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소 추비시용이 밀 수발아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Decreasing of Preharvest Sprouting in Winter Whea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2, 2013년, pp.169 - 176  

김영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학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강천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경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현종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기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박기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 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 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밀 종실 특성 중 천립중, 리터중 및 수분함량은 질소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 수량은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50% 증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을 살펴보면 질소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증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금강이 조경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 관련 형질간 비교에서는 질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Germination indexABA sensitivity가 점차 감소했는데, 이는 종자의 수발아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밀 종자의 Germination index는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조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율은 조경의 경우 50% 감비에서 24.7%,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발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ABA sensitivity와 수발아율 간에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ABA sensitivity를 간이 수발아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harvest sprouting seriously reduces milling and baking quality of hard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grain.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decreasing of preharvest sprouting, several levels of N-fertilization were conducted in two winter wheat cv. Keumkang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추파밀에서 월동 후 재생기에 수량과 단백질 함량의 증가를 위해 질소비료를 추비(웃거름)로 시용하지만, 국내 밀 품종에 대해서 질소 시비수준과 수발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의 재배적 방법을 통해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질소 추비의 처리수준별로 수발아 정도를 파악코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 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 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발아 저항성은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는가? , 1999; Detje, 2008). 수발아 저항성은 일차적으로 종자의 휴면 정도와 기간에 의해 좌우되며, 비록 휴면이 유전학적 원인에 의해 조절되지만 휴면의 정도와 기간은 종자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일장이나 온도 등 외계 환경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FinchSavage WE & Leubner-Metzger, 2006; Nielsen et al., 1984).
‘수발아’ 현상이 밀 종자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성숙기가 늦거나 휴면기간이 짧은 백립계 품종들은 등숙 후기에 수발아 위험이 크다. 밀 종자에 수발아가 발생하게 되면 종자의 용적중, 배유비율, 제분비율 등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수량을 크게 감소시킨다(Morris & Paulsen, 1985; Nakatsu et al., 1999; Detje, 2008).
수발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일차 휴면과 수발아 저항성 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으며, falling number가 낮으면 α-amylase 활성이 높고 수발아가 잘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Detje, 2008). 수발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수발아 저항성 품종 및 조숙품종을 재배하여 출수기 이후 강우와 조우하는 기회를 적게 하고, 후숙기간이 긴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좋다. 그 외의 재배적 방법으로는 수발아 억제제인 MH(maleic hydrazide)나 α-NAA 등을 출수 후 20일 경에 처리하여 휴면을 연장하는 방법이 있으나(Lila & Nambisan, 1992), 실제로는 밀 재배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Huang & Varriano-Marston(1980)은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수발아와 관련있는 α-amylase 활성 및 falling number 사이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음을 보고하여 재배적 방법, 특히 단백질 함량과 관계있는 질소 시비법에 따라 수발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 

  2. Bayer, A. C. 1987. Pre-harvest sprouting. Annu. Wheat Newsl. 33 : 40. 

  3. Belderok, B. 1968. Seed dormancy problem in cereals. Field Crop Abstract 21 : 203-211. 

  4. Benech-Arnold, R. L., M. C. Giallorenzi, J. Frank, and V. Rodriguez. 1999. Termination of hull-imposed dormancy in developing barley grains is correlated with changes in embryonic ABA levels and sensitivity. Seed Science Research 9 : 39-47. 

  5. Clarke, M. P., M. J. Gooding, and S. A. Jones. 2004. The effects of irrigation, nitrogen fertilizer and grain size on Hagberg falling number, specific weight and blackpoint of winter wheat. J. Sci. Food Agric. 84 : 227-236. 

  6. Daniel, R. K., J. G. Mike, and H. E. Richard. 2005. Nitrogen fertilizer and seed rate effects on Hagberg falling number of hybrid wheats and their parents are associated with $\alpha$ -amylase activity, grain cavity size and dormancy. J. Sci. Food Agric. 85(5) : 727-742. 

  7. Detje, H. 2008. Effects of Varying Nitrogen Rates on Pre-Harvest Sprouting and $\alpha$ -Amylase Activity in Cereals. J. Agronomy & Crop Sci. 169(1-2) : 38-45. 

  8. Finch-Savage, W. E. and G. Leubner-Metzger. 2006. Seed dormancy and the control of germination. New Phytolog. 171 : 501-523. 

  9. Garello, G. and M. T. Le Page-Degivry. 1999. Evidence for the role of abscisic acid in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rol of dormancy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Seed Science Research 9 : 219-226. 

  10. Gooding, M. J., P. S. Kettlewell, W. P. Davies, and T. J. Hocking. 1986. Effects of spring nitrogen fertilizer on the Hagberg falling number of grain from breadmaking varieties of winter wheat. J. Agric. Sci., UK 107(2) : 475-477. 

  11. Huang, G. and E. Varriano-Marston. 1980. Alpha-Amylase activity and preharvest sprouting damage in Kansas hard white wheat. J. Agric Food Chem. 28(3) : 509-512. 

  12. Kawakami, N., Y. Miyake, and K. Noda. 1997. ABA insensitivity and low ABA levels during seed development of non-dormant wheat mutant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8 : 1415-1421. 

  13. Le Gouis, J., D. Beghin, E. Heumez and P. D. Pluchard. 2002. Analysis of winter wheat at two nitrogen levels. Crop Sci. 42 : 1129-1134. 

  14. Leymarie, J., M. E. Robayo-Romero, E. Gendreau, R. L. Benech-Arnold, and F. Corbineau. 2008. Involvement of ABA in induction of secondary dormancy in barley (Hordeum vulgare L.) seeds. Plant and Cell Physiology 49 : 1830-1838. 

  15. Lila B. and B. Nambisan. 1992.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hemicals on sprouting. Annual Report of CTCRI. p. 43-44. 

  16. Morris, C. F. and G. M. Paulsen. 1985. Preharvest sprouting of hard winter wheat as affected by nitrogen nutrition. Crop Sci. 25(6) : 1028-1031. 

  17. Morris C. F., J. M. Moffatt, R. G. Sears, and G. M. Paulsen. 1989. Seed dormancy and responses of caryopses, embryos, and calli to abscisic acid in wheat. Plant Physiology 90 : 643-647. 

  18. Nakatsu, S., Y. Watanabe, and S. Okumura. 1999.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Pre-Harvest Rainfall on Grain Quality of Wheat(Triticum aestivum L.). Jap. J. Soil Sci. and Plant Nut. 70(4) : 514-520. 

  19. Nielsen, M. T., A. J. McCrate, E. G. Heyne, and G. M. Paulsen. 1984. Effect of weather variables during maturation on preharvest sprouting of hard white wheat. Crop Science 24(4) : 779-782. 

  20. Singh, R., M. Maria Matus-Cadiz, M. Baga, P. Hucl, and R. N. Chibbar. 2008.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phenotyping preharvest sprouting in white-grained wheat. Cereal chemistry 85(2) : 238-242. 

  21. Trethowan, R. M. 1995. Evaluation and selection of bread wheat(Triticum aestivum L.) for preharvest sprouting tolerance. Australian J. Agric. Research 46(3) : 463-474 

  22. Walker-Simmons, M. K. 1987. ABA levels and sensitivity in developing wheat embryos of sprouting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s. Plant Physiology 84 : 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