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떡볶이떡 품질 개선에 자몽종자 추출물과 산도 조절제의 효과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Acid Regulation Agents on the Qualities of Topokkidduk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948 - 956  

강호진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이현유 (한국식품연구원)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노화현상으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점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류 제품 중 대중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가래떡의 일종인 떡볶이떡에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떡볶이떡의 품질개선을 확인해보고자 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수분, 색도, pH, 기계적 조직감, 미생물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살펴 보았다. 떡볶이떡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자몽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떡볶이 떡의 색도측정 결과 산도조절제 첨가떡의 L, a, b 값이 자몽씨 추출처리군과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떡볶이떡의 기계적 강도는 저장 온도보다 첨가제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떡볶이의 경도가 무첨가군인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는 떡볶이떡의 미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첨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가 저장중 미생물 생장을 지연시키며 저장 15일까지 품질을 유지시켜 주어 관능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첨가제로써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가 떡볶이떡의 품질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opokkidduk using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acid regulation agents. Topokkidduk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moisture, color, pH, texture, microbial composition, and sensory properties. The moisture content of Topokkidduk was highest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노화현상으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점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류 제품 중 대중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가래떡의 일종인 떡볶이떡에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떡볶이떡의 품질개선을 확인해보고자 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수분, 색도, pH, 기계적 조직감, 미생물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떡볶이떡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자몽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떡볶이떡의 품질개선에 필수적인 유통기한 연장을 목적으로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떡볶이떡에 첨가하여 이들 떡의 품질을 평가하고 최적의 유통조건을 확립하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볶이떡의 주재료는? 한편 2009년 농림수산식품부는 한식세계화 프로젝트에서 재료와 조리법이 간단한 떡볶이를 선정한 바 있다(3). 떡볶이떡은 주재료가 멥쌀이며 그 모양은 길고 둥글 기도 하고 떡국떡처럼 슬라이스 되어 가늘게 둥글기도 한 떡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이며 대중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떡으로 조사되기도 하였다(4). 떡볶이떡에 대한 연구는 주로 떡볶이떡의 노화지연에 관한 연구(5-7), 조직감 개선(8) 및 인삼(9), 마늘(10), 스피루리나(11), 청립(12), 미강 (13), 카레분말(14), 볶음미강(15) 및 발아현미(16)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가래떡의 품질특성과 압출성형기의 조건에 따른 떡볶이떡에 대한 연구(17)가 주로 이루어져 있다.
떡류의 문제점은? 시장에는 다양한 떡류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시판되는 떡류의 가공제품들을 살펴보면 떡국떡과 떡볶기떡 자체로 판매되기보다 소스류와 함께 편의식품으로 간단하게 한 끼 해결할 수 있는 식사대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떡 카페는 구식 카페에 길들여져 있던 소비자들에게 정통 카페라는 강한 인식을 주면서 건강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인 남녀노소 모두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떡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유통기한이 짧아 재고처리가 어려워 유통상의 제한으로 시장개척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떡류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저장성 증진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으로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과제이다.
떡볶이떡에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였을 때 미생물 생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즉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떡볶이의 경도가 무첨가군인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는 떡볶이떡의 미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첨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가 저장중 미생물 생장을 지연시키며 저장 15일까지 품질을 유지시켜 주어 관능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첨가제로써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가 떡볶이떡의 품질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um JS, Lee HY, Park JD. 2011. Study of processing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for exportation of traditional rice product. KFREI report 308005-3. p 15. 

  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2012 Food policy. FOOD Journal. p 40. 

  3. Kang HJ, Lee JK, Lim J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with different moisture rati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61-565. 

  4. Kim OS, Shin MJ.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according to age in capita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44-452. 

  5. Kim SS, Chung HY. 2007. Texture properties of a Korean rice cake (Karaedduk) with addition of carbohydrate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05-1210. 

  6.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f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213-1221. 

  7. Kim SS, Chung HY. 2007.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20-1325. 

  8. Song JC, Park HJ. 2003. Functions of various hydrocolloids as anticaking agents in Korean rice c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53-1261. 

  9. Lee JK, Jeong JH, Lim J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26-434. 

  10. Kim MS, Park JD, Lee HY, Park SS, Kum JS. 2012.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prepared with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82-987. 

  11. Kim MY, Jeong YK, Son CW, Jhon ES,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Spriulina added Korean rice cake (Garaedu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e 16: 8-16. 

  12. Shin AC, Song JC. 2004.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 in Korea rice cake (garaeduk) by various surfact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18-1223. 

  13. Choi E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ice bran.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4. Ahn JW. 2009. Properties of rice cakes for Topokki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67-473. 

  15. Choi EH, Lee J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oasted rice bran. Korean J Culinary Res 16: 277-286. 

  16. Shin DS, Park HY, Han GJ, Kim M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with different ratios of non-glutinous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853-859. 

  17. Kang HJ, Kum JS, Jung JH, Lim JK. 2011. Effect of number of extrusion on Topokkidduk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12-1616. 

  1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10. 

  19. Park HK, Kim SB.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9: 526-531. 

  20. Yang SK, Kim JJ, Kim SJ, Oh SW. 2011. Synergistic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EDTA and heat on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469-1473. 

  21. Kim RY, Kim CS, Kim HI.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76-1083. 

  22. Cho MS, Lee J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aprik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3-339. 

  23. Shin YJ, Park G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ricot Sulgidduk by the saccharides assor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33-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