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관리 전문인력의 역량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과 직무교육의 교육수요에 관한 연구: 대전·청주 지역 안전관리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Education and Job Training to Enhance Safety Manager's Competencies: Based on the Survey of Safety Managers in Daejon & Chongju Area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5, 2020년, pp.95 - 105  

김윤배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산업안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useful approaches to enhance safety managers' competenc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education in school and on the job for safety managers. Educational needs at schools and job training institutes were surveyed with 321 safety managers in Daejon & Chon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려면 안전관리자의 역할이 막중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전문인력으로서의 역량을 제고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가 전국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일부 지역에 국한된 조사라는 점에 유의하면서 조사 및 분석에 의하여 도출된 주요 내용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과 건설업 현장안전관리자들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그들의 역량 제고를 위하여 필요한 교육적 측면의 요구를 조사하여 안전관리자를 양성하는 대학교육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 교과목에 대하여 검토함과 아울러 안전관리자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직무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더하여, 안전관리자 직무교육기관의 의견을 조사하고자 교육을 가장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 사단법인 D협회의 책임자를 인터뷰하였다. 또한 직무교육을 이수한 안전관리자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에 직무교육을 이수한 2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istory of Enactment and Amendme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hereafter OSHAct), pp. 97-98, 2015. 

  2.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Deregulation of Corporate Activities, Article 40. 

  3. OSHAct, Article 17. 

  4. OSHAct, Article 14 & Enforcement Decree, Article 13. 

  5.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0/05/480735/, 2020 

  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9 Occupational Accident Report, 2020. 

  7.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43 

  8. https://www.academyinfo.go.kr/mjrinfo/mjrinfo0450/doInit.do, 2020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tice No. 2020-274. Lists of Contract Organizations for OSH Tasks, 2020. 

  10. Enforcement Rule of OSHAct, Artcle 29, p. 2, Annex Table 4 & 5. 

  11.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rticle 23. 

  12. OSHAct, Article 8, p. 1 & Enforcement Rule, Article 4, p. 1 & Annex Table 1. 

  13. Based on Dialogue with Deputy Chief of Occupational Safety Divisio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6. 17. 

  14. http://laborstat.moel.go.kr/hmp/tblInfo/TblInfoList.do?menuId0010001100101104&leftMenuId0010001100101&bbsId, 2020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ress Release. 2019 Industrial Accident Death Toll Decreased by 116(11.09%), http://www.moel.go.kr/skin/doc.html?fn20200108162337ba17aebdbc234f00be86153ca8bfa22f.hwp&rs/viewer/ENEWS/2020/, 2020. 1. 8. 

  16. J. Im., "The Study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Establishing the Strategy for the National Safety Control System",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07. 

  17. Y. B. Kim, Problems in Education Curriculum for Safety Majors in Colleges, in A Report on the Inequality of Occupational Safety in Korea. Hanul Academy, pp. 122-127, 2017. 

  18. G. W. Mo, J. B. Kim, H. W. Ham and S. B. Choi, "Task Analysis and the Effective Curriculum for the Safety Manage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3, No. 3. pp. 33-44. 2001. 

  19. Act on the Collection of Insurance Premiums, etc. for 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rticle 15. 

  20. C. Lutchman, R. Maharaj and W. Ghanem, "Safety Managemen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Developing a Sustainable System", CRC Press, pp. 219-228, 2012. 

  21. Y. H. Park, G. S. Yoon and G. M. Bae,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Job Training Institutes for Safety Managers",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61-65, 2015. 

  22. J. B. Baek, T. Y. Kim, S. D. Choi, M. J. Lee, D. G. Lee and W. H. Jeon, "A Report to Advance KOSHA Education Institute", Korea Occupati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p. 128-130, 2019. 

  23. J. S. Ji, "An Empirical Study on Education Process Improvement for Effective Job Training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20, No. 1. pp. 23-31, 2018. 

  24. S. R. Jung, H. J. Park and S. R. Cha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J. Korean Soc. Saf., Vol. 31, No. 5, pp. 117-123, 2016. 

  25. Enforcement Rule of OSHAct, Article 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