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2년제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Safety Manager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5 no.2, 2013년, pp.31 - 38  

양광모 (유한대학교 산업경영과) ,  박시현 (유한대학교 산업경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eople make efforts on accident prevention, the number of accident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however the number of fatal major industry accidents has rather increas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deaths in total. Under these conditions, there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앞으로 산업공학 및 안전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과정을 대학에서 구축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또한 직업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으로 배운 학생들이 사회에서 역할을 할 것이고 대학의 사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년대 대학 산업공학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안전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방법론과 안전관리자 양성을 위한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 따라서 안전관리자의 양성은 매우 필요한 분야이고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의 설계는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직업중심의 안전관리자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 산업공학 관련 분야의 연구로는 박두진 외(2012) [6]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활용하여 항만물류분야의 재직자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산·학·연 연계를 통해 재직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 및 평가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공학 분야의 하나인 안전관리 분야의 직무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 이는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자격선정방법을 응용하여 정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의 변수를 사용하여 안전 직무에 대한 전공에 대한 차별화와 학제간의 차별화를 통하여 현 정부에서 요구하는 평생 교육에 관련한 수평적, 수직적 직무의 이동에도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1]과 같은 모형이 설계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년제 대학에서의 안전관리자를 교육함에 있어 필요한 직무를 선정하는 특성 상 전문가의 주관적인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분석 하도록 한다.
  • 주관적인 요소는 1부터 9까지의 구간 척을 이용하여 전문가들에 의해 가중치를 부여하므로 전문가들이 부여한 값들을 망대 특성치로 간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년제 교육에 있어서 안전관련 직무 분석에 있어서 각 안전관련 직무 j의 변수 i에 전문가 들이 부여한 값들의 평균이 크고 그 값들이 차이가 적은 즉, 거의 일치한 평가를 내리는 직무에 우선순위를 두도록 하였다. 망대 특성치에 대한 SN비 공식은 다음과 같다[1].
  • 전문대학의 정체성, 포지셔닝의 구체화, 명확화를 위하여 전문기술인력양성 및 평생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지위를 규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운영 및 인력양성 전략 추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산업공학관련 전문대학에서 2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안전에 관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산학협력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 산업안전 보건법에 의하면 안전관리자는 산업안전보건법(제15)의 규정에 의해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지휘를 받으면서 사업장 내의 안전에 관계되는 기술적인 사항을 관리하는 직무로서 제조업 등 공업적 업종으로 대별되고 있는 19업종에 대해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전문학사를 취득한 안전관리자의 직무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전문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무를 정의하여 직무모형의 초안을 작성하고, 직무 수행에 필요한 책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직무모형을 작성하교, 구체적으로 직무를 담당하는 영역과 직무분야를 기술하고, 책무와 작업(task)별로 난이도, 중요도, 빈도 및 교육의 필요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요소인 평가 요소별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안전관리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였다. 세부적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안전관리 관련 직무분석을 위한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이 8가지 직무를 결정하였으며, 이는 현재 개발된 안전관련 NCS와 산업안전관리가사 자격증을 위해 작성한 직무설계표를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아래의 직무는 안전관리자가 수행해야할 직무를 분류하여 기술한 것이고 본 연구에서는 산업공학과 관련학과에서 중 2년제 대학에서 배출해야 하는 인력에 대한 중점적인 직무를 선정하고 이에 관련된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하여 분석을 한다.
  • 안전관리자의 직무모형 설정을 위해 개발된 NCS에서 산업공학과가 속해있는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하기 위하여 기계장비 설치 유지보수 등에서 안전관리자 NCS 직무 모형을 도입하고자 하며, 다음 장에서 정의된 직무 분야 중 2년제 대학의 교육을 위한 중점분야를 선정하기 위해 전문가를 활용한 중요도 분석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PREl)이 된다. 이 모델에서 각각의 요소는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관리자는 어떤직무를 가지는가? 산업안전 보건법에 의하면 안전관리자는 산업안전보건법(제15)의 규정에 의해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지휘를 받으면서 사업장 내의 안전에 관계되는 기술적인 사항을 관리하는 직무로서 제조업 등 공업적 업종으로 대별되고 있는 19업종에 대해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전문학사를 취득한 안전관리자의 직무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전문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민역량자격체계는 무엇인가? 박근혜 정부 교육정책의 중요한 전제가 국민역량자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국민역량자격체계란 학문과 직업 분야별 직무 단위별로, 학습하여야 할 수준을 국가 자격으로 체계화한 국민역량(또는 직무능력표준)콘텐츠 로드맵이다. 마치 경부고속도로 건설이 국토개발 및 경제발전에서 기간망 역할을 해, 한국이 세계 최상위권의 고속 도로망을 갖춘 나라가 된 것처럼, 국민역량체계가 한번 구축되면, 국민의 품격과 직무역량을 최상위 선진 대열로 끌어올리는 인프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3조에 나타나 있는 안전관리자 직무는 무엇인가? ①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안전·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의결한 직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직무 ② 안전인증대상기계·기구 등과 자율 안전 확인 대상 기계·기구 등의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 ③ 당해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④ 사업장 순회점검·지도 및 조치의 건의 ⑤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지도·조언 ⑥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를 위한 지도·조언 ⑦ 법 또는 법에 의한 명령이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a-Gil Gu(2005), "Study on development of occupational standards and education training program in the machinery industry", 선문대학교대학원: 기계 및 제어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 Byeong-Seon Gwak(2013), "Key Issues and Prospects for Current Education Policies", Korea Research Institute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3. 김영주(2005), "건설현장 근로자의 건설재해 안전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건설근로자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Jung-Eun Kim(2011), "Study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5. Seung-Il Na, Joo-Seop Kim, Ju-Il Kim, Yeon-Ang Jeong, Ja-Gil Gu, Kang-Ho Kim, Se-Yeon Moon(2007), "Institutionalization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Vol.39 No.1, pp192-215 

  6. Du-jin Park.Hyeon-deok Kim(2012), "A Study on Alternatives for Developing the Workers' Education Programme in the Port Logistics Field using a NCS Model",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8 No.2, pp61-74 

  7. Hyun-Chul Lee, Sang-Ku Yeo, Seong-Seok Go(2009), "A Study on the Improving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Labor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9 No.3 

  8. Bong-Ki Jang(2012),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echnology Sectors Educational Programs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n Education Results", Hoseo Graduate School of Venture Information department of business and administration 박사학위논문 

  9. Jin-Man Jeon(2002), "A Study on the Industry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Yeungnam University 석사학위논문. 

  10. Yong-Wook Cho, Myeong-Kyu Park Young-Beom Kim(1999), "The Development of Decision Model for Robot Selection",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1 No.1 

  11. Pedro M. Arezes, A. Sergio Miguel(2003), "The role of safety culture in safety performance measurement", Measuring Business Excellence, Vol, 7, Iss. 4, pp.20-28. 

  12. Wu, T. C., Liu, C.,-W., & Lu, M.-C.(2010), "Safety climate in university and college laboratories: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Journal of Safety Research, 38(1), pp.91-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