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TOD 계획요소별 공간적 특성 분류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TOD Planning Elements of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2, 2013년, pp.1 - 15  

최형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김태호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역세권은 전통적인 대중교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그러나 역세권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나, 그러한 실증연구 분석은 다소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교통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 고밀도의 서울시를 대상으로 역세권의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철도역으로 부터의 거리별로 TOD계획요소(밀도, 다양성, 접근성 등)를 중심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요인분석GIS 공간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유형화된 역세권의 특성 요인을 활용하여 국내 실증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역세권의 TOD 통합 계획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흥미로운 결과는 첫째, 토지이용과 대중교통, 연계교통수단의 특성이 별개로 유형화되며, 둘째, 역세권의 유형에 대한 유형을 명명하면, 고밀-상업, 업무형(Factor1), 소규모 획지형(Factor2), 주거밀집형(Factor3), 복합개발형(Factor4), 연계수단형(Factor5), 타역인접형(Factor6), BRT혼합형(Factor7)으로 총 7개 유형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세권의 영향요인 및 유형별로 공간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BRT혼합형(Factor7)의 경우는 서울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분포하는 도로 부분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으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역세권도 확인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각 역세권 공간적 특성 및 영향요인을 확인가능하고, GIS와 연동 가능하므로 도시 및 교통관련 정책입안자들에게 역세권의 개발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way station areas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elemen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planning so that its implementation can be effective in attaining both increase in transit ridership and decrease in inor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도 자료수집과 분석을 연동할 수 있는 GIS를 분석에 포함하여, 서울시의 공간구조 및 시각적 분포(Hot Spot, Cold Spot)를 토대로 보다 면밀한 유형특성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일 역세권의 반경만을 고려하지 않고, 역세 반경별 TOD 계획요소를 250m 단위의 Buffer(최대 1,500m)로 구분수집하고, 역세권 특성별 유형 및 도시공간에 분포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철도 역세권을 중심으로 역세권의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TOD계획요소에 대한 유형 특성을 도출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요인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역세권의 특성을 명명하고, 이를 GIS와 연계하여 공간적 분포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OD 계획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설정하였다. 이들 계획요소를 밀도(density), 복합적 토지이용(diversity), 도시설계(design) 로 구분하고 있다. 계획요소별 이들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밀도(density)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의 이용정도를 제고하는 가장 큰 계획요소 중의 하나이며, 개발된 밀도의 수준과 형태에 따라서 영향력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TOD 계획요소 중 밀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들 계획요소를 밀도(density), 복합적 토지이용(diversity), 도시설계(design) 로 구분하고 있다. 계획요소별 이들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밀도(density)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의 이용정도를 제고하는 가장 큰 계획요소 중의 하나이며, 개발된 밀도의 수준과 형태에 따라서 영향력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LUM 지수 값의 범위와 값에 따른 특징은 무엇인가? 이 지수는 Frank and Pivo(1994) 가 GIS 기반 토지이용 자료를 활용하여 개발한 것(Cerin et al., 2007)으로, 0~1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토지이용의 복합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 지수는 토지이용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자주 적용되어왔다(예: Fran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g, S.S. and H.B. Kim.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ngthened development density toward roads in development density management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3):175-186 (방수석, 김형복. 2003. 개발밀도관리구역 지정에 의한 개발밀도의 변화가 도로 시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3):175-186). 

  2. Cerin, E., E. Leslie, L. du Toit, N. Owen and L.D. Frank. 2007. Destinations that matter: associations with walking for transport. Health and Place 13:713-724. 

  3. Cervero, R. 1988. Land use mixing and suburban mobility. Transportation Quarterly 42(3):429-446. 

  4. Ewing, R. 1995. Beyond density, mode choice, and single purpose trips. Transportation Quarterly 49:15-24. 

  5. Frank, L.D. and G. Pivo. 1994. Impacts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single-occupant vehicle, transit, and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66: 44-52. 

  6. Frank, L.D., L.T. Schmid, J.F. Sallis, J. Chapman, and B.E. Saelens. 2005. Linking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with objectively measured urban for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2:117-125. 

  7. Gordon, P. and H. Richardson. 1997. Are compact city a desirable planning goal?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3(1):95-106. 

  8. Hwang, K.Y. S.Y. Shin and J.M. Kang. 2006. Estimating development density constrained by traffic congestion in the downtow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1):49-58 (황기연, 신상영, 강준모. 2006. 교통혼잡을 고려한 서울 도심부 개발가능 밀도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49-58). 

  9. Hwang, K.Y. and Y.H. Cho. 2005. Evaluating the traffic impacts of high-density development in the downtown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0(3):91-105 (황기연, 조용학. 2005. 도심고밀개발 전략의 교통영향분석. 국토계획 40(3):91-105). 

  10. Kim, C.H. 2007. Study on compact city model for sustainable new town development in Korea. Urban Research 42(2):49-68 (김찬호. 2007.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위한 한국형 압축도시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 42(2):49-68). 

  11. Kim, D.N. 2006. Making the old city center good city utilizing collabora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and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Social 3:206-212 (김도년. 2006."구(舊)도심" 다시 가꾸기 : 서울 강북 도심에서 지구단위계획과 도시건축의 융합. 건축과 사회. 3:206-212). 

  12. Kim, G.S. 2012.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l use condition of public open space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 12-22 (김경수. 2012. 공공공지 분포특성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지 15(2):12-22). 

  13. Kong, B.Z. 2006. A study on estimating development density by roadway ratio in development density management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공범진. 2006. 개발밀도관리구역 내 도로율에 의한 개발가능밀도 산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Krizek, K. 2003. Residential relocation and changes in urban travel: does neighborhood-scale urban form matter?.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9:265-281. 

  15. Lee, C. and A.V. Moudon. 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11):204-215. 

  16. Moon, Y.L. and J.H. Rho. 2012. A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model on Seoul subway station area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1):149-160 (문영일, 노정현. 2012.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서울시 도시철도역세권의 대중교통 이용수요 인과관계 모형개발. 국토계획 47(1):149-160). 

  17. Moudon, A.V., C. Lee, A.D. Cheadle, C. Garvin, D. Johnson, T.L. Schmid, R.D. Weathers and L. Lin. 2006. Operational definitions of walkable neighborhood: theoretical and empirical insight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1):99-117. 

  18. Nam, K.W. and J.G. Kim. 2007.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us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113-123 (남광우, 김정건. 2007.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13-123). 

  19. Oh, Y.T., T.H. Kim, J.J. Park and J.H. Rho.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Seoul subway area by land use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4):467-472 (오영택, 김태호, 박제진, 노정현. 2009.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9(4): 467-472). 

  20. Schlossberg M. and N. Brown. 2003. Comparing transit oriented developments based on walkability Indicator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1887(5) :34-42. 

  21. Sung, H.G. J.H. Rho. T.H. Kim and J.H. Park.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d use on travel pattern in the rail station areas of a dense city: a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1(4):59-75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 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59-75). 

  22. Sung, H.G. and J.T. Oh. 2011.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a high-density city: Identifying its association with transit ridership in Seoul, Korea. Cities 28(1):70-82. 

  23. Sung, H.G. and S.H. Choo. 2010. The effects of compact-city development at the living area of neighborhood level on modal split and self-sufficienc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1): 155-169 (성현곤, 추상호. 2010. 근린생활권 단위의 압축도시개발이 통행수단분담율과 자족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국토계획 45(1): 155-169). 

  24. Sung, H.G. and Y.J. Kwon. 2006. Impacts of firms' relocation to the Kangnam station area on residential relocation and commuting behavior of the employe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1(4):41-58 (성현곤, 권영종. 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41-58). 

  25.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2004.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CRP Report. 

  26. Wendell Cox and Joshua Utt. 2004. The Costs of Sprawl Reconsidered: What the Data Really Show, Backgrounder 1770, The Heritage Foundation (www.heritage.org). 

  27. Yun, J.M. and K.C. Seo. 2010. Deriving the declining areas and analysing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asur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64-73 (윤정미, 서경천. 2010. 쇠퇴지역 도출 및 공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64-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