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mported skate rays.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imported skate rays than in domestic mottled skate, while the protein content displayed a contrasting pattern. From measurement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pH, viabl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입하고 있는 칠레산, 캐나다산, 우루과이산 및 미국산과 같은 수입산 홍어류 4종의 관능학적 측면에서 식품학적 품질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Jo et al. (2012)이 보고한 국내산 참홍어의 결과와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홍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참홍어는 홍어목 가오리과에 속하는 연골어류로서, 최대 전장이 1 m 이상에 달하는 대형어류로, 대표적인 판새류 중의 하나이다. 참홍어는 30-200 m의 깊이와 5-15℃의 온도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이며, 주로 새우류와 소형 어류 등을 먹이로 한다.
참홍어가 서식하는 깊이와 온도는 어느정도인가? 참홍어는 홍어목 가오리과에 속하는 연골어류로서, 최대 전장이 1 m 이상에 달하는 대형어류로, 대표적인 판새류 중의 하나이다. 참홍어는 30-200 m의 깊이와 5-15℃의 온도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이며, 주로 새우류와 소형 어류 등을 먹이로 한다. 따라서, 참홍어는 흑산도와 대청도를 위시한 우리나라 남서해, 동중국해, 일본 중남부해 이남 등에서 서식하여, 이들 연안에서 많이 어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홍어회의 개발에 관한 유래는 무엇인가? 참홍어의 주요리인 홍어회의 개발은 간고등어의 개발과 유사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다. 즉, 예전에 남도 지방에서 고급 어종 중의 하나이었던 참홍어는 변방 중의 한곳이었던 흑산도 연안에서 어획된 다음 남도의 물류 거점이었던 영산포에 1주일여를 소요하여 운송되어야 하였고, 이 때, 운송 중 발효가 진행되어 홍어회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자연 발생적으로 개발된 홍어회는 그 맛이 독특하고 절묘하여 지금까지 고급 식품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현재에는 과메기, 간고등어 등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수산 향토식품 중의 하나이다(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2012. Fish-eries information service. Retried from http://www.fips.go.kr. on December 13.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9-74. 

  3.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3rd ed. APHA Inc., New York, USA, 17-24. 

  4. Cho HS and Kim K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lices of skate Raja kenoje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14-220. 

  5. Hayashi N, Chen R, Ikezaki H and Ujihara T. 2007. Evaluation of the umami taste intensity of green tea by a taste sensor. J Agric Food Chem 56, 7384-7387. http://dx.doi.org/10.1021/jf800933x. 

  6. Jo HS, Kim KH, Kim MJ, Kim HJ, Im YJ, Kwon DH, Heu MS and Kim JS. 2012. Sensory characterization of domestic mottled skate Raja pulchra as affected by area caught, sex and fish weight. Kor J Fish Aquat Sci 45, 619-626. http://dx.doi.org/10.5657/KFAS.2012.0619. 

  7. Kim JS, Heu MS, Kim HS and Ha JW. 2007.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sea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11-14, 129-140. 

  8. Kim YU, Myoung JG, Kim YS, Han KH, Kang CB and Kim JG. 2001. The Marine Fishes of Korea. Hanguel Publishing Co., Seoul, Korea, 46, 178. 

  9. Lee EJ, Seo JE, Lee JK, Oh SW and Kim YJ. 2008. Microb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ady-to eat skate in Korean market. J Fd Hyg Safety 23, 137-141. 

  10. Lee MK. 1996. A study of the bio-nutritional evaluation of Raja skates caught in Heuksando area. -Compare with raja skates of Heuksando and imported. The J Kwangju Health College XXI, 253-265. 

  11. MIFAFF (Minister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Korea) and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999. Fishes of the Pacific Ocean. Hanguel Graphics Publishing Co., Busan, Korea, 65-67, 214-217. 

  12.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2007. Food Composition Tables.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42-297. 

  13. Park JH and Lee KH.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28-535. 

  14. Park JS. 2009. Symbolization of skates and local festivals-A case study at Yeongsanpo and Heuksando. Korean Cultural Studies 33, 487-519. 

  15. Park YH, Chang DS and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ungseol Publishing Co., Seoul, Korea, 116-139, 147-168, 213-219. 

  16. Tji SG. 201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ts from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oysters in Korea and processing of seasoned-dried oyster product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eong,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