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 전통식문화 인식 및 교육방안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to Design Educational Plan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3, 2013년, pp.246 - 260  

강윤주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식생활문화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im of introducing educational plans suitably designed for them. Our survey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olidays most well-known to the immigrant housewives are New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전통식문화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설문을 통해 전통행사 및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 전통 식문화 교육 경험과 교육 방안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 지금까지 다문화 이주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올바른 한국 식생활적응을 위한 조리교육 필요에 관한 연구(Kim & Lee 2009; Kim 등 2009), 식생활지도 및 영양교육 지도 등의 대책연구(Cho 2010; Han 2010; Woo 2010), 다문화화(Multiculturalize)의 식문화 관점에서 다양한 음식문화와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 및 결혼이주여성의 지원방안 연구(Yu 2007; Yun 2009; Kang 2010; Park 등 2010)등 다양한 연구가 있으나 전통식문화 교육수혜자가 요구하는 희망 교육방법이나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을 책임져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전통행사와 전통음식에 대한 식태도 및 교육경험, 희망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우리 전통식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전통식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문화적 이질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결혼이주여성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에서 제정, 시행한 다문화가족을 위한 관련 법률은? 최근 우리사회 구성원 중에는 다문화가정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결혼이주여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에 시집온 이주여성들을 위해 2006년 ‘결혼 이민자 가족 지원센터’를 여성부 산하 전국 21개 지역에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다문화가족을 위한 관련 법률인 「결혼중개업 관리에 관한 법률」,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국적법」,「출입국관리법」을 제정·시행하였으며, 세부대책으로 체류불안대책, 생활안정대책 및 사회통합 대책과 사회참여 촉진정책 등을 관련부처 주관으로 추진하고 있다(김 2010). 이러한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결혼이주여성이 우리 전통식문화에 대한 교육을 수강하거나 체계적인 교육지원을 받는 정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반적 특성별로 연령과 결혼기간, 한국어 쓰기, 말하기 능력에 따라 전통음식 인식에 어떠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가? 일반적 특성별로 연령과 결혼기간, 한국어 쓰기, 말하기 능력에 따라 전통음식 인식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0대 연령층은 30대와 40대 이상 연령층에 비해 모든 음식에서 인식도가 낮은 양상을 보였고, 결혼기간이 1년 미만인 집단과 한국어 쓰기, 말하기가 하급 수준인 집단도 타 집단에 비해 인식도가 낮았다. 즉 연령이 낮고 결혼기간이 짧으며 한국어 능력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가 낮았다. 학력별로도 고졸, 대졸이상 집단보다는 중졸 이하에서 인식도가 낮았다. 중국유학생의 한식 메뉴 선호도및 기숙사 급식만족도에 대한 Jung 등(2011)의 연구에 의하면 통과의례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어리고 거주기간이 짧은 대상자들의 경우 상당히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 전통음식 인지도가 낮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지금까지 다문화 이주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다문화 이주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올바른 한국 식생활적응을 위한 조리교육 필요에 관한 연구(Kim & Lee 2009; Kim 등 2009), 식생활지도 및 영양교육 지도 등의 대책연구(Cho 2010; Han 2010; Woo 2010), 다문화화(Multiculturalize)의 식문화 관점에서 다양한 음식문화와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 및 결혼이주여성의 지원방안 연구(Yu 2007; Yun 2009; Kang 2010; Park 등 2010)등 다양한 연구가 있으나 전통식문화 교육수혜자가 요구하는 희망 교육방법이나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을 책임져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전통행사와 전통음식에 대한 식태도 및 교육경험, 희망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우리 전통식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전통식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문화적 이질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결혼이주여성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진문. 2003. 일본의 세시풍속 -연중행사를 중심으로-. 아태연구, 2:225-245 

  2. 김승권. 2010.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pp 5-18 

  3. 김현주. 2008. 다문화 이해를 위한 식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초등교육연구 제18집. pp 157-207 

  4. 보건복지부. 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p 14 

  5. 보건복지부. 2010.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안내(발간번호:11-1351000-000598-10). pp 6-9, 28-30, 139-253 

  6. Byun JO, Han JS, Park KS.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 (Actual State of Utiliz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60-70 

  7. Cho YA. 2010. A Study on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Risks of Vietnamese Fimale Immigrants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2-10, 18-21 

  8. Ha KH. 2010. Survey of Korean Food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by Chinese Students in Daejeon. Korea J Food and Nutrition.(韓國食品營養學會誌). 23(2):186-195 

  9. Han YH. 2010.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13-24, 65-69 

  10. Jung HY, Jeon ER. 2011.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283-289 

  11. Jung YW.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Cuisin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2):170-184 

  12. Jung YW, Lee SB.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Cuisine to Korean Food -Focused on Western Preference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4):157-179 

  13. Kang, HG. 2010.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Difficult of Adjustment with Immigrant Married Woman. Masters degree thesis.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pp 7-20 

  14. Kim HJ, Kim KS. 2008. Current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7(4):117-128 

  15. Kim HS, Lim JR. 2011. Student, Dietitian Reactions to Multicultural Food Service in Hannam School District. Korean J. Food Culture, 26(5):478-489 

  16. Kim MJ. 2005. City Life and Annual Cyclical Rites. Journal of the Korean Folklore Society, 41:17-49 

  17. Kim MJ, Jeong HS. 2011. Study on Dietary Habits of North Korean Refugees. Journal of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1):1-13 

  18.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1):22-30. 

  19.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ournal of Korean Diet Assoc, 15(4):405-418 

  20. Kim JH, Kwak DW. 2010. Research on the Ingestion of Food and the Habit Between Age Group and Birth Places of Female Immigrants : Focusing on the Busan Region. Korean J.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6(1):77-97 

  21. Kweon SI,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22. Park YI, Jeong HS, Joo NM. 2010.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4(5):405-413 

  23. Park YS. 2006.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Daily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a-Korean in Yanbian Area.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2(1):80-87 

  24. Park YS, Chung YS. 2006. Perceptional Trend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Holiday Food of China-Korean in Yanbia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1):1-7 

  25. Park YS, Chung YS. 2007.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ie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Foods of National Holidays in the Yanbian Region of China: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7(2):153-163 

  26. Woo SY. 2010. A study about the dietary life conditions of Daegu International Immigrant Women. Masters degree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pp 1-6, 33-51 

  27. Yu YE. 2007. Case Studies on the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Spouses and Plans for Support.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pp 5-9, 34-51, 94-98 

  28. Yun DH. 2009.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57-62, 66-71 

  29. www.kostat.go.kr(통계청) 

  30. www.liveinkorea.mogef.go.kr/mfsc.center(전국다문화가족사업 지원단) 

  31. www.liveinkorea.mogef.go.kr/(다누리) 

  32. www.nabo.go.kr(국회예산정책처)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