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에서 유행하는 장염비브리오의 병원성 인자와 유전자의 특성
Genetic 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Factors of Pandemic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in South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3 = no.83, 2007년, pp.386 - 395  

홍석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  문지영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  이복권 (국립보건원 세균질환부 장내세균과) ,  김영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99년에서 2001년도 걸쳐서 3년간 국내에서 분리된 환자유래 장염비브리오 18균주와 일본 후쿠오카 지역에서 2002년도에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 9균주 등 총 27균주에 대하여 toxR 유전자의 검출, 혈청형별 검사, 약제내성의 양상, tdh, trh1 및 trh2 유전자의 보유상태 및 urease 생성성을 살펴보고, 혈청형 O3:K6 균주에 대하여 TDH의 생성성 검사, tdh 양성균주의 RFLP 형별, ORF 8의 분포, PFGE법과 RAPD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및 일본의 환자유래 균주 대부분에서 urease음성이었으며, toxR 유전자로 확인 동정하였고 혈청형의 분포는 국내 분리 주의 O3:K6, O4:K9, O6:K46, O3:K57, O5:Kl5와 일본 분리주의 O3:K6, O1:K38, O4:K68, O4:Kl2의 혈청형으로 나타났다. 2.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서는 vancomycin과 oxacillin은 27균주 (100%), penicillin은 26균주 (96.3%)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고, 14균주 (51.9%)가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내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의 내성양상은 6종류로 혈청형에 관계없이 vancomycin, oxacillin, penicillin에 내성을 나타내는 V형이 15균주 (55.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 tdh 유전자는 26균주가 PCR법과 DNA probe hybridization법의 결과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urease양성이었던 일본 환자유래 혈청형 O3:K6 1균주만이 tdh유전자 음성, trh2 유전자 양성을 나타냈다. 혈청형 O3:K6의 TDH 생성성역가는 전 균주가 256배에서 2,048배 정도로 나타났으며, RFLP 양상은 모든 균주가 11.5 kb와 4.3 kb에 tdh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혈청형 O3:K6 균주들은 RAPD법과 PFGE법으로 유전자형별을 비교 검토한 결과 8형으로 거의동일한 유전자형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4. ORF 8의 분포는 혈청형 O3:K6 전 균주에서 양성이었고, 특히 혈청형 O6:K46 4균주 모두에서 ORF 8 양성을 나타내어 새롭게 나타난 유행균주일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따라서 ORF 8 유전자의 검출은 범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균주들을 동정하는데 있어 genetic marker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27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18 strains isolated from Korea and 9 strains from Japan) were serotyped and examined fo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cytotoxicity assay,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production and molecular epidemiolo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유행하는 장염비브리오의 병원성 인자와 유전자의 역학적 연구에 도움이 될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분리된 환자유래 장염 비브리오 균주와 일본 후쿠오카 지역의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 비브리오 균주에 대하여 toxR 유전자의 검출, 혈청형별 검사, 약제내성의 양상, tdh, trhl 및 trh2 유전자의 보유상태 및 생화학적 성상 중에서 urease 생성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특히 혈청형 O3K6 장염비브리오 대하여 TDH의 생성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전자형별을 검토하기 위하여 tdh 양성균주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형별, ORF8의 분포,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법과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TO) 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ng, B., H. Miyamoto, H. Taniguchi and S. I. Yoshida. 2002. Isol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ilamentous bacteriophage, a deleted form of phage f237, from a Pandemic Vibrio parahaemoliticus O4:K68 strain. Microbiol. Immunol. 46, 565-569 

  2. Chiou, C. S., S. Y. Hsu, S. I. Chiu, T. K. Wang and C. S. Chao. 2000. Vibrio parahaemolyticus serovar O3:K6 as cause of unusually high incidence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Taiwan from 1996 to 1999. J. Clin. Microbiol. 38, 4621-4625 

  3. Chowdhury, N. R., S. Chakraborty, T. Rammamurthy, M. Nishibuchi, S. Yamasaki, Y. Takeda and G. B. Nair. 2000. Molecular evidence of clonal Vibrio parahaemolyticus pandemic strains. Emerg. Infect. Dis. 6, 631-636 

  4. Daniels, N. A., A. B. Ray, A. Easton, N. Marano, E. Kahn, A. L. McShan, L. D. Rosario, T Baldwin, MA Kingsley, ND Puhr, JG Wells and FJ Angulo. 2000. Emergence of a new Vibrio parahaemolyticus serotype in raw oysters. JAMA 284, 1541-1545 

  5. DiRita V. J. 1992. Co-ordinate expression of virulence genes by toxR in Vibrio cholerae. Mol. Microbiol. 6, 451-458 

  6. Ewing W. H. 1986. Edward and Ewing's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eae. pp93-134. 4th eds.,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New York, N.Y 

  7. Honda T., Y. Ni, T. Miwatani, T. Adachi and J. Kim. 1993.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 a pore-forming toxin. Can. J. Microbiol. 38, 1175-1180 

  8. Iida T., A. Hattori, K. Tagomori, H. Nasu, R. Naim and T. Honda. 2001. Filamentous phage associated with recent pandemic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Emerg. Infect. Dis. 7, 477-478 

  9. Iida T., O. Suthienkul and K. S. Park. 1997. Evidence for genetic linkage between the ure and trh genes in Vibrio parahaemolyticus. J. Med. Microbiol. 46,639-645 

  10. Kim YB. 2001. Virulence factors and genotyping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 water and clinical isolates. J. Bacteriol. Virol. 31, 229-238 

  11. Kim Y. B., J. Okuda, C. Matsumoto, N. Takahashi, S. Hashimoto and M. Nishibuchi. 1999.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at the species level by PCR targeted to the toxR gene. J. Clin. Microbiol. 37, 1173-1177 

  12. Kishishita M., N. Matsuoka, K. Kumagai, S. Yamasaki, Y. Takeda and M. Nishibuchi. 1992. Sequence variation in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related hemolysin (trh) ge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ppl. Environ. Microbiol. 58, 2449-2457 

  13. Kita-Tsukamoto K., H. Oyaizu, K. Nanba and U. Shimidu. 1993.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arine bacteria, mainly members of the family Vibrionaceae, determined on the basis of 16S rRNA sequences. Int. Syst. Bacteriol. 43, 8-19 

  14. Lam S. and M. Yeo. 1980. Urease-positive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 J. Clin. Microbiol. 12, 57-59 

  15. Lin Z., K. Kumagai, K. Baba, J. J. Mekalanos and M. Nishibuchi. 1993. Vibrio parahaemolyticus has a homolog of the Vibrio cholerae toxRS operon that mediates environmentally induced regulation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gene. J. Bacteriol. 175, 3844-3855 

  16. Matsumoto C., J. Okuda, M. Ishibashi, M. Iwanaga, O. Garg, T. Rammamurthy, H. C. Wong, A. DePaola, Y. B. Kim, M. J. Albert and M. Nishibuchi. 2000. Pandemic spread of an O3:K6 clo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mergence of related strains evidenced by arbitrarily primed PCR and toxRS sequence analyses. J. Clin. Microbiol. 38, 578-585 

  17. Miyamoto T., H. Miwa and S. Hatano. 1990. Improved fluorogenic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foods. Appl. Environ. Microbiol. 56, 1480-1484 

  18. Myers M. L., G. Panicker and A. K. Bej. 2003. PCR detection of a newly emerged pandemic Vibrio parahaemolyticus O3:K6 pathogen in pure cultures and seeded waters from the gulf of Mexico. Appl. Environ. Microbiol. 69, 2194-2200 

  19. Nasu H., T. Iida, T. Sugahara, Y. Yamaichi, K. S. Park, K. Yokoyama, K. Makino, H. Shinagawa and T. Honda. 2000. A filamentous phage associated with recent pademic Vibrio parahaemolyticus O3:K6 strains. J. Clin. Microbiol. 38, 2156-2161 

  20.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06.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Six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16., CLSI, Wayne, Pa 

  21. Nishibuchi M. and J. B. Kaper. 1990. Duplication and variation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gene in Vibrio parahaemolyticus. Mol. Microbiol. 4, 87-99 

  22. Nishibuchi M. and J. B. Kaper. 1985. Nucleotide sequence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ge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J. Bacteriol. 162, 558-564 

  23. Nishibuchi M., V. Khaeomaneeiam, T. Honda, J. B. Kaper and T. Miwatani. 1990.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molysin genes of Vibrio cholerae non-O1, V. mimicus and V. hollisae that are similar to the tdh gene of V. parahaemolyticus. FEMS. Microbiol. Lett. 67, 251-256 

  24. Nishibuchi M., T. Taniguchi, T. Misawa, V. Khaeomaneeiam, T. Honda and T. Miwatani. 1989.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trh) encoding the hemolysin related to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lmmun. 57, 2691-2697 

  25. Okuda J., M. Ishibashi, E. Hayakawa, T. Nishino, Y. Takeda, A. K. Mukhopadhyay, S. Garg, S. K. Bhattacharya, G. B. Nair and M. Nishibuchi. 1997. Emergence of a unique O3:K6 clo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Calcutta, India, and isolation of strains from the same clonal group from Southeast Asian travelers arriving in Japan. J. Clin. Microbiol. 35, 3150-3155 

  26. Okuda J., M. Ishibashi, S. L. Abbott, J. M. Janda and M. Nishibuchi. 1997. Analysis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gene and the tdh-related hemolysin (trh) genes in the urease-positive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on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J. Clin. Microbiol. 35, 1965-1971 

  27. Park K. W., T. Iida, Y. Yamaichi, T. Oyagi, K. Yamamoto and T. Honda. 2000. Genetic characterization of DNA region containing the trh and ure gene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68, 5742-5748 

  28. Shirai H., H. Ito and T. Hirayama. 1990. Molecular epidemiologic evidence for association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and TDH-related hemolysin of the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58, 3568-3573 

  29. Suthienkul O., T. Iida, K. S. Park, M. Ishibashi, S. Supave, K. Yamamoto and T. Honda. 1996.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he tdh and trh genes in clinical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J. Clin. Microbiol. 34, 1293-1295 

  30. Suthienkul O., M. Ishibashi, T. Iida, N. Nettip, S. Supavej, B. Eampokalap, M. Maikino and T. Honda. 1995. Urease production correlates with possession of the trh gene in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Thailand. J. Infect. Dis. 172, 1405-1408 

  31. Suzuki N., Y. Ueda, H. Mori, K. Miyagi, K. Noda, H. Hirose and Y. Oosumi. 1994. Serotypes of urease producing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ir relation to possession of tdh and trh genes. Kansenshogaku Zasshi 68, 1068-1074 

  32. Tada J., T. Ohashi, N. Nishimura, Y. Shirasaki, H. Ozaki, S. Fukushima, J. Takano, M. Nishibuchi and Y. Takeda. 1992. Detection of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gene (tdh) and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related hemolysin gene (trh)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Mol. Cell. Probes. 6, 477-487 

  33. Wong H. C., S. H. Liu, T. K. Wang, C. L. Lee, C. S. Chio, D. P. Liu, M. Nishibuchi and B. K. Lee. 2000. Characteristic of Vibrio parahaemolyticus O3:K6 from Asia. Appl. Environ. Microbiol. 66, 3981-3986 

  34. Yeung P. S. M., M. C. Hayes, A. DePaola, C. A. Kaysner, L. Kornstein and K. J. Boor. 2002. Comparative phenotypic, molecular and virulence characteriz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O3:K6 isolates. Appl. Environ. Microbiol. 68, 2901-29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