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과 관련요인
Child Abuse Recogni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8 no.2, 2013년, pp.85 - 96  

조유향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정영해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관심 및 경험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2개 간호학과 임상실습을 경험한 3-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인식 측정도구를 번안한 44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문조사자에 의해 실시한 결과 370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관련요인 특성 별 아동학대 인식 비교는 독립표본 t-검정 방법을, 관련 요인 파악은 후진제거방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은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법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으며,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경험도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다 보니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경험도 거의 전무하였다. 교육이나 훈련경험, 법에 대한 인지도는 고학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간호학에서 일부 다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아동학대 인식은 3.01점으로 도구에 포함된 행동을 '가끔'이라도 하면 학대로 인식하는 수준이었다. 하부 영역에서는 성적 학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신체학대, 심리적 학대가 그 다음 이었고, 방임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평소 아동학대에 관심이 있거나, 학대가 의심될 때 관심이 있는 학생의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대학생은 미래 신고의무자가 될 의료인으로서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과 인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을 강화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measures nursing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ld abuse and identifies the factors related to varying levels of recognition.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70 third and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du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아동학대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아동학대 인식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관련 특성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에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 아동학대를 주제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어 비교, 논의가 쉽지 않아 기존의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및 외국의 연구 결과와 비교, 논의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3, 4학년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관심과 신고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여 아동학대 신고와 대응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간호 대학생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관심 및 신고 경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며, 둘째 간호대학생의 특성별 아동학대의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셋째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 관련요인을 검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 아동학대 실태에서 미국은 매 해마다 몇 명의 아동학대로 보고되고 있는가? WHO 아동학대 실태(2010)를 보면, 매년 15세 미만 아동 31,000명이 학대로 사망에 이르며, 여아의 20%, 남아의 5%~10%가 성적 학대를 경험하고, 전체 아동의 25%~50%가 신체학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미국은 해마다 3백만명이 아동학대로 보고되고 있다[3]. 우리나라의 아동학대는 2001년 아동학대 발생률(아동 1만명당 아동학대율)이 1.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를 사회문제로 규정한 시점은?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를 사회문제로 규정하고 국가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 아동복지법 개정 이후이다. 십년이 지난 2011년 현재, 전국에 총 45개의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설치, 운영되고 있지만, 아동학대가 사회문제의 하나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1], 아동학대의 예방과 사후대처를 위한 아동보호체계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아동학대의 예방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가? 십년이 지난 2011년 현재, 전국에 총 45개의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설치, 운영되고 있지만, 아동학대가 사회문제의 하나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1], 아동학대의 예방과 사후대처를 위한 아동보호체계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실제 아동학대의 예방을 위해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범국민적으로 아동학대의 예방과 방지에 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11월 19일을 아동학대예방의 날로 지정하고, 아동학대예방의 날부터 1주일을 아동학대예방주간으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아동학대예방의 날의 취지에 맞는 행사와 홍보를 실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M. Child abuse and child protective servic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11;8(2):95-113 (Korea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Child Abuse prevention Guidelin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10, pp.8-12 

  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ouse and Health Services(USDHHS). Child welfare Statistics. USA, 2005, pp.25-28 

  4. 국가인권위원회. 아동학대실태조사-방임아동을 중심으로-. 2006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07, pp.1-10 

  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09;152:123-125 (Korean) 

  6. Huh N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3;53:209-230 (Korean) 

  7. Kim JS &Park, G.S. Predictors of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mong nurse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5;11(2):211-220 (Korean) 

  8. Kim TI. Child abuse. J of Nursing Query 2007;6(1): 51-77 (Korean) 

  9. Kim SA. Long-term consequences of childhood physical and sexual abus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7;6(1):192-201 (Korean) 

  10. 小笹(Ozasa)美子. 保健師のごどもの虐待にか かわる頻度ど對應に關する硏究. ごども未來 財團, Japan, 2011, pp.20-48 

  11. Kim CK, Lee JO, Song YJ. A study of child abuse through the newspaper and research papers. The J of Play Therapy 2009;15(2): 97-109 (Korean) 

  12. Chong CO. Day 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 abus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5;30:298-325 (Korean) 

  13. Choi KI.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s to report a child abus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1;13(1):27-46 (Korean) 

  14. Kang JS, Chung YS. Survey of child abuse and awareness of teachers about child abuse in Bucheon city. Social Welfare Review 2002;7:145-166 (Korean) 

  15. Kim YH. A study of special school teachers' awareness on child abuse. The Education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06;48:1-13 (Korean) 

  16. Chung WJ. Influencing factors on the exclusion of intention in reporting of child abuse, -focus on day care center teach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09;27: 133-152 (Korean) 

  17. Park EM. A study on the educare teacher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child abuse. J of Wellfare Adm. 2010;26:119-138 (Korean) 

  18. Kim MJ. A study on recognition of the Mandatory report of child abuse by social worker-focu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dissertation]. Seoul, Ewha University, 2006 (Korean) 

  19. Kim EJ & Cho KM. A study on childhood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buse victim and the perception about severity child abus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011;15(2): 97-109 (Korean) 

  20. 법제처. 아동복지법. [cited 2012 Jun 5]. Available from : URL:http://www.law.go.kr/main.html 

  21. Kin CN, Park JS, Lee KH, Park KM, Kwon YS, Koh HJ. Curriculums analysis on 4 years nursing college education in Korea. Keimyung Nursing Science 2004;8(1): 48-56 (Korean) 

  22. Kim EK. Attitude survey on child abuse of nursing students. Theses of Hyechon College 2002;47-53 (Korean) 

  23. Moon JH. Rel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of childhood and child abuse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9;12(2):107-118 (Korean) 

  24. Delia RM, Villela Bueno SM, Silva EC. Conceptions of nursing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related to psychoactive substances. Ra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08;16:627-633 

  25. Park GH.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n child abuse of the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Gwang Ju, Honam University, 2005 (Korean) 

  26. Bryant JK. School counselors and child abuse reporting: A national survey.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2009;12(5):1-11 

  27. Ahn HY, Kim SJ, Ko JA. Child abuse in high-risk grou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6):775-783 (Korean) 

  28. Kim YH, Yun EY, Lee NY. A survey on perception of child abuse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6;10(2):189-197 (Korean) 

  29. Korean Nurse Association, Korean nurse ethics guideline. Seoul, 2007;3: 8 (Korean) 

  30. Bjorn T, Britt B, Ygge B-M. Nurses' experience in clinical encounters with children experiencing abuse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718-2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