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The Study of Science Docents' Expertise through Situated Learning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1, 2015년, pp.98 - 113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science docents developed their expertise in the context of situated learning where two experienced docents played roles of mentors. Two experienced docents as mentors and six participating docents as mentees interacted in the community to develop exhib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외에도 도슨트로서 기본적으로 작성해야 할 문서작업 즉 해설계획서, 반영일지, 탐구, 해설시나리오 작성 등에 대한 행정능력 부터 해설능력까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황학습이 주어졌다. 본 연구자와 멘토인 경력 도슨트가 제공하는 간접적인 상황을 경험하면서 과학전시해설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경력 도슨트의 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예민한 사안이나 여러 가지 과학관이나 박물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토론을 하였다.
  • 멘토의 역할을 하는 2명의 경력 도슨트와 6명의 참여자인 멘티 도슨트들이 형성하는 공동체 안에서 과연 멘티의 도슨트들은 어떻게 전문성을 함양하게 되는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상황학습을 통한 이들의 도슨트의 전시해설 및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은 어떻게 변하는지를 3번의 워크샵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파악하도록 하였다. 상황학습을 통하여 멘티의 전문성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상황학습의 종류대로 열거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 각 개인당 참여 도슨트들이 개발한 해설시나리오 및 전시해설탐구는 최소한 1개씩이다. 셋째, 과학관을 한 개 정하여 현장에서 준비한 전시해설을 하게 되며 현장에서 역시 멘토 및 다른 동료와 본 연구자로부터 평가를 받아 스스로 반영일지를 작성하고 앞으로 전시해설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발표한다. 이 외에도 각자 본인들이 활동하는 기관에서 2시간짜리 전시해설탐구를 적용하여 반영일지를 작성하게 된다.
  • 이 연구에서는 상황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성 연수를 도슨트들이 경험하였을 때 이를 전후하여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 시 전시 및 교육해설에 대한 도슨트들의 인식과 실천이 어떻게 바뀌어 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맥락을 통한 도슨트들의 경험에 비추어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도슨트들의 전문성이 어떻게 성장되는지를 보여주는 기초적 자료이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이 연구에서는 상황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성 연수를 도슨트들이 경험하였을 때 이를 전후하여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 시 전시 및 교육해설에 대한 도슨트들의 인식과 실천이 어떻게 바뀌어 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맥락을 통한 도슨트들의 경험에 비추어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도슨트들의 전문성이 어떻게 성장되는지를 보여주는 기초적 자료이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본 연구자와 멘토인 경력 도슨트가 제공하는 간접적인 상황을 경험하면서 과학전시해설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경력 도슨트의 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예민한 사안이나 여러 가지 과학관이나 박물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토론을 하였다. 둘째, 멘티로 참여하는 도슨트의 경우는 본인들이 실시하는 전시해설을 선정하여 해설시나리오나 전시해설탐구를 작성하게 되며, 멘토 및 본 연구자의 피드백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완성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슨트나 해설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는? 이에 전시물이나 다른 교육프로 그램으로 관람객들을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나 해설사의 경우 그 역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Falk & Dierking, 1992; Park & Lee, 2012). 미국의 경우 2011년에 파악된 교육계 자원봉사자는 16백만명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에 박물관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는 1백만명 정도이며, 그중에서도 해설사라 불리는 도슨트의 경우는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자원봉사자로서 이들때문에 관람객들이 다시 과학관을 찾는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도슨트의 역할은 중대하다고 할 수 있다(Good, 2013). 일반적으로 도슨트들은 전시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 그 외에도 관람객들과 상호작용을 자유 자재로 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기술이 능숙해야 하며, 열정적이어야 하고, 적응능력이 신속해야 하며, 여러 가지의 경험이나 선지식을 통합할 수있는 능력 또한 지니고 있어야 한다.
도슨트나 해설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대표적인 비형식 기관으로 거론되는 과학관(자연사 박물관이나 다른 유형의 과학박물관을 포함)의 교육적인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두가 동의하는 바이다. 이에 전시물이나 다른 교육프로 그램으로 관람객들을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나 해설사의 경우 그 역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Falk & Dierking, 1992; Park & Lee, 2012). 미국의 경우 2011년에 파악된 교육계 자원봉사자는 16백만명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에 박물관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는 1백만명 정도이며, 그중에서도 해설사라 불리는 도슨트의 경우는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자원봉사자로서 이들때문에 관람객들이 다시 과학관을 찾는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도슨트의 역할은 중대하다고 할 수 있다(Good, 2013).
대표적인 비형식 기관은? 대표적인 비형식 기관으로 거론되는 과학관(자연사 박물관이나 다른 유형의 과학박물관을 포함)의 교육적인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두가 동의하는 바이다. 이에 전시물이나 다른 교육프로 그램으로 관람객들을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나 해설사의 경우 그 역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Falk & Dierking, 1992; Park & 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ox-Petersen, A. M., Marsh, D. D., Kisiel, J., & Melber, L. M. (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200-218. 

  2. Castle, M. C. (2006). Blending pedagogy and content: A new curriculum for museum teachers. Journal of Museum Education, 31(2), 123-132. 

  3. Dover, L. H., & Rowe, S. M. (2010). Reformed training practices with ISEI volunteers: An evaluation at Oregon Coast Aquarium. Newport, OR: COSEE Pacific Partnerships. 

  4. Falk, J. H., & Dierking, L. D. (1992). The museum experience.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5. Good, L. H. (2013). Unpacking docent practice in free choice learning settings: A qualitative study documenting the what and whys of docent interpretive practice. (PhD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6. Grenier, R. S. (2005). How museum docents develop expertis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7. Grenier, R. 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2). 142-157. 

  8. Grenier, R. S. (2011). Taking the lead: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 docent characteristics.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6(4), 339-353. 

  9. Iverson, J. O., & McPhee, R. D. (2008). Communicating knowing through communities of practice: Exploring internal communicative processes and differences among CoP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6(2), 176-199. 

  10.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Lee, J-H & Park, Y-S. (2013). The study on the experienced docent's expertise in science exhibit interpretation by life history research.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4), 257-273. 

  12. McIntyre, A. (2008).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ries 52.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3. Park, Y-S. & Lee, J-H. (2011).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881-901. 

  14. Park, Y-S. & Lee, J-H. (2012). The Study of Docent System Improvement for Revitalization of Science Muse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2), 200-215. 

  15. Park, Y-S., Park, J-H., & Ryu, H-S. (2014).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program development by docents and its educational impact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75-90. 

  16. Tran, L. U. (2007). Teaching science in museums: The pedagogy and goals of museum educators. Science Education, 91(2), 278-2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