재(short term intervention)방법으로 적용하여, 운동 전과 후 머리-목굽힘평가와 초음파 촬영을 실시한 뒤, 근 두께를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목빗근과 심부목굽힘근의 활동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머리-목굽힘운동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목통증을 가진 실험군과 목 통증이 없는 건강한 대조군에게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굽힘 운동을 단기간(short term)실시하여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를 이용한 머리목굽힘평가시 심부 목 굽힘근과 목빗근의 근 두께를 초음파 영상으로 측정하여 운동 전과 후 근육 활동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 목 전면부에 부착되어있는 심부목굽힘근의 약증(weakness)과 억제(inhibition)가 목분절안정화(cervicle segmental stabilization)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목통증환자에게서 심부목근에 비해서 표면목근의 활성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와 중재방법을 연구한 실험결과도 보고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굽힘운동을 실시하여 초음파 영상에서근 두께의 변화가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통증은 전체 인구의 몇 퍼센트가 경험하는가? 근골격계 질환 중에서 목통증은 전체 인구의 67%정도가 일생에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질환으로 만성화 되면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Bovim 등, 1994; Cote 등, 1998; Wang 등, 2003). 목통증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중 3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통증으로 분류하였고(Wheeler, 1995), 목통증은 자주 만성화되고, 재발하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Hoving 등, 2002).
목통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근전도 연구는 어떤 현상을 보이는가? 목통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근전도(EMG) 연구에서는 표면목굽힘근(surpeficial cervical flexor: SCF)들의 활동이 심부목굽힘근보다 증가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머리목굽힘(craniocervical flexion)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Falla 등, 2004). 이와 같이 목뼈의 자세조절과 안정성 유지에 있어 중요한 목 표면근육과 심부근육의 기능적인 특이성이 몇몇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목통증이 만성화되면 어떻게 되는가? 근골격계 질환 중에서 목통증은 전체 인구의 67%정도가 일생에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질환으로 만성화 되면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Bovim 등, 1994; Cote 등, 1998; Wang 등, 2003). 목통증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중 3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통증으로 분류하였고(Wheeler, 1995), 목통증은 자주 만성화되고, 재발하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Hoving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vim G, Schrader H, Sand T. Neck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Spine. 1994;19(2):1307-9. 

  2. Boyd-Clark LC, Briggs CA, Galea MP. Muscle Spindle Distribution, Morphology, and Density in Longus Colli and Multifidus Muscles of the Cervical Spine. 2002;27(7):694-701. 

  3. Cagnie B, Derese E, Vandamme L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ultrasonography for the longus colli in asymptomatic subjects. Manual Therapy. 2009;14(4):421-26. 

  4. Cote P, Cassidy JD, Carrol L. The Saskatchewan Health and Back Pain Survey. The prevalence of neck pain and related disability in Saskatchewan adults. Spine. 1998;23(15):1689-98. 

  5. Eun-woo Lee, PT, Won-seob Shin, PT, Kyoung-sim Jung,P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in Neck Pain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7;14(3):97-103. 

  6. Fabianna MRJ, Paulo HF, Manuela LF.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Neck Muscle Recruitm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2008;16(2):89-92. 

  7. Falla D, Jull G, Hodges P et al. An endurance-strength training regime is effective in reducing myoelectric manifestations of cervical flexor muscle fatigue in females with chronic neck pain.Clinical Neurophy siology, 2006;117(4):828-37. 

  8. Falla D, Jull G, Hodges P. Patients with neck pain demonstrate reduced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Spine. 2004;29(19):2108-14. 

  9. Falla D, Jull G, Russell T et al. Effect of neck exercise on sitting pos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phys ther. 2007;87(4):408-17. 

  10. Grimmer K, Trott P. The association between cervical excursion angles and cervical short flexor muscle endurance. Aust J physiother. 1998;44(3):201-7. 

  11. Halvorsen FH. Neurac1 seminer workbook. RedcordAS. prone cervical setting test procedure 91. 2010;3:5-7. 

  12. Hoving JL, Koes BW, de Vet HC et al. Manual therapy, physical therapy or continued care by a general practitioner for pa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2;136(10):713-22. 

  13. Hudswell Sue, Michael von Mengersen, Nicholas Lucas.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using pressure biofeedback : A useful measure of cervical dysfunction in the clinical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pathic Medicine. 2005;8:98-105. 

  14. Jacobson JA. Fundamentals of Musculoskeletal Ultrasound. Saunders. 2008;2:57-62. 

  15. Jae-Cheol Kim, Hye-Seon Jeon, Chung-Hwi Yi, Oh-Yun Kwon, Duck-Won Oh.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Deep Neck Flexors of Industrial Workers With and Without Neck Pai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7;26(4):25-31. 

  16. Jull GA. Deep cervical flexor muscle dysfunction in whiplash. J Musculoskeletal Pain, 2000;8:143-54. 

  17. Jull G, Falla D, Hodges P et al. Cervical flexor muscle retraining: physiological mechanisms of efficacy. Paper presented at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vement dysfunction. Edingburgh. scotland. 2005. 

  18. Jull G, Kristjansson E, Dall'Alba P. Impairment in the cervical flexors: A comparison of whiplash andinsidious onset neck pain patients. Man Ther. 2004;9(2):89-94. 

  19. Jull G, O'Leary S, Falla D. Clinical assessment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8;31:525-33. 

  20. Kirkesola G. The Neurac Method. Fysioterapeuten. 2009;12:16-25. 

  21. Kermode, F. Benefits of utiliz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lumbar spine stabilizing muscles following low back injury in the elite athlete-a single case study.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4;5:13-6. 

  22. Mayoux-Benhamou MA, Revel M, Vallee C. Selective electromyography of dorsal neck muscles in humans. Exp Brain Res. 1997;13(2):353-60. 

  23. Murphy DR. Conservative management of cervical spine syn. McGraw-Hill Companies Inc USA. 2000;60-64:607-39. 

  24. Peolsson M, Brodin LA, Peolsson A. Tissue motion pattern of ventral neck muscles investigated by tissue velocity ultrasonography imaging. Eur J Appl Physiology. 2010;109:899-908. 

  25. Stokes IA, Henry SM, Single RM. Surface EMG electrodes do not accurately record from lumbar multifidus muscles. Clinical Biomechanics. 2003;18:9-13. 

  26. Tan AL, Wakefield RJ, Conaghan PC et al. Imaging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agnatic resonance imaging ultrasonography and computerd tomography.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003;17:513-28. 

  27. Teyhen DS, Miltenberger CE, Deiters HM et al. The use of ultrasound imaging of the abdominal drawing in maneuver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5;35:346-55. 

  28. Wang WTJ, Olson SL, Campbell AH et al.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neck pain: An individualized approach using a clinical decision-making algorithm,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82(3):203-18. 

  29. Wheeler A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 Fam Physician. 1995;52(5):1333-41. 

  30. Whittaker JL. Ultrasound Imaging for Rehabilitation of the Lumbopelvic Region: A Clinical Approach. Edinburgh. Elsevier Science. 2007;Chapter 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