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 평가 - 가평군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n the Forest Conservation Value Considering Forest Ecosystem Services - The case of Gapyung-gun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5, 2015년, pp.420 - 431  

김예화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조경학) ,  정승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정슬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산림 생태계의 보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림생태계는 생물다양성 유지, 기후조절, 물 조절 등에서 생태적 가치를 나타 내며 평가를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생물다양성 유지는 생물의 보전을 위한 서식지의 구조적인 특성과 생물종의 분포 특징을 같이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기후조절은 탄소흡수량으로 계산하였고 물 조절은 물저장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평군 산림의 50.1%가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으로 나타났고, 국내 산림의 보전가치가 평가되고 있는 국내 환경지도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분포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가평군에 특화된 도면이나 평가 방법은 전국 산림의 보전가치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have become main issues in recent times, the role of the forest ecosystem has been more important and forest conservation has been highligh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forest area with high conservation values in Gapyung-gun by considering forest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특성을 나타내는 산림 생태계 서비스 지표를 반영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 지역을 도출하고자 한다.
  • 각 지표의 핫스팟은 생태계 기능이 높은 지역이며 산림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유지, 기후조절, 물조절 지표의 핫스팟을 중첩하여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지를 전국이 아닌 가평군으로 적용 하였기에 분석 결과는 가평군에 특화된 도면이나 분석 방법은 전국 단위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산림의 경제적, 문화적 가치가 아닌 생태적 가치를 평가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는 산림의 전체 보전가치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추후 산림생태계 영향평가 방안 수립의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즉 산림 생태계의 보전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 보호 및 유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지역차원에서 필요한 생태계 서비스도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생물다양성 유지, 산림의 기후조절 서비스, 물 조절 서비스로 가평군 산림의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 북한강을 따라 뻗어 있는 F지역(호명산; 632m)은 산지구분도에서 준보전산지로 보전가치가 낮게 평가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토양, 수목 등 생태계 구조가 우수하여 기후조절, 물조절 측면에서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지구분도는 합리적인 이용과 보전을 목적으로 구성된 지표를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오로지 산림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적용하였기에 목적에 따른 차이점이라 볼 수 있다.
  • Getis-Ord Gi*통계 분석은 국지적 공간자기상관의 측정을 통하여 현상의 불균일한 분포 속에서 높은 속성 값의 군집 (hot spot)과 낮은 속성 값의 군집(cold spot)을 분류할 수 있다(Getis and Ord, 1996; 김경민, 2012). 이 분석은 생물종의 서식지 경계, 탄소흡수 및 물 조절 기능 값의 공간분포를 군집화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희귀도는 RWRI(Rairity-Weight Richness Index) 지수로 계산되었다. 이는 종풍부도에서 생략되는 희귀종의 가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멸종위기종 서식지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완모, 김지원, 박찬열, 성주한. 2014. 국내 7대 광역시 산림 연결성 비교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6(2), 93-102. (Kang WM, Kim JW, Park CR, Sung JH. 2014. Comparing Connectivity in Forest Networ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2), 93-102.) 

  2. 김상균. 2011.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연계를 고려한 산림공익기능평가기법 개발 연구, 산림청. (Kim SG.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to valu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s, connected with payment scheme for forest ecosystem services, Korean Forest Services.) 

  3.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 2008.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10-21. (Kwon SD, Park YK, Kim EH. 2008. Study on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using GISChuny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10-21.) 

  4. 권혁수. 2011. 보호지역 계획을 위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권역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Gwon H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5. 김경민. 2012. 생장모델과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 탄소저장량 공간 분포 추정및 불확실성 평가 충북 단양지역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Kim KM. 2012. Spatially explicit estimation and the uncertainty analysis of carbon stocks in pine forest using growth model and GI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6. 김종호, 이경학, 박찬우, 서정원, 손영모, 김경하, 윤호중, 박찬열, 이승우, 오정수. 2006.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2), 7-15. (Kim JH, Lee KH, Park CW, Seo JW, Son YM, Kim KH, Youn HJ, Park CR, Lee SW, Oh JS. 2006. Nonmarket valuation of forest resourc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2), 7-15.) 

  7. 김지연, 권혁수, 서창완, 김명진. 2014. 전국단위의 포유류 생물다양성우수지역 분석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3(6), 453-465.(Kim JY, Kwon HS, Seo CW, Kim MJ. 2014.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6), 453-465.) 

  8. 박은진, 강규이. 2010.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5), 591-600.(Park EJ, Kang GY. 2010. Estimation of C Storage and Annual CO2 Uptake by Street Trees in Gyeonggi-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91-600.) 

  9. 산림청. 2012.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Carbon Emission Factors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y Species in Korea, Korean Forest Service.) 

  10. 서창완, 박유리, 최윤수. 2008.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지형공간정보, 16(4), 59-64. (Seo CW, Park YR, Choi YS.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 59-64.) 

  11. 송원경, 김은영, 이동근. 2012. 이질적 경관에서의 연결성 측정: 리뷰 및 적용, 환경영향평가, 21(3), 391-407. (Song WK, Kim EY, Lee DK. 2012. Measuring Connectivity in Heterogenous Landscapes: a Review and Appli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3), 391-407.) 

  12. 이도원. 2001. 경관생태학-환경계획과 설계, 관리를 위한 공간 생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Lee DW. 2001. Landscape Ec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3. 이동근, 송원경. 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5), 64-72. (Lee DK, Song WK. 2008.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s for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Focus on Chungchenong Province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64-72.) 

  14. 이종열, 주효진, 노지영. 2010.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0(3), 301-317.(Lee JY, Ju HJ, Roh JY. 2010. Research on Priority of Forest Values based on AHP, Korean Policy Studies, 10(3), 301-317.) 

  15. 정승규. 2014. 수변 코리더 연결성 평가모형(RHSM)-강원도 섬강유역을 사례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Jeong SK. 2014. Evaluation Model of Riparian Corridor Connectivity: A case Study of Seom River Basin, Gangwon-do,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조윤숙. 2014. 산림자원 및 산림의 공익기능량 추정을 위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한국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15(3), 5-36.(Cho YS. 2014. Development of a System Dynamics Model for Estimating the Volume of Forest Resources and Function of Public Benefit,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5(3), 5-36.) 

  17. 최태영, 박종화. 2004. 설악산 국립공원내 산양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과 퍼지집합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회지, 32(4), 28-38. (Choi TY, Park JH. 2004. Korean Groal Potenti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t Soraksan National Park Using Fuzzy Set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 28-38.)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생태자연도 활용에 있어 식생보전등급 적용 방안 연구, 환경부. (Korean Environmental Institute. 2004. The Study of Vegetation Conservation Ratings Apply for Ecosystem and Nature Map, Ministry of Environment.) 

  19. 환경부. 2013.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Indicators and Standard of Kore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20. Beazley K, Smandych L, Snaith T, Mackinnon F, Austen-Smith JP, Duinker P. 2005. Biodiversity consideration in conservation system planning: Map-based approach for Nova Scotia, CANADA, Ecological Applications, 15(6), 2192-2208. 

  21. Bugalho MN, Dias FS, Brinas B, Cerdeira JO. 2015. Using the high conservation value forest concept and Pareto optimization to identify areas maximizing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cork oak landscape, Agroforestry Systems, doi: 10.1007/s10457-015-9814-x. 

  22. Condit R, Pitman N, Leigh EG, Chave J, Terborgh J, Foster RB, Nunez P, Aguilar S, Valencia R, Villa G, Muller-Landau HC, Losos E, Hubbell SP. 2002. Beta-diversity in tropical forest trees, Science, 295(5555), 666-669. 

  23. Getis A, Ord JK. 1996. Local spatial statistics: an overview in Longley, P. and Batty, M (eds.), Spatial analysis: modelling in a GIS environment, Cambridge: GeoInformation International, 261-277. 

  24. Grassman JLI, Tewes ME, Silvy NJ, Kreetiyutanont K. 2005. Spatial organization and die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orth-central Thailand, Journal of Zoology (London), 266, 45-54. 

  25. Hanski I. 1999. Habitat connectivity, habitat continuity, and metapopulations in dynamic landscapes, Oikos, 87(2), 209-219. 

  26. Hooper DU, Chapin FS, Ewel JJ, Hector A, Inchausti P, Lavorel S, Lawton JH, Lodge DM, Loreau M, Naeem S, Schmid B, Setala H, Symstad AJ, Vandermeer J, Wardle DA. 2005. Effects of biodiversity on ecosystem functioning: A consensus of current knowledge, Ecological Monographs, 75, 3-35. 

  27. Legendre P, Borcard D, Peres-Neto PR. 2005. Analyzing beta diversity: partitioning the spatial variation of community composition data, Ecological Monographs, 75(4), 435-450. 

  28. Myers N, Mittermeier RA, Mittermeier CG, Fonseca GAB, Kent J. 2000.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Nature, 403, 853-858. 

  29. Palmer M, Bernhardt E, Chornesky E, Collins S, Dobson A, Duke C, Gold B, Jacobson R, Kingsland S, Kranz R, Mappin M, Martinez ML, Micheli F, Morse J, Pace M, Pascual M, Palumbi S, Reichman OJ, Simons A, Townsed A, Turner M. 2004. Ecology for a crowded planet, Science, 304, 1251-1252. 

  30. Philips SJ, Anderson RP,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31. Primack RB. 2003.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32. Rayden T. 2008. Assessment,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igh Conservation Value Forest(HCVF): A practical guide for forest managers, ProForest, Oxford. 

  33. Soule ME. 1986.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34. Taylor PD, Fahrig L, Henein K, Merriam G. 1993. Connectivity is a element of landscape structure, Oikos, 68(3), 571-573. 

  35. Thorne JH, Roth N, Boynton R. 2014. The San Joaquin Valley Greenprint State of the Valley. 

  36. Tilman D, Reich PB, Knops JMH. 2006. Biodiversity and ecosystem stability in a decade-long grassland experiment, Nature, 441, 629-632. 

  37. 村井 宏, 岩崎勇作. 1975. 森林狀態的差異對地表逕流, ?透以及沖蝕的影響, 陳信雄譯, 國立台灣大學森林學系防砂工程學硏究室.(Murai H, Isamu I. 1975. The impact of surface runoff, infiltration and erosion in different forest status, School of Forestry and Resource Conservation, National Taiwa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