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평초 추출물의 미백 및 항주름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2 no.4, 2019년, pp.391 - 398  

김동희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  박태순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  김세기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Daegu Catholic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평초 추출물 및 부평초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E-E) 100 ㎍/mL 농도에서 각각 44.2와 74.3%로 나타났다. 항주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내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 활성과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SE)은 25 ㎍/mL 농도에서 48.5%, 같은 농도에서 SE-E는 가장 높은 57.8%의 생합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SE와 SE-E의 MMP-1 저해활성은 25 ㎍/mL 농도에서 각각 13.4와 28.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과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L 농도에서 SE는 각각 9.6과 1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E는 각각 15.4와 2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E와 SE-E의 높은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추가적인 항균, 항염, 항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분야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y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and fraction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its efficacy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4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부평의 효능에 관한 연구로서 비만의 원인인 수습정체, 담음, 양허 등에 부평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지방세포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유의성 있는 결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18], 면역과 아토피관련 효능, 항암 활성에 대한 연구[19,20]와 부평초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일부 보고된 바 있어 건강 바이오 소재나 다이어트 소재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식물로부터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소재를 탐색하고자 다양한 수생식물을 대상으로 효능을 조사, 평가하였으며, 그 중에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낸 부평초(S. polyrhiza) 70% EtOH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의 강한 라디칼 소거활성,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평초(Spirodelae Herba)는 무엇인가? 부평초(Spirodelae Herba)는 개구리밥과(Lemnaceae)에 속한 다년생 수생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leid)과 청평(Lemna minor L.),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Hegelm)의 전초를 건조한 것으로, 6월9월 사이에 채취하여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건조하여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한약재이다. 부평초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 개구리밥(S.
광노화는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외인적 노화는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주된 원인이다. 자외선을 받게 되면 교원질(collagen) 및 탄력섬유(elastin fiber) 등의 기질 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 교원질의 양이 부족해지고 탄력섬유가 변성되어 주름을 유발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7,8]. 또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등의 신호전달물질을 멜라닌세포로 분비하게 된다[9].
개구리밥(S. polyrhiza)에 존재하는 성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부평초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 개구리밥(S. polyrhiza)에서 campesterol, β-sitosterol, stigmasterol 등의 sterol [13]과 apigenin-7-O-β-D-glucoside, cynaroside, hypolaetin-8-O-β-D-glucoside, vitexin, orientin 등의 flavonoid, anthocyanin 및 tannin 등이 보고되어 있다[14,15].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는 부평초를 말려 부종, 수종, 갈증, 강장, 발한, 해독, 충독, 수독, 양모, 당뇨병, 창종, 화상 등 피부와 관련된 질환의 약재로 사용하였으며[16,17] 이를 근거로 아토피관련 효능, 피부재생관련 효능, 항염증관련 효능, 피부 진정관련 효능, 피부미백관련 효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바이오 소재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Zukiewicz-Sobczak WA, Adamczuk P, Wroblewska P, Zwolinski J, Chmielewska-Badora J, Krasowska E, Galinska EM, Cholewa G, Piatek J, Kozlik J (2013) Allergy to Selected Cosmetic Ingredients. Postep Derm Alergol 30: 307-310 

  2. Amasa W, Santiago D, Mekonen S, Ambelu A (2012) Are Cosmetics Used in Developing Countries Safe?. J Toxicology 2012: 8-15 

  3. Juliano C, Magrini GA (2018) Cosmetic Functional Ingredients from Botanical Sources for Anti-Pollution Skincare Products. Cosmetics 5: 19 

  4. Kanlayavattanakula M, Louritha N, Chaikula P (2016) Jasmine Rice Panicle: A Safe and Efficient Natural Ingredient for Skin Aging Treatments. J Ethnopharmacology 193: 607-616 

  5. Svobodova A, Walterova D, Vostalova J (2006) Ultraviolet Light Induced Alteration to the Skin. Biomed Pap Med Fac Univ Palacky Olomouc Czech Repub 150: 25-38 

  6. Roy A, Sahu RK, Matlam M, Deshmukh VK, Dwivedi J, Jha AK (2013) In vitro Techniques to Assess the Proficiency of Skin Care Cosmetic Formulations. Pharmacognosy Reviews 7: 97-106 

  7. Lin JW, Chiang HM, Lin YC, Wen KC (2008) Natural Products with Skin-whitening Effects. J Food and Drug Analysis 16: 1-10 

  8. Smit N, Vicanova J, Pavel S (2009) The Hunt for Natural Skin Whitening Agents. Int J Mol Sci 10: 5326 

  9. Gilchrest BA (1989) Skin aging and photoaging: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 610-613 

  10. Kang KS, Kim ID, Kwon RH, Heo YY, Oh SH, Kim MA, Jung HJ, Kang HY, Ha BJ (2007) The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J Life Sci 17: 1147-1151 

  11. Lee BG, Kim JH, Ham SG, Lee CE (2014)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Korean J Plant Res 27: 29-34 

  12. Kim DS, Kim DH, Oh MJ, Lee KG, Kook MC, Park CS (2010) Antiaging and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y-produ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 137-143 

  13. Suh SS, Shin JS (1969) Studies on phytosterols. Yakhakhoe Chi 13: 144-146 

  14. Chi HJ (1981) Irridoid-containing Korean Medicinal plants (I). Kor J Pharmacogn 12(1): 19-22 

  15. Harborne JB (1986) The natural distribution in angiosperms of anthocyanins acylated with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Phytochemistry 25: 1887-1894 

  16. Xue Q, Wen-ni H, Cheng X, Jian H, Li-jun W, De-an G, Min Y (2011)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in Spirodela polyrhiz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Phytochem Anal 22: 475-483 

  17. Kim JP, Lee IS, Seo JJ, Jung MY, Kim YH, Y NH, Bae KH (2010) Vitexin, orientin and other flavonoids from Spirodela polyrhiza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cells. Phytother Res 24: 1543-1548 

  18. Cho SE, Kim BW, Kwon KR, Rhim TJ, Kim DH (2008) The effect of Spirodelae herba pharmacopuncture on adipocyte metabolism, Kor Pharmacopuncture Institute 11(1): 71-82 

  19. Lee HJ, Kim MH, Choi YY, Kim EH, Hong JK, Kim KS, Yang WM (2016)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with topical application of Spirodela polyrhiza, J Ethnopharmacology 180: 12-17 

  20. Ahn YS, Seong NS, Ham IH, Cho HY (2004) Study on the effect of medicinal herbs used as Bu-pyung (S. polyrhiza and L. paucicostata) on immune and anti-cancer. Kor J Herbology 19: 117-127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nt activity applying and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3.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22: 5875-5879 

  24.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25.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26. Min KJ, Song JW, Cha CG (2008)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of Agrimonia pilosa. J Fd Hyg Safety 23: 149-156 

  27.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28. Parfitt AM, Simon LS, Villanueva AR, Krane SM (1987) Procollagen type I carboxy-terminal extension peptide in serum as a marker of collagen biosynthesis in bone. correlation with iliac bone formation rates and comparison with total alkaline phosphatase. J Bone Miner Res 2: 427-436 

  29. Koo BS, Hwang EI, So SH, Lee SK, Han GH, Kim NM (2007) Effect of Torilis Fructus on Procollagen Biosynthesis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I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 Kor J Pharmacogn 38(4): 349-353 

  30. Fisher GJ, Voorhees JJ (1999) Molecular mechanism of photoaging in human skin in vivo and their prevention by all-trans retinoic acid. Photochem Photobiol, 69: 154-158 

  31. Fanger GR, Johnson NL, Johnson GL (1997) MEK kinases are regulated by EGF and selectively interact with Rac/Cdc42. EMBO J 16: 4961-4972 

  32. Park SH, Lee KH, Han CS, Kim KH, Kim YH (2010)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 129-136 

  33. Lin CB, Babiarz L, Liebel F, Roydon Price E, Kizoulis M, Gendi menico GJ, Fisher DE, Seiberg M (2002) Modulation of microphthal 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gene expression alters skin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119: 1330-1340 

  34. Ando S, Ando O, Suemoto Y, Mishima Y (1993)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ic inhibitors. J Invest Dermatol 100(2 Suppl): 150S-155S 

  35. Cho YH (2008) Inhibitory Effect of Enteromorpha linza on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Kor J Pharmacogn 39: 174-178 

  36. Jeon MJ, Kim MH, Jang HJ, Lee SW, Kim JH, Kim HS, Lee SH (2012)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J Life Sci 22: 889-896 

  37. Abdel-Malek ZA, Swope VB, Suzuki I, Harriger D, Boyce ST, Urabe K, Hearing VJ (1995) Mitogenic and melanogenic stimulation of normal human melanocytes by melanotropic peptides. Proc Natl Acad Sci USA 92: 1789-1793 

  38. Jimenez CC (2004)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transient down regulation of melanocyte differentiation markers and possible involvement of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J. Cell Sci 114: 2335-2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