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교주변식당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in restaurants around schoo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3, 2013년, pp.424 - 428  

조소현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정현정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성희 (조선이공대학교 식품영양조리과학과) ,  황수정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 주변 식당 10곳에서 채취한 마늘, 고추, 깻잎, 상추를 대상으로 하여 총세균, 대장균군, 저온균, 효모,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도 수준을 분석하였다. 총세균의 경우, 상추는 평균 $5.4{\pm}0.69$ log CFU/g, 마늘은 $3.4{\pm}1.27$ log CFU/g로 상추>고추>깻잎>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조사한 식당의 절반이 넘는 식당에서 채취한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 군이 검출되었다. 저온균은 고추, 상추, 깻잎, 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각각 평균 $5.0{\pm}1.82$ log CFU/g, $4.2{\pm}1.91$ log CFU/g, $4.7{\pm}1.55$ log CFU/g, $2.4{\pm}2.10$ log CFU/g로 나타났다. 효모는 깻잎이 평균 $4.4{\pm}1.41$ log CFU/g의 오염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늘은 평균 $0.9{\pm}1.41$ log CFU/g으로 가장 낮은 오염 수준으로 나타났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 수준은 총 40개의 시료 중 27개의 시료에서 0.5~5.2 log CFU/g의 범위에 걸쳐 검출되어 본 연구에서 수집한 27개의 시료 중 22개의 시료가 식품공전의 규정 기준보다 높은 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한 채소류를 섭취하여, 채소류 섭취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더 위생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4 vegetables (garlic, red pepper, perilla leaf and lettuce) collected from 10 restaurants around university was examined. The vegetables were evaluated for total plate count, coliforms, psychrophiles, yeast,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results of total plate cou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학교 주변 식당에서 유통되는 신선채소의 미생물 품질 및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인 신선 채소류 4종을 선정하여 총세균, 대장균군, 저온균, 효모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하여 신선채소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위생적이고 안전한 신선채소류의 생산 및 유통을 유도하고, 식중독균 검출자료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식중독 발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디인가? aureus 와 같은 병원성 세균도 오염된 조리 기구의 혼용이나 조리 종사자의 손에 의한 교차오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6). 최근 식중독 발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음식점으로 전체 발생률의 49.6%를 차지하고 있다(7).
신선 채소류를 가열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에서 섭취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는 무엇인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여 새싹채소 및 쌈채소와 관련된 식중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선 채소류는 가열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품안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Kim 등(1)은 샐러드 등에서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학교 주변 식당 10곳에서 채취한 마늘, 고추, 깻잎, 상추를 대상으로 하여 총세균, 대장균군, 저온균, 효모,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도 수준을 분석 한 결과는? 본 연구는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 주변 식당 10곳에서 채취한 마늘, 고추, 깻잎, 상추를 대상으로 하여 총세균, 대장균군, 저온균, 효모,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도 수준을 분석하였다. 총세균의 경우, 상추는 평균 5. 4±0.69 log CFU/g, 마늘은 3.4±1.27 log CFU/g로 상추>고추>깻잎>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조사한 식당의 절반이 넘는 식당에서 채취한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저온균은 고추, 상추, 깻잎, 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각각 평균 5.0±1.82 log CFU/g, 4.2±1.91 log CFU/g, 4.7±1.5 log CFU/g, 2.4±2.10 log CFU/g로 나타났다. 효모는 깻잎이 평균 4.4±1.41 log CFU/g의 오염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늘은 평균 0.9±1.41 log CFU/g 으로 가장 낮은 오염 수준으로 나타났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 수준은 총 40개의 시료 중 27개의 시료에서 0.5~5.2 log CFU/g의 범위에 걸쳐 검출되어 본 연구에서 수집한 27개의 시료 중 22개의 시료가 식품공전의 규정 기준보다 높은 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한 채소류를 섭취하여, 채소류 섭취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더 위생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JS, Bang O, Ghang HC (2004)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 Won YJ, Yoon CY, Seo IW, Nam HS,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Lee KY (2002) The study for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Annu Rep KFDA, 6, 521 

  3.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2007)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2, 288-293 

  4. Itoh Y, Sugita-Konishi Y, Kasuage F, Iwai M, HaraHudo Y, Saito N, Noguchi Y, Konuma H, Kumagai S (1998) Enterohomorrhagic Esherichia coli O157:H7 present in radish sprouts. Appl Environ Microbiol, 64, 1352-1355 

  5. Song JH, Choi YJ, Rang HM, Lee KK (2009)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non-thermal processed japanese food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Food Eng Progr, 13, 56-63 

  6. Park HO, Kim CM, W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2001)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280-294 

  7. KFDA (2009) Data on emergence of food poisoning in recent 5 years (2004-2008) 

  8. Lee EH, Jang KI, Bae IY, Lee HG (2011) Antibacterial effects of leek and garlic juice and powder in a mixed strain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8-523 

  9. Kim MS, Kim MH, Kim MY, Son CW, Lim SK, Kim MR (2009)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mmercial side dished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in Daejoe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5, 84-89 

  10. Kim HJ, Kim HY, Ko SH (2007) Applying the disnfecting effects of vinegar to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A focused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567-578 

  11.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Jeo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 J Fd Hyg Safety, 20, 43-47 

  12. KFDA (2009) Korean food standard codex 

  13. Kim HK, Lee HT, Kim JH, Lee SS (2008)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ready-to-eat foods. J Fd Hyg Safety, 23, 285-290 

  14. Hong CK, Seo YH, Choi CM, Hwang IS, Kim MS (2012)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Korea J Fd Hyg Safety, 27, 24-29 

  15. Kang YS, Yoon SK, Jwa SH, Lee DH, Woo GJ, Kim CM, Park YS (2002)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p. J Fd Hyg Safety, 17, 31-35 

  16. Jo MJ, Jeong AR, Kim HJ, Lee N, Oh SW, Kim YJ, Chun HS, Koo M (2011)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17. Jung HJ, CHo JI, Park SH, Ha SE, Lee KH, Kim CH, Song HS, Chung DH, Kim MG, Kim KY, Kim, KS (2005) Genotypic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lettuces and raw 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34-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