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7 no.1, 2013년, pp.11 - 19
박황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이상남 (대구한의대학교 기공학교실) , 이봉효 (대구한의대학교 침구경락교실) , 최성훈 (대구한의대학교 해부학교실)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focusing on Yangseng(養生) studie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s attempt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the Yangseng(養生)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Yangseng(養生) as a key word was searched on representative domestic databa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강에 대한 인식과 적응하는 방법이 무엇에 따라 달라져 왔는가? | 이는 현재에도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건강의 정의로서 건강의 개념을 ‘질병의 부재상태’로 인식하던 생의학적 모델(biomedical model)에서 심리, 사회, 환경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생물-심리-사회모델(bio-psycho-social model)로 전환한 개념이었다2). 이처럼 건강은 몸의 현상을 설명하는 술어 중 하나로 어느 집단에서나 인류의 기원과 함께 생활의 일부로 존재해왔고 이에 대한 인식과 적응하는 방법도 문화가 발달되어온 과정과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다3). | |
養生의 가치를 현대 사회에 적용시켜 나갈 시 기대되는 것은? | 이와 같이 自然에 順應하며 좀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養生의 가치를 현대 사회에 적용시켜 나간다면 韓醫學과 韓民族의 고유사상을 활용하여 韓國을 넘어 인류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養生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활발하게 이뤄져 왔으나 아직 양생을 키워드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 |
현재에도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건강의 정의는 무엇인가? | 세계보건기구 헌장(Constitu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1948년에 “건강이란, 다만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
예방의학 편찬의원회. 예방의학. 서울. 계축문화사. pp 31-44, 2008.
강신익. 한국인의 몸을 통해 본 동.서의학. 大韓醫史學會. 醫史學. 13(2):315-334, 2004.
오재근. '건강(health)'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 - 황제내경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우호, 홍원식, 기공학 발달에 대한 문헌적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지 1(1):13-64, 1996.
洪元植. 黃帝內經素問解釋. 서울. 高文社. p 7, 1987.
李鎭洙. 東醫寶鑑에 보이는 養生思想. 원광한의학 2(1):23-33, 1992.
유점문. 중의양생학. 상해중의학원출판사. p 2, 291, 1989.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장보형, 서혜민, 신채민.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pp 12-13, 2011.
한국학술지인용색인. [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URL: http://www.kci.go.kr/ (2012.9.27.)
한국연구재단. [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URL: http://www.nrf.re.kr/nrf_tot_cms/show.jsp?show_no182&check_no178&c_relation0&c_relation20
김애정. 양생(養生)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4(5):729-738, 2004.
Belloc NB,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3):409-421, 1972.
신호철, 송상욱, 김용철, 이재호, 옥선명, 염근상. 건강 상태평가 도구의 개발-CMCHS V1.0. 가정의학회지 19(11):SB 33, 1998.
E Ware Jr, CD Sherbourn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473-483, 1992.
김광호. 양생과 한의학. 제 19회 전국 한의학 학술대회 논문집. pp 7-10, 1997.
이재선, 조희철, 금경수, 황우준, 임은미. 黃帝內經에 나타난 양생. 大韓韓醫情報學會誌 12(1):14-24, 2003.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肝系內科學. 서울:東洋醫學硏究院p 502, 1989.
김남일. 한국 양생의학의 역사. 제19회 전국 한의학 학술대회발표논문집. 대한한의사협회. 1997.
姜孝信 編著. 人間三百六十六事 參佺戒經.八理訓. 大邱:東樞桓醫學硏究院. pp 680-681, 2012.
서경전, 박병수. 한국도교 양생사상의 맥락에서 본 신종교의 수양론 유형연구. 圓佛敎學 6(1):263-322, 2001.
안상우, 김남일. 韓國 養生醫學의 歷史. 대한예방의학회지 12(2):159-167, 2008.
권영은. 성인의 건강개념과 건강행위에 대한 서술적 연구. 서울保健大學 論文集15(1):209-215, 1995.
신상진. 한국성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특성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0.
한국도교문화학회. [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URL http://www.koreantaoism.com
대한한의학원전학회. [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URL: http://www.wonjeon.or.kr
동서간호학연구소. [cited 2012 Sep 27]. Available from:URL: http://www.ewnri.or.kr
김낙필. 도교의 양생사상. 과학사상 35: 160-176, 2000.
田炳薰 鄭遇悅. 東醫寶鑑 등에 나타난 道敎思想과 人體生命觀. 한국전통의학지 7(2):39-50, 1997.
전국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편저. 養生學(韓方豫防醫學). 서울, 계축문화사. pp 409, 684-694, 2007.
李仙童. 慢性退行病 시대에서 養生의 重要性에 관한 硏究-최근 보건의료문제의 대처를 중심으로 -. 尙志韓醫大論叢 2(1):1-14, 1999.
Ware, J.E., Kosinski, M., Dewey, J.E., Gandek, B.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s: A Manual for Users of the SF -8 Health Survey. Linco1n RI,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001.
Pender, N.J., Pender, A.R.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ing Research 35: 15-18, 1986.
박영숙, 이화연, 권윤희. 여성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양생행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13(3):163-171, 2011.
付國兵, 劉洋, 彭玉淸. 關于中醫養生治未病內涵的理論探討. 北京中醫藥 27(6):403-405,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Geneva:WHO. 1996.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