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원시 주남 습지의 관속식물상
The List of Vascular Plants at Junam Wetland in Changwon Cit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5 no.2, 2013년, pp.67 - 75  

이기숙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조민기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전권석 (남부 산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남습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분석을 통해 내륙습지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남습지 주변에서 출현이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58과 167속 200종 3아종 1품종 3변종 등 총 222분류군이었다. 8개의 생활형(대형지상식물, 소형지상식물, 미소지상식물, 지표식물, 반지중식물, 지중식물, 수생식물, 일년생식물) 중 일년생식물, 수생식물, 반지중식물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들 식물이 주남습지 전체 식물상의 71.1%를 차지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가시연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달맞이꽃, 돼지풀 등 38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그중 국화과 식물이 약 45%를 차지하였고 귀화율은 17.1%였다. 주남습지에서 분포가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가시연꽃, 자라풀, 산복사나무, 어리연꽃 등 13분류군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basic data on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for the domestic wetland through flora and life form analysis at Junam wetland. The vascular plants were recorded as 222 taxa; 58 families, 167 genera, 200 species, 3 subspecies, 1 forma and 18 varie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남습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분석을 통해 내륙습지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남습지 주변에서 출현이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58과 167속 200종 3아종 1품종 3변종 등 총 222분류군이었다.
  • 본 연구는 주남저수지 내 조류 서식처, 습지식생 등 생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주남습지 지역의 식물상과 생활형을 분석하여 국내 내륙습지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람사협약에 따른 습지의 분류는? 우리 나라 습지는 전국적으로 1,878개소, 면적으로는 약 5,076km2 정도이며, 그 중 27개소(약 330km2 )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1). 람사협약에서는 국제적인 습지목록을 구축하기 위한 습지의 평가기준과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수문, 지형,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습지를 해양 및 연안습지, 내륙습지, 인공습지로 구분하고 있고, 국내의 습지보전법에서는 단순히 지형학적인 특성에 따라 연안습지와 내륙습지로 구분하고 있다.
습지는 무엇인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자연생태계 중의 하나인 습지(wetland)는 ‘육지환경과 물환경의 전이지대로서 생물의 생장기를 포함한 연중 또는 상당기간 동안 물이 지표면을 덮고 있거나 지표 가까이 또는 근처에 물이 분포하는 토지’(Mitsch and Gosselink, 1993)로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별히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는 곳이다(Cylinder et al., 1995).
습지의 육지화와 같은 변화가 내륙습지에서 더욱 쉽게 일어나는 이유는? 뿐만 아니라 습지는 지역의 생태적 건전성 및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에 아주 중요한 핵심 생태계이지만, 습지를 불모지로 인식하여 농경지로 이용하는 등 무분별한 개발이 지속되어 습지의 육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내륙습지의 경우, 산지습지와 달리 공개된 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변화에 취약하고 인위적인 간섭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되어, 습지생태계의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S. J., and C. G. Park, 2012: Terrestrial insect fauna of the Junam wetlands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51(2), 111-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stian, R. K., P. Shanaghan, and B. Thompson, 1987: Report on the use of wetlands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and disposal(EPA 430/09-88-005). USEPA. Washington DC. USA. 

  3. Choi, C. M., E. J. Jeong, and I. S. Lee, 2003: The flora of wetland at Mt. Il-Kwang,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 Sciences 12(12), 1277-1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ronk, J. K., and M. S. Fennessy, 2001: Wetland plants. Biology and Ecology. Lewis Pub., New York. USA. 

  5. Cylinder, P. D., K. M. Bogdan, E. M. Davis, and A. I. Herson, 1995: Wetland regulation. A compla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Point area. Solano Press Books. 

  6. Guttatep, T., and C. Polprasert, 1997: Role of plant uptake on nitrogen removal in constructed wetlands located in the tropic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6(12), 1-8. 

  7. Hahm, K. H., C. S. Kim, and I. K. Kim, 2001: Population fluctuations of Cygrus cugnus and C. columbianucs during 11 years, on Junam reservoir of Kyungsangnan-do (1989-1999).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8(1), 47-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ang, B. O., S. U. Sin, and K. R. Choi, 2006: Vegetation history of Wangdeungjae moor, Mt. Jiri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3), 287-2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dlic, R. H., and R. L. Knight, 1996: Treatment wetland. Boca Raton. CRC Press. Inc. 

  10. Kang, B. H., J. K. Son, S. H. Lee, and N. C. Kim, 200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3), 33-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B. H., and S. I. Shim, 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2, 207-22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B. W., J. S. Lee, and Y. J. Oh, 2005: A study on the flora in the Mt. Daeam high moo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1(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C. H., E. O. Kang, Y. E. Choi, B. M. Park, and J. S. Baek, 2011: Flora and life form of 4 man-made wetlands in Gunsan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9), 1125-1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C. H., and H. Myung, 2009: Four-year survey on transitions of the life form of plants after developing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30-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 W., and H. K. Nam, 1998: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1(3), 203-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 W., J. H. Kim, J. C. Jegal, Y. K. Lee, K. R. Choi, K. H. Ahn, and S. U. Han, 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99-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 W., and S. U. Han, 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8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T. J., 2013: Wintering bird distribution at the Junam reservoir and wintering pattern of the endangered species at the Junam reservoir. Ph. D Thesis. Kyungbook National Univ., 164pp. 

  19. Ko, K. S., I. G. Kang, M. H. Suh, J. H. Kim, G. D. Kim, G. H. Kil, and E. S. Jeo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Republic of Korea, 25-35.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1.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22. Lee, E. J., 1998: Phytosociological study of dry field vegetation in Kyoungpook Province.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41pp. 

  23. Lim, Y., S. T. Na, S. M. Ma, and H. Shin, 2004: Flora of vascular plants of wetland in Hwapo (Gimhae, Gyeungsangnam-do). Soonchunhyang Journal of Natural Science 10(2), 313-323.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114-155.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Illustrated Book of Endangered Wild Animals and Plants. pp. 188-189.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Wetland protection area and Ramsar wetlands designation. 

  27. Mitsch, W. J., and J. G. Gosselink, 1993: Wetland. John Wiley & Sons. INC. USA. 

  28.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547pp. 

  29. Oh, B. Y., D. G. Jo, K. S. Kim, and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30. Oh, H. K., D. O. Lim, and Y. S. Kim,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105-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Oh, K. H., C. S. Kim, P. H. Lee, and S. G. Son, 2004: Flora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6(3), 107-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ark, K. H., J. Y. Seo, and J. H. You, 2012: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aquatic ecosystem environment in Juna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694-7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Park, S., B. R. An, S. Y. Jang, and S. Park, 2011: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4), 370-3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Park, S. H., 1995: Colored Illustrated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hak. Seoul. 371pp. 

  35.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The Clarendon Press. Oxford. 

  36. Son, H. J., 2008: The flora and location environment of the forested wetlands in Gangwon (Pyeongchang-gun, Jeongseon-gun) Province, Korea.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7. Takth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 California Press. London. 

  38. Yang, H. M., 2002: Preliminary nitrogen removal rates in close-to nature constructed stream water treatment wet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4), 269-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Yoon, H. S., and J. M. Kim, 1989: The vegetation of Junam reservoir. Journal of Basic Science Research 6, 49-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You, J. H., K. H. Park, Y. C. Yoon, and B, G, Song, 2009: 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 29-38. 

  41. You, J. H., S. G. Jung, K. H. Park, K. T. Kim, and W. S. Lee, 2008: Flora in Ahnshim wetland,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2), 162-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