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의 확률강우량 전망
Prospect of Design Rainfall in Urban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6, 2013년, pp.683 - 696  

손아롱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 토목공학부) ,  배성환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 토목공학부)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 토목공학부) ,  조완희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지역에서는 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치수계획 수립의 기초가 되는 확률강우량을 초과한 국지적인 집중호우는 도시지역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강우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신뢰도를 향상시킨 확률강우량 산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의 확률강우량 산정에는 강우의 시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상청 강우관측소 지점의 자료를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영향 및 강우의 시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한 확률강우량을 예측하였다. 강우의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AWS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부족한 강우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우발생 모형인 WGR 모형을 적용하였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치수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inundation damage has frequently occurred due to heavy rainfall in urban area, because rainfall has locally occurred exceeding the capability of a flood control plan by the exiting design rainfall from the data of Seoul weather station.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GR 모형은 관측된 강우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강우의 군집특성 및 이송 확산에 의한 시·공간적인 변화를 고려하는 강우자료를 모의 발생하는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WGR 모형을 적용하여 대상 관측소의 시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한 강우자료를 모의 발생하여 부족한 강우자료를 확충함으로써, 대상유역에서의 확률강우량 산정에 있어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산정된 대표 매개변수와 강우발생과 관련한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강우발생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대상지역의 강우특성이 반영되고 신뢰도가 향상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강우자료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강우발생 모형을 적용한 강우자료의 확충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군집특성 및 이송 확산에 의한 시 공간적인 변화를 고려하는 다차원 강우발생 모형인 WGR (Waymire-Gupta-Rodriguez-Iturbe) 모형을 적용하여 과거 관측된 강우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대상 AWS 관측소의 시간적,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한 강우자료를 발생시켰고, 강우발생 모의를 통해 확충된 강우자료를 적용하여 대상지역에서의 보다 신뢰도를 향상시킨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발생을 통한 강우자료의 확충에 앞서, 강우자료의 보유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에 기초하여 확률강우량이 수렴하는 최소한의 강우자료 보유기간을 찾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따라서 30년부터 10년 단위로 강우발생기간을 구분하여 강우를 발생시킨 결과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도시지역의 시·공간적 강우특성을 토대로 미래의 기후변화 영향 하에서 확률강우량이 어떻게 변할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재 여러 치수계획의 설계에 쓰이는 확률강우량은 과거 강우양상의 정상성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나 장기적인 변동의 영향을 고려하지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비정상을 고려한 강우량 증가와 이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양상을 예측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률강우량의 신뢰도 충족에 요구되는 최소기간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기상청에서 관할하는 강우관측소 지점 이외에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를 이용해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영 중에 있으나, 강우자료 보유년수가 20년 이하로써 강우분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의 신뢰도 충족에 요구되는 최소기간인 30년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우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강우자료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통계적 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감소하게 된다.
강우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기상청에서 관할하는 강우관측소 지점 이외에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를 이용해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영 중에 있으나, 강우자료 보유년수가 20년 이하로써 강우분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의 신뢰도 충족에 요구되는 최소기간인 30년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우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며, 강우자료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통계적 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강우자료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강우발생 모형을 적용한 강우자료의 확충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시지역에서 국지적인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양상 및 패턴의 변화와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인한 불투수면적 증가 및 하천저지대 개발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에서는 국지적인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극한 강우에 대한 시·공간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확률강우량을 예측하는 것은 도시방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S.H. (2012).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Rainfall in Urban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M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 Cho, W.H. (2011). Flood Hazard Mapping by Applying WGR Rainfall Generation Model.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3. Islam, S., Bras, R.L., and Rodriguez-Iturbe, I. (1988). "Multi-dimensional Modeling of Cumulative Rainfall : Parameter Estimation and Model Adequacy through a Continuum of Scales."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4, No. 7, pp. 985-992. 

  4. Jung, K.S., Yoo, C., and Kim, J.H. (2001). "Estimation of the WGR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 Parameters using Genetic Algorith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4, No. 5, pp. 473-486. 

  5. Kim, S.D., Yoo, C., Kim, J.H., and Yoon, Y.N. (2000). "A Study of Temporal Characteristics From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3, No. 6, pp. 783-791. 

  6. Koepsell, R.W., and Valdes, J.B. (1991). "Multi-dimensional Rainfall Parameter Estimation from Sparse Network."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7, pp. 832-850. 

  7. Mays, L.W., and Tung, Y.K. (1992). Hydrosyste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McGraw-Hill, Inc. 

  8.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2000). The Rainfall Frequency Atlas in Korea.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08). Report on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in Han River Basin. 

  1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2011). Report on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the IPCC 5th Assessment Report. 

  11. North, G.R., and Nakamoto, S. (1989). "Formalism for Comparing Rain Estimation Designs." Journal of Atmospheric Oceanic Technology, AMS, Vol. 6, pp. 985-992. 

  12. Rodriguez-Iturbe, I., and Eagleson, P.S. (1987). "Mathematical Models of Rainstorm Events in Space and Time."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3, No. 1, pp. 181-190. 

  13. Rodriguez-Iturbe, I., Cox, D.R., and Isham. V. (1987). "Some Models for Rainfall Based on Stochastic Point Process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Royal Society, Vol. A410, No. 1839, pp. 269-288. 

  14. Valdes, J.B., Ha, E., Yoo, C., and North, G.R. (1994). "Stochastic characterization of space-time rainfall : Implications for remote sensing."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7, pp. 47-99. 

  15. Valdes, J.B., Nakamoto, S., Shen, S.S.P., and North, G.R. (1990). "Estimation of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Parameters by Areal Estimates of Oceanic Rainfal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GU, Vol. 95(D3), pp. 2101-2111. 

  16. Valdes, J.B., Rodriguez-Iturbe, I., and Gupta, V.K. (1985). "Approximations of Temporal Rainfall from a Multi-Dimensional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1, No. 8, pp. 1259-1270. 

  17. Waymire, E., Gupta, V. K., and Rodriguez-Iturbe, I. (1984). "A Spectral Theory of Rainfall Intensity at the Meso- ${\beta}$ Scale."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0, No. 10, pp. 1453-1465. 

  18. Yoo, C. (1997).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s to the Sampling Error Probl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0, No. 5, pp. 441-447. 

  19. Yoo, C., Valdes, J.B., and North, G.R. (1996). "Stochastic modeling of multi-dimensional rainfall fields considering spectral structure."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32, No. 7, pp. 2175-2187. 

  20. Yoo. C., Kim, S.D., and Yoon, Y.N. (2002a). "Estimation Error of Areal Average Rainfall and Its Effect of Runoff Comput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5, No. 3, pp. 307-319. 

  21. Yoo, C., Kim, S.D., Ha, E., and Kim, S.J. (2002b). "Rainfall Error and Runoff Error-(II)Rainfall Generation and Error Ana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2, No. 6B, pp. 765-7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