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sage as probiotics, we isolated and identified one strain of bacillus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gaterium KS12 by examining its biochem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99% similarity). B. megaterium KS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용 미생물의 한방제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을 시도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의 장내 생존성 등 프로바이오틱스 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상기 세균이 포함된 생균 白朮散加味方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 0 이상으로 보고되어 있다12). 따라서본 연구에서 분리한 균주는 높은 내산성을 나타내 위에서 생존하여 소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정장작용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닌 생균으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담즙에 내성을 지녀 생존한 상태로 장관에 도달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조한 생균 한방소화제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판 중인 한방소화제와 비교하여 소화효소의 활성, 소화제에 존재하는 생균의 수를 조사하였다. 생균 한방소화제와 일반 한방소화제 1 g을 PBS 완충용액 10 ml에 녹여 원심분리한후 상등액을 얻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白朮散加味方은 양방 소화제와 달리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실험의 시료인 白朮散加味方은 오래동안 전래되어 내려온 경험방인 까닭에 문헌적 출처를 찾기는 어려우나 현재 여러 한의원에서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는 한방 소화제이다. 강제적으로 위장운동을 강화시키거나 단순한 분해 효소로 제조된 양방 소화제와는 달리 위 기능을 근본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소화기능을 회복시키는 임상 활용방으로 19종의 한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무엇을 총칭하는가? 프로바이오틱스는 숙주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을 총칭한다. FAO 및 WHO의 정의에 따르면 적정한 양을 인체에 공급하면 인체에 건강을 제공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하며, 젖산균, bifidobacteria, 효모 및 bacilli 등이 이에 해당된다.
프로바이오틱스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프로바이오틱스는 숙주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을 총칭한다. FAO 및 WHO의 정의에 따르면 적정한 양을 인체에 공급하면 인체에 건강을 제공하는 살아 있는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하며, 젖산균, bifidobacteria, 효모 및 bacilli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는 면역력 강화, 항암, 각종 설사 치료 및 항염증 등 광범위한 효능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Paik, H.D., Jung, M.Y., Jung, H.Y., Kim, W.S., Kim, K.T.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 J. Food Sci. Technol. 34: 73-78, 2002. 

  2. D'Souza, A.L., Rajkumar, C., Cooke, J., Bulpitt, C.J. Probiotics in prevention of antibiotic associated diarrhoea: meta-analysis. BMJ 324: 1361, 2002. 

  3. Cremonini, F., Di Caro, S., Nista, E.C. et al. Meta-analysis: the effect of probiotic administration on antibiotic-associated diarrhoea. Aliment. Pharmacol. Ther. 16: 1461-1467, 2002. 

  4. Reddy, B.S., Rao, D.R. Health benefits of lactic acid bacteria in relation to cancer prevention. In 8th Internation Symposium on Latic Acid Bacteria and Health. 9-20, 1993. 

  5. Holzpfel, W.H., Pool-Zobel, B.L.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carcinogen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In 8th Internation Symposium on Latic Acid Bacteria and Health. 52-60, 1993. 

  6. Klaver, F.A.M., van der Meer, R. The assumed assimilation of cholesterol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um bifidum is due to their bile salt conjugating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1120-1124, 1993. 

  7. Reid, G., Jass, J., Sebulsky, M.T., McCormick, J.K. Potential uses of probiotics in clinical practice. Clin. Microbiol. Rev. 16: 658-672, 2003. 

  8. Ouwehand, A.C., Salminen, S., Isolauri, E. Probiotics: an overview of beneficial effects. Antonie Van Leeuwenhoek 82: 279-289, 2002. 

  9. Hamilton-Miller, J.M. The role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22: 360-366, 2003. 

  10.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T. Studies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strain, L. casei PSR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eds. Jpn. J. Microbiol. 29: 691-698, 1974. 

  11. Shin, M.S., Lee, J.J., Na, S.H., Bae, H.S., Huh, C.S., Baek, Y.J. Characteristics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Korean feces for probiotics. Kor. J. Dairy Sci. 20: 273-282, 1998. 

  12. Shim, J.H., Oh, S.J., Kim, S.K., Baek, Y.J. Comparative tests on the acid tolerance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lactic fermented produ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101-104, 1995. 

  13. Chung, W.B., Soe, W.S., Cha, J.Y., Cho, Y.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FF-3 for probiotics production from Korean dongchimi. Kor. J. Food Preserv., 10: 406-410, 2003. 

  14. 이신호, 노명자.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인공위액과 담즙에서의 생존특성과 항균성.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617-622, 1997. 

  15. 김효주, 장해춘.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