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한 젖산균 전배양용 식용 배지의 제조
Edible Culture Media from Cereals and Soybeans for Pre-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991 - 995  

박소림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  박선현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  장지은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  양혜정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  문성원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젖산균 모배양용 식용배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용 배지의 제조를 위하여 곡류는 발아현미, 찰현미, 발아찰현미를 사용하였고, 두류는 대두콩(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대두콩, 발아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과 검은 대두콩(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검은 대두콩, 발아 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으로 나누어서 젖산균 증식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젖산균은 Lactobacillus(Lb.) farciminis, Lb. homohiochii, Lb. pentosus, Lb. plantarum, Leuconostoc(Leu.) paramesenteroides, Leu. citreum 및 Leu. lactis 총 7종이다. 곡류를 이용한 식용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7개 종균의 평균 균수는 7.6~8.0 log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대두콩으로 제조한 식용배지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 배지에서 대부분의 균이 높은 증식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Lb. plantarum은 10.08 log CFU/mL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검은 대두콩의 경우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증식량이 많았다. Lb. homohiochii는 껍질제거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9.90 log CFU/mL로 가장 많은 증식량을 보였다. 모든 결과에서 곡류와 두류를 이용한 식용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때 젖산균 증균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가장 증식량이 우수한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 식용 배지를 향후 젖산균 모배양에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dible culture media with various types of cereals and soybeans for the pre-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o manufacture the edible culture media, LAB enrichment media were prepared using cereals such as brown rice (including germinated brown r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천연물 이용 식용배지는 기존에 김치 제조시 기호도 향상을 위해 곡물풀과 콩물을 첨가하는 것을 감안할 때, 풍미개선 대체제로서의 역할도 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용 젖산균 발효용 배지는 발효 종균의 활성 증진 기능뿐만 아니라 합성배지 사용 시 제기되던 여러 가지 비용적, 시간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풍미개선제로서의 역할 또한 기대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젖산균 모배양용 식용배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용 배지의 제조를 위하여 곡류는 발아현미, 찰현미, 발아찰현미를 사용하였고, 두류는 대두콩(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대두콩, 발아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과 검은 대두콩(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검은 대두콩, 발아 검은 대두콩, 껍질을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으로 나누어서 젖산균 증식배지를 제조하였다.
  • 그러나 일률적인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종균사용에 의한 품질 균일화가 반드시 필요하다(24,25). 이에 본 연구는 종균 전배양액을 직접 김치에 사용할 목적으로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한 젖산균 전배양용 식용배지를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산균은 어디에서 서식하는가? 젖산균은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다량 생성하는 세균이며 식품 발효에 주로 이용되는 균 중 하나이다(1-3). 젖산균은 인체 및 포유류의 장내에서 서식하며,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정균작용 때문에 정장제로도 이용되고 있다(4-6). 또한 낮은 pH 및 혐기적인 조건에서도 잘 생육하며 여러 가지 생리물질을 생성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 등의 식품제조에 활용하고 있다(7-9).
미생물만을 위한 배지를 사용하여 식품발효에 전배양물로 사용할 경우, 균체만을 본 발효에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미생물만을 위한 배지를 사용하여 식품발효에 전배양물로 사용할 경우는 식품의 적합성 때문에 배지를 분리하여 제거한 뒤, 균체만을 본 발효에 사용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배지의 구성성분 중에는 섭취 시 인체에 위해한 성분을 포함하거나 독성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들이 있어 위험성이 존재할 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가지는 화학시약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위와 같은 처리과정 없이 배양액을 식품발효에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18-20). 특히 젖산균 배양에 주로 사용되는 MRS 배지는 구성성분 중 tri-ammonium citrate(3.
젖산균이란 어떤균인가? 젖산균은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다량 생성하는 세균이며 식품 발효에 주로 이용되는 균 중 하나이다(1-3). 젖산균은 인체 및 포유류의 장내에서 서식하며,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정균작용 때문에 정장제로도 이용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i GE. 1994.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intestinal microbial flora in Korea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453-458. 

  2. Doron S, Snydman DR, Gorbach SL. 2005. Lactobacillus GG: bacter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34: 483-498. 

  3. Muller DM, Carrasco MS, Tonarelli GG, Simonetta AC. 2009.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new bacteriocin with a broad inhibitory spectrum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lp 31 strain isolated from dry-fermented sausage. J Appl Microbiol 106: 2031-2040. 

  4. Gill HS. 2003. Probiotics to enhance anti-infective defenc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7: 755-773. 

  5. Jayaprakasha HM, Yoon YC, Paik HD. 2005. Probiotic functional dairy foods and health claims: an overview. Food Sci Biotechnol 14: 523-528. 

  6. Saarela M, Lahteenmaki L, Crittenden R, Salminen S, Mattila- Sandholm T. 2002. Gut bacteria and health foods-the European perspective. Int J Food Microbiol 78: 99-117. 

  7. Kim MJ, Kim GR. 2006.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Korean J Culinary Res 12: 259-268. 

  8.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9. Yu R. 1995. Effect of dietary hot red pepper powder on humoral immune response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4: 837-842. 

  10. Lee SG, Lee YJ, Kim MK, Han KS, Jeong SG, Oh MH, Jang A, Kim DH, Bae IH, Ham JS. 2010. A study on the yogurt manufacture suit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B55 isolated from Kimchi . J Animal Sci Technol 52: 141-148. 

  11. Lee AY, Park JY, Hahn YS. 2006. Study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jeung-pyun prepared with lactic bacteria having high dextransucrase activity as start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0-407. 

  12. Lee JY, Kim CJ, Kunz B. 200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studies on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as starter cultur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 Meat Sci 72: 437-445. 

  13. Lim CR, Park HK, Han HU. 1989.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Kor J Microbiol 27: 404-414. 

  14. Kim MJ, Kim BH, Han JK, Lee SY, Kim KS. 2001. Analysis of quality properties and fermentative microbial profiles of Takju and Yakju brewed with or without steaming process. J Fd Hyg Safety 26: 64-69. 

  15. Shim ST, Kyung KH, Yoo YJ. 1990.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ing kimchi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73-379. 

  16.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7.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18. Park SJ, Kim DH, Paek NS,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88-94. 

  19. Ha MY, Chung SY, Kim SH.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333-338. 

  20. Kim YH, Lee KB, Moon SH. 1999. A study on industrial media for production of lactic acid in batch and continuous fermentation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4: 181-187. 

  21. Ahn YT, Kim GB, In YM, Jeong SG, Ham JS, Kim DW, Lee KU, Kim SK, Kim HU. 2000. A study on the production medium of lactic acid bacteria cells by using corn steep liquo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 181-191. 

  22. http://www.sigmaaldrich.com/catalog/product/sigma/a1332?langko®ionKR#. 

  23. Heenan CN, Adams MC, Hosken RW, Fleet GH. 2002. Growth medium for culturing probiotic bacteria for applications in vegetarian food products. LWT-Food Sci Technol 35: 171-176. 

  24. Kim HJ, Kang SM, Yang CB. 1997. Effects of yeast addition as starter on fermentation of kimchi .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90-799. 

  25. Jin HS, Kim JB, Yun YJ, Lee KJ. 2008. Selection of kimchi starters based on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kimchi and their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71-675. 

  26. Han GJ, Choi HS, Lee SM, Lee EJ, Park SE, Park KY. 2011.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115. 

  27.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S,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99-1404. 

  28. Natio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ision. p 14-74. 

  29. Beak LM, Kang KM, Park LY, Lee SH. 2012.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oo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Preserv 19: 547-553. 

  30. Yang CB, Kim ZU. 1980.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in soybean sprout. evaluation of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3: 7-13. 

  31.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