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활용한 해양활동공간 중첩구역 산출 자동화 모형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Model for Selecting Overlapping Areas of Marine Activity Zone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5 no.3, 2022년, pp.59 - 73  

김범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박용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최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김태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해양은 이용과 보전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이를 해양공간의 핵심가치별로 사전에 정의하여 관리하는 실효적인 방법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에 해양공간계획을 통해 해양을 9개의 용도구역으로 구획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대상 해양공간에서 상호 배타적인 활동이 중첩되는 공간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의 핵심가치가 상충되는 공간을 도출하기 위한 자동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해양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가용 가능한 해양활동 자료를 수집하고 이중 상호배타적인 해양활동의 분석에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법정구역과 특성구역으로 분류한 후 중첩이 발생할 시 우선순위를 지정하기 위해 항목간의 쌍대비교를 통한 상충분석표를 제작하였다. 지정된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자동화 모델을 개발하여 해양의 활동이 상충되는 해역을 도출하여 가시화하고 상충되는 면적을 산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해양공간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주요 이슈가 발생하는 해역을 명확하게 도출하여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conflict between use and conservation of the ocean is intensifying in the ocean, so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n effective method to define and manage it in advance for each core value of ocean. Accordingly, although the ocean is divided into nine marine use zone and managed throug...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5)

  1. Azizi, A., B. Malekmohammadi, H.R. Jafari, H. Nasiri and V. Amini Parsa. 2014.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wind power plant site selection using ANP-DEMATEL in a GIS environment: case study of Ardabil province, Ira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6(10):6695-6709. 

  2. Cho, S.J. and H.J. Choi. 2018. Recent Trends and Their Implications of Marine Activities Mapping for Marine Spatial Planning.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1(4):270-280 (조성진, 최희정. 2018.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해양활동지도 제작 동향과 시사점 : 어선·선박 정보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21(4):270-280). 

  3. Chang, M.C., B.M. Park, Y.S. Choi, H.J. Choi, T.H. Kim, B.H. Lee. 2016. Data issue and Improvement Dire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4):175-190 (장민철, 박병문, 최윤수, 최희정, 김태훈, 이방희. 2018.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정보 현안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1(4):175-190). 

  4. Choi, H.J., J.H. Nam, M.R. Choa, T.W. Kim, S.M. Choi, W.H. Choi, H.W. Choi, T.H. Kim, D.S. Kang and J.S. Ryu. 2016. Process of identifying priority area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pp.117 

  5. Kim, T.H., H.W. Choi, C.Y. Lee, J.H. Oh and J.R. Han. 2017.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Marine Spatial Plann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54 

  6. Kim, T.H., H.W. Choi, C.Y. Lee, J.H. Oh and J.R. Han.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Marin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MSP Supporting.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183-184 

  7. Kim, B.K., H.W. Choi, C.Y. Lee and T.H. Kim. 2020. A study on the technique of deduce marine spatial planning management zone using GI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58-59 

  8. Kum, D.H., J.W. Choi, I.J. Kim, D.S. Kong, J.C. Ryu, H.W. Kang and K.J. Lim. 2011. Development of Automatic Extraction Model of Soil Erosion Management Area using ArcGIS Model Buil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1):71-81 (금동혁, 최재완, 김익재, 공동수, 류지철, 강현우, 임경재. 2011. ArcGIS Model Builder를 이용한 토양유실 우선관리지역 선정 자동화 모형 개발. 한국농공학회 53(1):71-81). 

  9.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KLIC). 2022a. https://law.go.kr/lsInfoP.do?lsiSeq239373&efYd20240112& ancYnChk0#0000. (Accessed August 20, 2022). 

  10.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KLIC). 2022b. https://law.go.kr/lsInfoP.do?lsiSeq238869&efYd20220705& ancYnChk0#0000. (Accessed August 20, 2022). 

  11. Lee, G.S., and S.H. Lim. 2013. GIS-Based Suitability Assessment Plan of Coastal Zon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75-87 (이근상, 임승현. 2013. GIS 기반 연안 용도해역 적성평가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75-87). 

  12. Lee, S.G. 2021. The Study of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pleted of Development.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13. Lee, S.J. 2014. An Automated Method of Tree Extraction from Aerial LIDAR Data.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Korea. 

  14. Vasu, D., R. Srivastava, N.G. Patil, P. Tiwary, P. Chandran and S. Kumar Singh. 2018. A comparative assessment of land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s for agricultural land use planning at village level. Land use policy 79:146-163. 

  15. Yim, J.S., J.H. Nam, S.G. Moon and W.H. Choi. 2016.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ning in Limited Environment by Marine Suitability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