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분석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Commercial and Homemade Maesilju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2, 2015년, pp.309 - 315  

류다연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은미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틸카바메이트의 내부표준물질로 $d_5$-에틸카바메이트가 선정되었다. 에틸카바메이트의 일내(intra-day), 일간(inter-day) 정밀도를 측정한 결과, 회수율은 92.54~103.59%, 상대표준편차는 0.87~5.64%로 CODEX 기준에 부합하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1.20 ppb와 3.65 ppb였으며, 검량선은 직선성(R2=0.9992)을 나타내었다. 상업용 매실주보다는 가정에서 담근 매실주에서 검출된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실주의 숙성기간은 에틸카바메이트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매실의 침지기간과 매실이 분리된 후 숙성기간이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n analytical method for ethyl carbamate (EC) in Maesilju. For accurate analysis of EC in Maesilju, an internal standard (d5-EC) and neutralization (pH=7) were performe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3.65 ppb while the recovery rate ranged from 92.5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틸카바메이트의 분석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표준물질 별 회수율을 비교하여 분석법을 개발하고, 상업적으로 제조된 매실주와 가정에서 직접 제조된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틸카바메이트는 무엇인가? 식품을 제조․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 및 잔류되는 유해물질이 미량일지라도 음식물을 통해 일생 동안 섭취되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에틸카바메이트(ethyl carbamate)는 발효식품 또는 알코올 음료의 저장 및 숙성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동물성 발암물질이다(KFDA 2010). 알코올 음료 중 포도주, 청주, 위스키 등에서 에틸카바메이트가 높게 검출되었는데, 특히 핵과류(stone fruits: 살구, 매실, 체리 등)로 제조된 브랜디와 증류주에서 매우 높게 검출되었다(Weber & Sharypov 2009).
에틸카바메이트 생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존재하는가? 지금까지 발효식품과 알코올 음료에서 에틸카바메이트 생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아르기닌을 분해하여 요소 또는 시트룰린을 생성하는 효소인 arginase의 gene을 포도주 발효 효모에서 제거하거나, acid urease를 처리하여 요소를 분해하거나, 증류방법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Fujinawa et al 1992; Liu et al 1996; KFDA 2011). 미국 FDA와 캘리포니아양조협회는 포도주의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을 낮추기 위해 ‘Ethyl Carbamate Preventative Action Manual’을 작성하여 포도주 제조업자들에게 보급하여 에틸카바메이트 생성을 저감화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Butzke & Bisson 1997).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은 어떤 것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하지만 우리나라는 알코올 함량이 15% 미만인 포도주에 에틸카바메이트의 최대허용치가 30 ppb로 설정되어 있지만, 다른 알코올 음료에 대한 기준함량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매실주는 제조할 때 사용되는 알코올의 농도, 매실과 씨의 분리 시기, 숙성 기간 등에 의해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이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3b; Hwang et al 2009). 특히, 가정에서 직접 매실주를 담그는 경우에는 매실과 알코올의 비율, 발효조건, 침지기간, 숙성기간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에틸카바메이트 생성량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14-15. 

  2. Chung KH (2013) Plum, maesi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pp 144-147. 

  3. Butzke CE, Bisson LF (1997) Ethyl Carbamate Preventative Action Manual. UCdavis Cooperative Extension. 

  4. Fujinawa S, Kodama S, Todoroki H, Suzuki T (1992) Trace urea determination in red wine and its degradation rate by acid urease. Am J Enol Vitic 43(4): 362-366. 

  5. Huang Z, Pan XD, Wu PG, Chen Q, Han JL, Shen XH (2013) Validation (in-house and collaborator) of the quantification method for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and soy sauce by GC-MS. Food Chem 141: 4161-4165. 

  6. Hashiguchi T, Horii S, Izu H, Sudo S (2010) The concentration of ethyl carbamate in commercial ume (Prunus mume) liqueur products and a method of reducing it. Biosci Biotechnol Biochem 74(10): 2060-2095. 

  7. Hwang LH, Kim AK, Park KA, Kim JY, Hwang IS, Chae YZ (2009) The effect of raw material, alcohol content, and transresveratrol on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in plum wine. J Fd Hyg Safety 24(3): 194-199. 

  8. KFDA (2008) Official Amendment Notice no. 2008-2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9. KFDA (2010) Ethyl carbamate: Risk profil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1-76. 

  10. KFDA (2011) Reduction manual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 beverag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13-46. 

  11. KFDA (2011) Alcohol consumption and intake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75&seq 16616&cmdv. Accessed Dec 13, 2014. 

  12. KHIDI (2013)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3. Kim DH, Jang HS, Choi GI, Kim HJ, Kim HJ, Kim HL, Kim KS (2013a) Determination of residue levels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by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Fd Hyg Safety 28(1): 63-68. 

  14. Kim NY, Eom MN, Do YS, Kim JB, Kang SH, Yoon MH, Lee JB (2013b)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maesil wine by alcohol content and ratio of maesil (Prunus mume) during ripening period. Korean J Food Preserv 20(3): 429-434. 

  15. Kim YKL, Koh E, Chung HJ, Kwon H (2010)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some fermented Korean foods and beverages. Food Addit Contam 17(6): 469-475. 

  16. Lachenmeier DW, Nerlich U, Kuballa T (2006) Automated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stone-fruit spirits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108: 116-120. 

  17. Lim SH, Lee KG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ethyl carbamate in various fermented foods. Food Chem 126: 1373-1379. 

  18. Liu SQ, Pritchard GG, Hardman MJ, Pilone GJ (1996) Arginine catabolism in wine lactic acid bacteria: is it via the arginine deiminase pathway or the arginase-urease pathway. J Appl Bacteriol 81(5): 486-492. 

  19. Statistics Korea (2014) Agriculture and forestry production index (maesil).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4&tblIdDT_114_2014_S0002&conn_pathI3. Accessed January 27, 2015. 

  20. Weber JV, Sharypov VI (2009) Ethyl carbamate in foods and beverages: A review. Environ Chem Lett 7(3): 233-247. 

  21. Xia Q, Yuan H, Wu C, Zheng J, Zhang S, Shen C, Yi B, Zhou R (2014) An improved and validated sample cleanup method for analysis of ethyl carbamate in Chinese liquor. J Food Sci 79: 1854-1860. 

  22. Zimmerli B, Schlatter J (1991) Ethyl carbamate: Analytical methodology, occurrence, formation, biological activity and risk assessment. Mutat Res Genet Toxicol Environ Mutagen 259: 325-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