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애사적 방법으로 탐색한 경력 도슨트의 과학전시해설 전문성 연구
A Case Study of Experienced Docent's Expertise in Science Exhibit Interpretation Using a Life History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3, 2013년, pp.257 - 273  

이정화 (국립광주과학관) ,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관 도슨트의 활동에 대한 전문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8년간 도슨트 활동을 지속한 박 도슨트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생애사적 접근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박 도슨트 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목적표집, 편의표집을 통해 56명의 도슨트를 선정, 2단계 심화연구 수락자를 기준으로 목적표집을 통해 11명의 도스트를 선정했다.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과 심층면담을 거쳐 본 연구에 적극적인 1인을 3단계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하였다. 주로 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과 문서 등의 수집 분석을 통해 박 도슨트가 어떻게 도슨트 활동을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현재의 도슨트 활동은 어떠한지,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등을 생애사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 도슨트는 교육적 신념이 투철하며 이는 생애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신념이 무엇보다도 도슨트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박 도슨트는 활동을 통해서 전시해설에 관한 실천적 지식이 형성 및 체계화 되고 있었다. 셋째, 박 도슨트는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해서 전시해설을 위한 전문성을 기르고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변 환경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의 구축 및 운영과 도슨트 활동에 따른 지원 및 구축은 과학관에서의 도슨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one woman became a science docent's exper and how she developed expertise in her field of work as a docent in science museum. A life history approa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employed in this study. A docent Ms. Park, had her career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래 과학관은 어떻게 이용되는가? 과거 과학관은 단순히 수집품을 전시하거나 학생들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체험실 설치 및 전시에 그쳤지만 근래 과학관은 과학관에 대한 일반대중 및 학생들의 높아지는 교육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단위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과학관은 학생들이 과학을 더 잘 이해하고 흥미를 갖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있어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Jeong et al.
우리나라에서 국립자연사박물관설립을 위한 움직임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세계 각국의 박물관 창설과 발전에 선구자적 역할을 한 유럽에선 이미 18세기에 박물관의 수집물이 일반인에게 공개 되면서 자연사박물관의 교육적 접근이 시작되었던 (Lee et al., 2004)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 이후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을 위한 심포지움 및 추진위원회가 발족됨으로써(An et al., 1993) 자연사박물관의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가시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 전시물에 관한 특징 및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H.S., Park, S.H., and Lee, C.Z., 1993,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s. Journal of the Korea Earth Science Society, 14, 135-151. (in Korea) 

  2. Bae, B.K., 2006, A study for cultivation of experts in museum education and activation of museum education. Journal of Kyoung-Ju Historical Society, 24-25, 449-482. (in Korea) 

  3. Chang, H.S. and Choi, K.H., 2006, The effects of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of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 330-341. (in Korea) 

  4. Choi, K.H., Chang, H.S., and Lee, H.J., 20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 331-337. (in Korea) 

  5. Cox-Peterson, A.M., Marsh, D.D., Kisiel, J., and Melber, L.M., 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 40, 200-218. 

  6.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Curriculum Inquiry, 11, 43-71. 

  7. Jeong, G.J., et al 17, 2010, An introduction to science museum. Nation Science Museum, Daejeon, Korea, 395 p. (in Korea) 

  8. Jeung, S.J., 2003, Investigation of teacher's recogni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and application (electric energy)-electricity museum-.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5 p. (in Korea) 

  9. Jo, H.I., 2006, Analysis of museum education program and a study on the educator-train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si, Korea, 114 p. (in Korea) 

  10. Kim, H.B. and Kim, C.J., 2005, Education programs of natural history museum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econdary students.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99 Fall Meeting collection of dissertations, 302. (in Korea) 

  11. Kim, H.W., 2004,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cience museum and school curriculum.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9 p. (in Korea) 

  12. Kim, S.H. and Song, J.H., 2003,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science cent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xhibits -in the case of 3 science center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 544-560. (in Korea) 

  13. Lee, S.K., Choi, J.E., Shin, M.K., Kim, C.J., Lee, S.K., Im, J.Y., Byun, H.S., and Lee, C.Z., 200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worl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 357-347. (in Korea) 

  14. Osborne, J. and Dillon, J., 2007,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441-1445. 

  15. Park, E.H., Yi, B.J., Park, J.Y., and Choi, Y.J., 2009, Pedagogical study on the explanation as a method of museum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3, 97-111. (in Korea) 

  16. Park, Y.S. and Lee, J.H., 2011,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881-901. (in Korea) 

  17. Rennie, L.J., Feher, E., Dierking, L.D., and Falk, J.H., 2003,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12-120. 

  18. Shin, M.K. and Lee, C.Z., 2003, Investigation of exhibit characteristics at natural history museums. Journal of the Korea Earth Science Society, 24, 281-289. (in Korea) 

  19. Song, K.H., 2010, A study on the optimizing direction for promoting effect of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at natural history museum.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54 p. (in Korea) 

  20. van Driel, J.H., Beijaard, D., and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137-158. 

  21. Yoon, S.H., 200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biodiversity in natural history museum. Ph. 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8 p. (i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