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에서 분리한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spp. Isolated from West S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2, 2013년, pp.146 - 149  

강창호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오수지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소재성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브리오균은 해양 및 하구 환경에서 상재하는 균으로 그람 음성 간균, 호염성, 비포자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병과 관련된 균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Vibrio cholera 등이 있다. 매년 어패류의 섭취 등을 통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6곳에서 패류를 채취하여 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120건의 패류를 TCBS 평판배지와 API 20E kit 기법으로 동정하였을 때 23.3%의 시료에서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6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82.1%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rifampin (71.4%)과 cephalothin (53.6%)에 대한 내성비율도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2.9%),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92.9%)과 tetracycline (96.4%)에 대해 가장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71.4%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a of genus Vibrio are Gram-negative, curved, halophilic, nonspore-forming bacteria, autochthonous inhabitans of the marine and estuarine environments. Some of the Vibrio species such as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and V. cholerae are associated with human disease. Each year many peo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연안 패류양식장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 실태 파악을 위하여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서해안 패류양식장을 대상으로 비브리오균을 분리하고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내성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은 무엇이 있는가? 비브리오균은 해양 및 하구 환경에서 상재하는 균으로 그람 음성 간균, 호염성, 비포자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병과 관련된 균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Vibrio cholera 등이 있다. 매년 어패류의 섭취 등을 통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6곳에서 패류를 채취하여 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연안 해역의 오염도가 증가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생활 폐수와 산업폐수 그리고 사람이나 가축으로부터 배설된 분변 등의 오염원이 강우나 하천을 통하여 해상으로 유입됨으로써 연안 해역의 오염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항생제를 투여한 가축 또는 반려동물이나 사람의 분변으로부터 약제 내성균이 자연환경으로 방출되기도 하는데, 사람이나 동물에게 투여한 항생제가 완전히 소화·흡수 되지 않고 약 70% 정도가 성분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배설된다는 보고도 있다(Kümmerer, 2009).
패류의 안전 관리가 요구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패류는 생식, 가열조리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는 국민기호식품이지만, 식품의 특성상 원료 수확해역이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연안해역의 오염도가 매년 증가하면서 여러 위생안전의 위해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생산단계에서부터의 철저한 위생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비브리오균은 전세계적으로 연안의 해수와 수산물에서 널리 검출되는 해양상제 세균이다(Urakaw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uer, H.W., Kirby, W.M.M., Sherris, J.C., and Turk, M.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2.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 2007.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obial susceptibility testing: seven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17. Wayne, PA, USA. 

  3. Ellingsen, A.B., Jorgensen, H., Wagley, S., Monshaugen, M., and Rorvik, L.M. 2008. Genetic diversity among Norwegian Vibrio parahaemolyticus. J. Appl. Microbiol. 105, 2195-2202. 

  4. Gaskins, H.R., Collier, C.T., and Anderson, D.B. 2002. Antibiotics as growth promotants: Mode of action. Anim. Biotechnol. 13, 29-42. 

  5. Giguere, S., Prescott, J.F., Baggot, J.D., Walker, R.D., and Dowling, P.M. 2006. Antimicrobial theraphy in veterinary medicine, 4th Ed. Blackwell Publishing, Iowa, USA. 

  6. Han, A.R., Yoon, Y.J., and Kim, J.W. 2012. Antibiotic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Kyunggi-Incheon coastal area. Kor. J. Microbiol. 48, 22-28. 

  7. Klonze, K.C., Cover, D.E., Hyman, F.N., and Mullen, R.C. 1994. Fatal gastroenteritis due to Vibrio fluvialis and nonfatal bacteremia due to Vibrio mimicus: unusual Vibrio infections in two patients. Clin. Infect. Dis. 19, 541-542. 

  8. Kummerer, K. 2009. Antibioti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 A review - Part I. Chemosphere 75, 417-434. 

  9. Lee, K. and Park, P. 2010. Antibiotic-resistance profile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ampicillin-resistance ge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water. Kor. J. Fish Aquat. Sci. 43, 637-641. 

  10. Lesmana, M., Subekti, D.S., Tjaniadi, P., Simanjuntak, C.H., Punjabi, N.H., Campbell, J.R., and Oyofo, B.A. 2002. Spectrum of Vibrio species associated with acute diarrhea in North Jakarta, Indonesia. Diagn. Microbiol. Infect. Dis. 43, 291-297. 

  11. Neela, F.A., Nonaka, L., and Suzuki, S. 2007. The diversity of multi-drug resistance profiles in tetracycline resistant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coastal sediments and seawater. J. Microbiol. 45, 64-68. 

  12. Oh, E.G., Son, K.T., Ha, K.S., Yoo, H.D., Yu, H.S., Shin, S.B., Lee, H.J., and Kim, J.H. 2009.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strains from brackish water on the coast of Gyeongsangnamdo. Kor. J. Fish. Aquat. Sci. 42, 335-343. 

  13. Son, K.T., Oh, E.G., Lee, T.S., Lee, H.J., Kim, P.H., and Kim, J.H. 2005.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alginolyticus from fish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8, 365-371. 

  14. Son, J.C., Park, S.W., and Min, K.J. 2003. Environmental and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p. isolated from fish, shellfish, seawater and brackish water samples in Gyeongbuk eastern coast. Kor. J. Env. Hlth. 29, 94-102. 

  15. Tollefson, L., Altekruse, S.F., and Potter, M.E. 1997. Therapeutic antibiotics in animal feeds and antibiotic resistance. Rev. Sci. Tech. 16, 709-715. 

  16. Urakawa, H., Yoshida, T., Nishimura, M., and Ohwada, K. 2000. Characterization of depth-related population variation in microbial communities of a coastal marine sediment using 16S rDNA-based approaches and quinone profiling. Environ. Microbiol. 2, 542-554. 

  17. Vaseeharan, B., Ramasamy, P., Murugan, T., and Chen, J.C. 2005. In vitro susceptibility of antibiotics against Vibrio spp. and Aeromonas spp. isolated from Penaeus monodon hatcheries and ponds. Int. J. Antimicrob. Agents 26, 285-291. 

  18. Zanetti, S., Spanu, T., Deriu, A., Romano, L., Sechi, L.A., and Fadda, G. 2001. In vitro susceptibility of Vibrio spp.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Int. J. Antimicrob. Agents 17, 407-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