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Social Reflection of Director Choi Donghoon -based on the Theory of Carnival of Mikhail M. Bakhti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125 - 136  

이민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학과) ,  이효인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초록

최동훈은 <범죄의 재구성>(2004), <타짜>(2006), <전우치>(2009), <도둑들>(2012) 등의 영화를 만들어내며, 한국의 주류 영화감독으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이루어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했다. 본고는 최동훈의 영화가 수많은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시대적 삶을 우화적으로 그리면서 민중 문화적 축제 즉 카니발적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맞닿아 있다. 바흐친에게 카니발 이론은 민중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었고, 최동훈 역시 자신의 영화 속 세계를 묘사할 때 카니발 이론의 요소들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니발 이론의 미적 요소 중 탈관과 대관, 권위의 전복과 조롱, 향연의 이미지가 최동훈의 영화 속에서 캐릭터를 통해, 격하와 조롱, 군중의 언어가 대사와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 시점의 통합이 플래시백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들은 최동훈 영화에 일관되게 드러나며, 최동훈의 영화는 카니발 이론처럼 민중의 세계를 묘사하고 바라본다. 이것이 최동훈이 영화를 통해 하는 현실반영이자 현실참여이다. 관객은 그런 최동훈의 시각에 동조하고 호응한 것이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rector Choi Donghoon is the most famous director in Korea as a box office successor, especially (2102) has gained No. 1 box office attraction in Korean film history. However some critics have criticised the works of Dr. Choi because of their plebeianness. This paper focused on the reason of inter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니발이란 무엇인가? 미하일 바흐친은 카니발 이론(Theory of Carnival)을 통해서 라블레의 문학을 설명하고, 나아가 카니발 이론으로 민중문화를 이해했다. 카니발이란 사순절 전야의 제전으로서 3~7일 동안 지속되며 그 기간에는 육식을 금하는 까닭에, 그 전에 술과 고기를 먹으며 즐기는 놀이의 집합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사육제라고도 한다 [17].
카니발이 다른 공식적인 축제와 구분 지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말로는 사육제라고도 한다 [17]. 이러한 카니발은 다른 공식적인 축제와 구분 지어져야 하는데, 공식적인 축제는 현존하는 질서 밖으로 벗어나지 못했으며, 다른 어떠한 삶도 창조하지 못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오히려 공식적인 축제는 현존하는 것들을 더 강화하는 형식적인 것이었고 따라서 공식적인 축제는 엄숙하고, 낯선 것이 되었다는 것이다[18].
최동훈의 영화에서 주인공의 여정이 영웅의 여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이 신출내기들이 각 분야의 최고봉에 도전 하고 그 결말은 대부분의 관습적 영화답게 주인공의 승리로 끝난다. 하지만 승리에도 불구하고 주인공들은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오는 해피엔딩을 맞지 못한다. <범죄의 재구성>의 ‘최창혁’은 형의 복수에 성공했음에도 ‘서인경’과 사기행각을 계속 벌이며, <타짜>의 ‘고니’는 해외로 도피한 채 도박을 계속한다. 다만 <전우치>의 경우 ‘전우치’는 예외적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차지하고 해피엔딩을 맞이하지만 ‘전우치’와 그 일당은 경찰에 쫓기는 신세이다. <도둑들>의 경우 ‘마카오 박’은 ‘최창혁’과 ‘고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손을 씻지 못하고 도둑의 세계에 남는다. 최동훈의 영화에서 주인공의 여정이 영웅의 여정[6]과 다른 점이 이러한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정성일, 비평릴레이 , 씨네21, 2004. 

  2. 정성일, "타짜를 포기함으로써 최후의 승자가 된 타짜", 월간 말, 통권245호, p.180, 2006. 

  3. 강성률, "어두운 상업영화의 귀재(鬼才) 최동훈의 영화들", 공연과 리뷰, 제78호, p.172, 2012. 

  4. 강성률, "어두운 상업영화의 귀재(鬼才) 최동훈의 영화들", 공연과 리뷰, 제78호, p.179, 2012. 

  5. 강성률, "어두운 상업영화의 귀재(鬼才) 최동훈의 영화들", 공연과 리뷰, 제78호, p.176, 2012. 

  6. 스튜어트 보이틸라, 김경식 옮김, 영화와 신화, 을유 문화사, p.39, 2005. 

  7. 박유희, " , , - 영화와 원작의 세 가지 관계", 공연과 리뷰, 제55호, pp.212-228, 2006. 

  8. 이종호, "고전소설 과 영화 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 온지논총, 제26호, pp.243-270, 2010. 

  9. 최성규, 이화자, "만화 와 영화 의 비교",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9호, pp.89-112, 2010. 

  10. 조혜정, " (2006)와 (2009) 에 대한 신화분석 '영웅의 여정' 모델을 중심으로", 인문언어, 제12권, 제1호, pp.113-139, 2010. 

  11. 김영학, 이용욱,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국어문학, 제53호, pp.239-262, 2012. 

  12. 이정민, "한국영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의 메이크업 표현에 관한 연구 - 영화 와 를 중심으로 -",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제3권, 제2호, pp.109-118, 2007. 

  13. 이지은 이인성, "영화 의상에 나타난 여주인공의 팜므파탈 이미지 분석", 2006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pp.93-95, 2006. 

  14. 노광우, 최지희, "역사 코미디 영화로서의 과 ", 영화연구, 제51호, pp.93-118, 2012. 

  15. 임호준, "카니발의 광장: 알모도바르 영화 속의 마드리드", 이베로 아메리카, 제12권, 제1호, pp.349-374, 2010. 

  16. 이윤석, 진주현,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요소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190-200, 2011. 

  17. 김재희, "김기영 영화에 나타난 '무덤과 제사' 모티프", 영상예술연구, 제19호, pp.165-188, 2011. 

  18.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3, 2001. 

  19.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32, 2001. 

  20.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8, 2001. 

  21.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8-29, 2001. 

  22.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6, 2001. 

  23.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36, 2001. 

  24.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27, 2001. 

  25.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29-730, 2001. 

  26.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28, 2001. 

  27.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31, 2001. 

  28.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32, 2001. 

  29. 개리 솔 모슨, 캐릴 에머슨, 오문석, 차승기, 이진형 옮김, 바흐친의 산문학, 책세상, 2006. 

  30.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50, 2001. 

  31. 이덕형, 카니발과 웃음의 인식적 지평,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700, 2001. 

  32.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456, 2001. 

  33.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470, 2001. 

  34.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471, 2001. 

  35. 개리 솔 모슨, 캐릴 에머슨, 오문석, 차승기, 이진형 옮김, 바흐친의 산문학, 책세상, p.716, 2006. 

  36. 개리 솔 모슨, 캐릴 에머슨, 오문석, 차승기, 이진형 옮김, 바흐친의 산문학, 책세상, p.715, 2006. 

  37.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최건영 옮김, 프랑수아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p.292-293, 2001. 

  38.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최광렬 옮김, 영화 사전, 한나래, pp.642-643, 2012. 

  39.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최광렬 옮김, 영화 사전, 한나래, pp.644, 2012. 

  40. 피터 스탤리브래스, 앨런 화이트, 원용진 옮김, 바흐친과 문화사회사, 여홍상 엮음, 바흐친과 문화 이론, 문학과 지성사, p.120,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