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매실주의 숙성 중 에틸카바메이트의 발생을 알아보고자 일반 가정에서 담그는 방식으로 매실주와 복분자주를 담아 저장하면서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매실주는 매실과 설탕 및 $19.5^{\circ}{\sim}35^{\circ}$ 담금주의 담금비를 달리하여 담아, 15일부터 180일까지 15~30일 간격으로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숙성 90일 까지 매실을 설탕만으로 숙성한 경우와 복분자주에서 에틸카바메이트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매실의 알코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매실과 담금주의 비율을 달리한 결과, 매실보다는 알코올 함량이 에틸카바메이트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20~150일 숙성기간이 지나면서 에틸카바메이트 발생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90일 숙성 후 여과처리 하였을 경우 여과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80일까지 2배가량 높은 에틸카바메이트가 발생하였으나 이들 모두 안전한 수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EC) during the ripening of Maesil with sugar and Soju (19.5~35% alcohol contents) using a homemade method. Maesil, sugar and Soju were purchased at ordinary market in June of 2012. The preparation of sample for analysis wa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제조하는 방식으로 매실과 알코올 농도 및 담금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매실주를 숙성하면서 180일 동안 발생되는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안전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틸카바메이트는 식품의 저장 및 숙성과정에서 어떻게 생성되는가? 에틸카바메이트(ethyl carbamate)는 식품 저장 및 숙성과정에서 자연 발행하는 물질이다. 효모의 아르기닌(arginine) 분해효소에 의해 생성된 요소(urea), 시안화합물(cyanate), 시트룰린(citrullin) 및 카바밀화합물(carbamyl phosphate)이 에탄올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이다(4). 이는 섭취 후 체내에서 vinyl carbamate로 대사된 후 epoxidation을 거쳐 DNA adduct를 형성하여 돌연변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Group 2A의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다(5).
핵과류 과일에서 에틸카바메이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그중 포도주에 많은 양이 생성된다고 보고되었으며, 캐나다의 경우 이를 30 µg/kg 수준으로 규제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매실과 같은 핵과류 과일에 포함되어있는 시안화합물이 알코올과 반응하여 다량의 에틸카바메이트가 생성된다고 알려지면서 국민들의 우려는 높아졌으나 아직까지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7).
에틸카바메이트는 어떤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가? 효모의 아르기닌(arginine) 분해효소에 의해 생성된 요소(urea), 시안화합물(cyanate), 시트룰린(citrullin) 및 카바밀화합물(carbamyl phosphate)이 에탄올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이다(4). 이는 섭취 후 체내에서 vinyl carbamate로 대사된 후 epoxidation을 거쳐 DNA adduct를 형성하여 돌연변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Group 2A의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onguibogam (2000) Geunyoung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2. Cha HS, Pack YK, Park JS, Park MW, Jo JS (1999)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8-494 

  3. Seo KS, Huh CK, Kim YD (2008)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mume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 288-292 

  4. Ough GH (1976) Ethyl carbamate in beverages and foods. J Agric Food Chem 24, 323-331 

  5. IARC (1974) Urethan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man. IARC Monograph 7, 111-140 

  6. Lim HS, Lee KG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ethyl carbamate in various foods. Food Chem, 126, 1373-1379 

  7. R Battaglia, HBS Conacher, BD Page (1986) Food additives and Contaminations. 4, 477-796 

  8.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2011) Alcohol Liquor Industry magazine New year issue 

  9. KFDA (2007) Analytical method for Hazardous Substances without Standards/Specifications 2007-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0. KFDA. (2012) Food additive Code Standards for Food Additive Use in Foods 2012-2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1. Bae DH (2006) Preparation of database for regulation of ethyl carbamate contents in alcoholic beverages through monitoring imported products. The annual report of KFDA, 10, 9-10 

  12. Henry BS, Page D, Lau BPY, Lawrence JF, Bailey R, Calway P, Hanchay JP, Mori B (1987)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with confirmati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Assoc Off Ana Chem Int, 70, 749-751 

  13. Park SK, Yoon TH, Choi DM (2008) Analysis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Anal Sci Tech, 21, 53-57 

  14. Hwang LH, Kim AK, Park KA Hwang IS, Chae YZ (2009) The effect of raw material, alcohol content, and trans-resveratrol on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in Plum wine. J Fd Hyg safety, 24, 194-199 

  15. KFDA (2011) B2-2011-1-001 Ethyl Carbamate Preventative Action Manual 

  16. Park LY, Chae MH, Lee SH (2007) Effect of ratio of Maesil (Prunus mume) and alcohol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4, 645-649 

  17. Sarah H, Colin C, Nicholas P, Julie C, Danny C, Thomas B, Wendy M, Barry W, Krishna P (2007) Survey of ethyl carbamate in food sold in the United Kingdom in 2004. J Agric Food Chem, 55, 2755-27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