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가 기호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y Image on Preference and Intake of Vegetabl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2, 2013년, pp.141 - 152  

박모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age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19 vegetables. A total of 359 usable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females (51.8%), university students (50.7%), home residents (66.9%) and subject's spending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일부 지역에서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를 조사하고, 건강 이미지가 채소의 기호와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채소 식품의 섭취 향상을 교육하고자 하는 매체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채소류 중 일상적으로 자주 섭취하는 채소 식품에 대해 건강 이미지와 기호, 섭취 빈도를 조사하여 건강 이미지가 기호와 섭취 빈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가설은 다음과 같다.
  • 건강식품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채소 식품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면서 채소 식품 섭취를 장려하기 위한 논의와 전략이 총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채소 식품 섭취를 장려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가 기호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채소 식품 섭취 장려를 위한 전략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일부지역 40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으로 자주 섭취하는 19종의 채소 즉 배추, 양파, 오이, 당근, 콩나물, 시금치, 고추, 호박, 도라지, 고사리, 무, 깻잎, 상추, 열무, 양배추, 브로콜리, 우엉, 연근, 토마토에 대한 건강 이미지, 기호, 섭취 빈도를 조사하여 성별, 연령별, 거주 형태별, 외식 빈도 및 1주일 평균 식비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한국인의 채소류 섭취 빈도는 어떠한가? 4 g을 기점으로 하락한 상태이다. 식품 섭취 빈도는 주당 배추가 13.8 회로 가장 높고, 다음이 무(4.7회), 무청(1.7회), 콩나물(1.4회), 고추(1.4회), 오이(1.1회)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채소는 밥을 위주로 하는 한국의 식사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부식으로 비만, 당뇨 등과 같은 식이성 질환의 예방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논의되어 있다(Cho MS 2003).
식품의 이미지가 표출되는 과정은? 식품의 이미지는 영양, 맛, 가격, 전통, 문화 등 복합적 관념이 작용하여 개인에게 인지되고 행동으로 표출된다(Ewa BZ 1999). 예를 들면 Brian et al(2003)은 식품의 편안한 이미지가 맛, 영양, 건강상태 등과 같은 생리적 동기와 사회문화, 경제수준, 교육정도, 경험, 정체성 등 다양한 심리적 동기가 복잡하게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2010년 한국 국민의 1일 채소류 섭취량은? 2010년 국민건강영양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1일 채소류 섭취량은 301.7 g으로 2005년 326.4 g을 기점으로 하락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JM, Kim MJ, Lee CS (2010) An empirical study of effects of Korean wave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attitude: Focused on food product and corporate image. J Modem China Studes 11: 123-155. 

  2. Baek JY (2007) A study on preference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unch menu pattern. M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pp 12-14. 

  3. Brian W, Matthew M, Cheney, Nina C (2003) Exploring comfort food preference across age and gender. Physiology & Behavior 79: 739-747. 

  4. Cho HS, Kim MH, Choi MK (2010) A study on vegetable intakes and dietary hab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525-535. 

  5. Ch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s. Korean J Food Culture 18: 601-612. 

  6. Chung HJ, Eum Yh (2008)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Economic status (II) - Seoul & Gyeonggi (Incheon) area -. Korean J Nutr 41: 89-99. 

  7. Dina LG, Thomas NR (2001) The 30-second effect: An experiment revealing the impact of television commercials on food preference of preschoolers. J Am Diet Assoc 101: 42-46. 

  8. Ewa BZ (1999) Food preference among the Polish young adul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0: 139-145. 

  9. Han SP, Ji WB (2010)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contents of food advertisement targeting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1: 95-114. 

  10. Hong SA (2011) Educational inequality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its mediating effect on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middle-aged adults: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ion Surveys (KNHANES IV).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p 7. 

  11. Jung MY (2011) Vegetable intake and pre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meals.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p 31. 

  12. Kang JH, Jeong HJ (2008) The effect of food neophobia on food choice motives and vegetable consump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94-301. 

  13. Kang KJ, Chung MS (1995) A study on housewives' consumption pattern and nutrition knowledge about vegetable.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77-390. 

  14. Kim GR, Kim MJ (2007) A survey on food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chool food servic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 138-150. 

  15. Kim HH, Kim YM (2012) A preference analysis of vegetable group foods in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 73-88. 

  16. Kim KH, Kang KJ (1997) Children's attitudes toward food advertisement on children's television program. Korean J Soc Food Sci 13: 648-660. 

  17. Kim YI (2010)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ood preference and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 5-12. 

  18. Lee KA, Jeong BY, Moon SK, Kim IS, Nakamura S (2006) Comparisons of Korean adults eating habits, food preference, and nutrition intakes by generation. Korean J Nutr 39: 499-500. 

  19. Lee MJ (2009) The image of frozen processed food and recogni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ing.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pp 35-38. 

  20. Lee SH (2007)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intake of vegetables.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pp 13-14.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pp 282-320. 

  22. Moon HJ (2011) Present condition of favorite food intak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fruit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pp 61-63. 

  23. Moon YS (2009) Persuasive appleals and health-related claims in television food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 25-41. 

  24. Park EJ, Park MR (2012) Influence of the healthy image of meat and animal products 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e. Korean J Food Culture 27: 1-11. 

  25. Park SH, Kim MJ (2008)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vegetable in menu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00-1666. 

  26. Ryu SY (200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vegetables preference.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ungsan. pp 48-51. 

  27. Seo JH, Hong SM (2001) Food consumption culture based on the evaluative criteria pattern of eating.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 144-152. 

  28. Seo SJ, Min IJ, Shin HS (2009) Study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in young childrens: Differences by age and gen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659-667. 

  29. Valerie LA, Wim V, Filiep V, Tormod N, Margrethe H (2011) General image and attribute perceptions of tradition food in six European countrie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2: 129-138. 

  30. Yeh CH, Chen CI, Sher PJ (2010) Investigation on perceived country image of imported food.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1: 849-856. 

  31. Yoo JE, You DR, Park GS (2003)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71-37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