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특징 및 균막 형성
Antibiotic Resistance and Bacterial Biofilm Form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1, 2013년, pp.96 - 104  

이주영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왕해진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신동빈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 275균주에서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주는 259주(94.2%)이며 benzyl penicillin(P)이 92.0%로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106(40.7%) 균주가 2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났으며 3가지 이상 항생제에 내성을 보인 균도 36주(13.8%)였다. Vancomycin에 대해서는 내성을 보인 균주는 없었다. 식품별로는 초밥과 김밥에서 검출된 균주는 8종류의 항생제에 각각 내성을 나타냈으며 MRSA 균주는 11주(전체 275주)가 4% 검출되었다. Oxacillin 내성균은 다제 내성 균주였다. Automated repetitive sequences based PCR microbial typing system(DiversiLab)으로 oxacillin 내성이 있거나 다제 내성인 20주에 대해 유형을 분석한 결과 DiversiLab Analysis Tool for Typing Reports 24529에 의해 90% 이상의 상동성은 2개의 Cluster과 4개의 unique type으로 구분되었다. Congo red agar에 의한 slime production assay로 균막 형성에 대한 양성 결과 균막 형성 양성은 275균주 중 67균주로 24.4%, biofilm assay로 균막 양성인 균주는 30.5%이며 초밥에서 분리한 균주가 34.5%로 가장 많이 형성 되었다. 항생제 내성과 균막 형성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slime 형성 균주는 fusidic acid(FA), mupirocin(MUP)의 단일 항생제의 내성과 통계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다제 내성균의 수와 균막 형성은 상관 관계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human pathogen that produces a wide array of toxins, leading to a number of adverse symptoms. We examined 275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between 2006 and 2008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t least 259 (94.2%) of the tested str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MRSA 의심 균주에 대한 확인을 하였으며,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분자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균막 형성과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품에서 분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MRSA 의심 균주에 대한 확인을 하였으며,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분자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균막 형성과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색포도상구균이 심각성이 커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식용 가축 등의 식품 생산량 증가 등을 목적으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생긴 내성균이 식품 생산 과정, 제조 공정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사람과 달리 식품 유통망을 타고 짧은 시간에 전국적으로 전파 될 수 있으며, 전파된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에게 전이되어 상재균화 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공급원이 될 수 있다[9]. 근래 들어 황색포도상구균은 의료분야에서 항생제 오·남용 따른 methi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와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출현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심각성이 점차 커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병원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MRSA가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고 식품과 관련된 MRSA에 대한 오염이 미국이나 네덜란드 등에서 보고되어 있다[22].
균막 형성의 유무가 중요한 항생제 내성 감염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균막은 부유 생활(planktonic life)을 할 때에 비해 가혹한 환경, 항생제, 면역세포의 공격 등에 대해 강한 저항력을 가지기 때문에 멸균, 소독, 치료가 매우 어렵다[18]. 항생제 내성을 갖는 세균이 균막을 형성한 경우에 항생제가 균막에 작용하여 효과를 보이기도 전에 이미 획득하고 있는 항생제 내성을 이용하여 해당 항생제의 활성을 무력화시키기 때문에 균막 형성의 유무는 중요한 항생제 내성 감염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균막을 형성한 황색포도상구균은 여러 종류의 항균제에 대해 실험실내에서 배양된 세균(planktonic bacteria)보다 10~1,000배 이상 높은 내성을 보인다[3].
항생제에 대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균막은 어떤 형태를 보이는가?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중에 균막(biofilm)이 있다. 균막은 세균이 고체 표면에 부착하여 다당류 또는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다. 균막이 완전히 형성되면 고체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제거가 어렵고, 생체 내에서는 만성 염증의 원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ry, K. S., J. I. Pounder, S. R. Page, B. J. Schaecher, and G. L. Woods. 2005. Clinical Evaluation of the DiversiLab microbial typing system using repetitive-sequence-based PCR for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J. Clin. Microbiol. 43: 1187-1192. 

  2. Chmielewski, R. A. N. and J. F. Frank. 2003. Biofilm formation and control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2: 22-32. 

  3. Cho, K. J., S. Jin, J. H. Cui, T. R. Yoon, and P. Y. Ryu. 2008. Effects of biofilm formation o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J. Bacteriol. Virol. 38: 197-205. 

  4. Freeman, D. J., F. R. Falkiner, and C. T. Keane. 1989. New method for detecting slime production by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J. Clin. Pathol. 42: 872-874. 

  5. Hwang, I. G., H. S. Kwak, and S. H. Yoon. 2010.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s a foodborne biological hazard. J. Food Hyg. Safety 50: 26-36. 

  6. Johannes, K. M., A. H. Matthiab, R. Hologer, and M. Dietrich. 2002. Evaluation of different detection methods of biofilm formation in Staphylococcus aureus. Med. Microbiol. Immunol. 191: 101-106. 

  7. KFDA. 2009. Repot of 2009 Estabililshment of a risk profile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 Korea. 

  8. KFDA. 2010. Statistical yearbook. Food - borne disease outbreak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 Korea. 

  9. Kim, J. S., H. S. Kim, W. Song, H. C. Cho, K. M Lee, and E. C. Kim. 2004. Antimicrobial ressistat profile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13 Korea hospitals. Korean J. Lab. Med. 24: 223-229. 

  10. Kumar, C. G. and S. K. Anand. 1998. Significance of microbial biofilms in food industry. Int. J. Food Microbiol. 42: 9-27. 

  11. Kwon, A.S., G. C. Park,, S. Y. Ryu, D. H. Lim, D. Y. Lim, C. H. Choi, Y. K. Park, and Y. Lim. 2008. Higher biofilm formation in multidrug-resistant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Int. J. Antimicrob. Agents 32: 68-72. 

  12. Kwon, Y. I., T. W. Kim, H. Y. Kim, Y. H. Chang, H. S. Kwak, and G. J. Woo. 2007. Monitoring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medical environment in Kore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 158-162. 

  13. Lee, W. C., T. Sakai, M. J. Lee, M. Hamakawa, S. M. Lee, and I. M. Lee. 1996. An epidemiological study of food poisoning in Korea and Japan. Int. J. Food Microbiol. 29: 141-148 . 

  14. Lim, S. K., H. M. Nam, H. J. Park, H. S. Lee, M. J. Choi, S. C. Jung, J. Y. Lee, Y. C. Kim, S. W. Song, and S. H. Wee. 2010.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raw meat in Korea. J. Microbiol. Biotechnol. 20: 775-778. 

  15. Marco, L., B. Cinzia, G. B. Maria, F. Maria, Z. Jessica, and F. Roberta. 2002. Evaluation of the VITEK 2 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medically relevant gram-positive cocci. J. Clin. Microbiol. 40: 1681-1686. 

  16. Park J. I. and N. L. Lee. 1998. Comparison of susceptibility test and meca detection for determination of methicill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epidermidis. Korean J. Clin. Pathol. 18: 391-395. 

  17. Perez-Roth, E., F. C. Martyin, J. Villar, and S. M. Alvarez. 2001. Multiplex PCR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detection of methicillin and mupirocin resistance. J. Clin. Microbiol. 39: 4037-4041. 

  18. Philip, S. S. and J. W. Costerton. 2001. Antibioric resistance of bacteria in biofilms. J. Lancet. 358: 135-138. 

  19. Rhee, C. H. and G. J. Woo. 2010.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foodborn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J. Food Prot. 73: 2285-2290. 

  20. Ross, T. L., W. G. Merz, M. Farkosh, and K. C. Carroll. 2005. Comparison of an automated repetitive sequence-based pcr microbial typing system to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for analysis of outbreak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Clin. Microbiol. 43: 5642-5647. 

  21. Shutt, C.K., J. I. Pounder, S. R. Page, B. J. Schaecher, and G. L. Woods. 2005. Clinical evaluation of the diversilab microbial typing system using repetitive-sequence-based PCR for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J. Clin. Microbiol. 43: 1187-1192. 

  22. Timothy, F. J., M. E. Kellum, S. S. Porter, M. Bell, and W. Schaffner. 2002. An Outbreak of community-acquired foodborne illnes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Emerg. Infect. Dis. 8: 82-84. 

  23. Vasudevan, P., K. M. N. Manoj, T. Annamalai, and K. S. Venkitanarayanan. 2003.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bovine mastitis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for biofilm formation. Vet. Microbiol. 92: 179-185. 

  24. Wei, H. L. and C. S. Chiou. 2002. Molecular subtyping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an outbreak associated with a food handler. Epidemiol. Infect. 128: 15-20. 

  25. Witta, R., V. Kanhaib, and W. B. Leeuwena. 2009. Comparison of the DiversiLabTM system,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for the characterization of epidemic reference MRSA strains. J. Microbiol. Methods 77: 130-1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