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HIS) 만족도 영향요인 -지각된 HIS 품질과 개인 및 조직특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spital Nurses' Satisfaction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HIS): Focused on Perceived HIS Qualit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438 - 449  

유영미 (순천대학교 경영학과) ,  유일 (순천대학교 경영학과) ,  김소라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조직적, 시스템 요인이 간호사들의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병원정보시스템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과 시스템 만족에 보다 나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시스템 요인 중에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요인이 병원정보시스템 성과인 사용자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인 요인인 컴퓨터 자기효능감, IT혁신성, IT활용능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조직적 요인에서의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관리자의 관여도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son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system factors on satisfaction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us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promoting business efficiency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보 품질, 서비스품질)이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병원조직을 위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와 관련하여 간호사의 만족도를 적용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병원정보시스템의 하위차원들과 조직성과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조직의 정보기술 수용관점에서 병원정보시스템에서 새로운 개념 정립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정보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성과 영향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 활용을 증진시키고 간호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더불어 간호업무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병원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병원의 간호사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과 맥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 만족에 미치는 변수들을 검토하고 병원에서 의료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간호사의 개인적 요인(컴퓨터 자기효능감, IT혁신성, IT활용능력), 조직적 요인(최고경영층의 지원, 관리자의 관여도), 그리고 시스템 요인(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품질)이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병원조직을 위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사용자 만족의 영향요인은 크게 세 개의 영역 즉, 1) 개인적 특성요인, 2) 조직적 특성요인, 그리고 3) 시스템 특성요인으로 구분되어 진다.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이론에 기초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IT혁신성, 그리고 IT활용능력을 선정하였으며[26], 조직적 특성요인으로는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관리자의 관여도를 선정하였다.
  • 가설 1(H1):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H2): IT혁신성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H3): IT활용능력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H4):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H5): 관리자의 관여도는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H6): 시스템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H7): 정보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H8): 서비스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국내 병원의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규명과 그 영향력 검증을 위하여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컴퓨터 자기효능감, IT혁신성, IT활용능력), 조직적 요인(최고경영층의 지원, 관리자의 관여도), 시스템 요인(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통해 독립변수들이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인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이 전문적인 전산부서가 있어야되는 이유는? 병원은 독립된 전산부서에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공급하기 보다는 외부용역이나 공동개발의 비중이 높고 외부 공급업체에 대한 서비스의존도가 일반기업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병원이 전산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작고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비스 품질은 전산직 요원의 기술적 능력과 태도, 시스템 변화 요구에 대한 공급자의 대응, 공급자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 등 일종의 무형의(intangible) 성 격을 지닌 측정 지표이다.
병원정보시스템이란? 병원정보시스템은 병원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병원의 여러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여러 형태의 하위시스템들의 종합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업무의 구조화와 조직 구성원의 참여, 정보의 질과 전산부서의 서비스능력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4].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병원정보시스템은 병원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병원의 여러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여러 형태의 하위시스템들의 종합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업무의 구조화와 조직 구성원의 참여, 정보의 질과 전산부서의 서비스능력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4]. 국내 병원의 경우 종합병원의 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성욱,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박찬석, "병원정보시스템 품질측정방법에 대한 제안",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3권, 제2호, pp.11-21, 2008. 

  3. 전제란, "병원경영의 효율화를 위한 원무 프로세스 제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pp.169-176, 2007. 

  4. 강문식, 김영길, "상황용인과 IS특성이 병원정보시스템의 수용수준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23권, 제4호, pp.307-339, 2008. 

  5. 김동일, "회계정보시스템 유용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10호, pp.266-272, 2005. 

  6. 정태웅, "호텔경영 정보시스템(HMIS)에 대한 사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386-395, 2008. 

  7.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s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2, pp.122-147, 1982. 

  8. D. R. Compeau and C. A. Higgins, "Computer Self-efficacy: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MIS Quarterly, Vol.19, No.2, pp.189-211, 1995. 

  9. 유일, 김미,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공 요인과 성과 모형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1호, pp.45-65, 2002. 

  10.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4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1995. 

  11. R. Agarwal and J. Prasad,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9, No.2, pp.204-215, 1998. 

  12. 김근형, 윤상훈, "SNS 사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 도출 및 서비스 형태별 비교 분석", 인터넷 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1호, pp.125-143, 2012. 

  13. S. C. Lee, H. G. Lee, C. W. Jung, N. Chung, and E. K. Suh,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 Usage and Performanc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9, No.2, pp.195-221, 2009. 

  14. G. L. Sanders and J. F. Courtney, "A Field Study of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ing DSS Success," MIS Quarterly, Vol.7, No.1, pp.77-87, 1985. 

  15. 김삼숙, 주현옥, 박인숙, "병원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40-447, 2008. 

  16. W. H. DeLone and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pp.60-95, 1992. 

  17. 박준규, 조선업에서의 협업시스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8. G. G. Gable, D. Sedera, and T. Chan, "Enterprise Systems Success: A Measurement Model," In Proceedings of the 24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ICIS), Seattle, Washington, 2003. 

  19. 최훈, 김진우,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수용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제16권, 제3호, pp.95-116, 2006. 

  20.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pp.99-132, 2010. 

  21. P. B. Seddon,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8, No3, pp.240-253, 1997. 

  22. V. K. Mckinney, K. Yoon, and F. Zahedi, "The Measure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System Research, Vol.13, No.3, pp.296-315, 2000. 

  23. 조진욱, 모바일 컨텐츠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4. J. Moad, "Asking Users to Judge IS," Datamation, Vol.35, No.21, pp.93-102, 1989. 

  25. L. F. Pitt, R. T. Watson, and C. B. Kavan, "Service Quality: A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MIS Quarterly, Vol.19, No.2, pp.173-188, 1995. 

  26.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 1977. 

  27. W. H. DeLone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28. 유일, 김경애, 김재전, "인터넷 뱅킹채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Information System Review, 제6권, 제1호, pp.19-36, 2004. 

  29. J. E. Bailey and W. S. Pearson, "Development of a Tool of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Vol.29, No.5, pp.530-545, 1983. 

  30. P. Kennedy, A Guide to Econometrics (4th ed.), Boston: MIT Press,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