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2, 2013년, pp.183 - 189  

최우석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권희석 (한국코스모화장품) ,  임혜원 (세바바이오텍) ,  노라환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산균은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능 및 미백,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26]. Lactic acid인 Lactobacillus rhamnosus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인 Lactobacillus casei보다 낮게 측정되는 세포독성 결과와 높은 tyrosinase 억제활성을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을 줄임에 따라 미백활성을 가진다. 또한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은 melanoma cell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Lactobacillus casei보다 월등히 높아, 높은 미백 향장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Table 2). 이는 곧 천연물질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합성미백제보다 피부에 독성을 주지 않고, 부작용 없이 피부에 적합한 향장소재로 판단되며, 현대의 새로운 미백향장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항산화 활성멜라닌 세포 형성 억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주름 및 노화 등의 출발점이 되어, 미백 활성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향장소재로써 가치가 높은 Lactobacillus rhamnosus는 합성물질 및 기타 천연물을 대체할 수 있는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향장소재로 다가갈 수 있으며, 향장소재로써 선택의 폭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in addition to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cytotoxicity of the Lactobacillus rhamnosus was 7.6% at 10.0% (v/v) concentration. Its cytotoxicity was lower than 3.2% of Lactobacillus casei when adding the s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ctobacillus rhamnosus의 파쇄물의 human fibroblast cell인 CCD-986sk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실험을 진행하였다. Lactobacillus rhamnosus가 장내 일반 유산균과 비교하여 피부세포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 및 관찰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써 Lactobacillus casei 파쇄물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진은 lactic acid bacteria인 Lactobacillus rhamnosus 의 세포독성 실험 및 항산화 활성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유산균 파쇄물이 활성산소를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확임함과 동시에 미백 기능성 향장소재로써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와 melanogenesis activity를 진행하였다.
  •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능및 미백,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26]. 유산균에 의한 효능들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진은 Lactobacillus rhamnosus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써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란? 천연물질 중 많이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균을 지칭하는데,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는 것은 Bifidobacterium 속, Enter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lostridium butyricum, Lactobacillus sporogenes,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polyfermenticus 등이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및 항암 기능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6, 17].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는 균은 무엇이 있습니까? 천연물질 중 많이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균을 지칭하는데,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는 것은 Bifidobacterium 속, Enter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lostridium butyricum, Lactobacillus sporogenes,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polyfermenticus 등이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및 항암 기능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6, 17].
Latobacillus 균의 피부에 관한 효능은? 특히 Latobacillus 균은 장내 정상세균으로 면역증강, 항바이러스,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8, 21].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능및 미백,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26]. 유산균에 의한 효능들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진은 Lactobacillus rhamnosus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써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outupa, M., M. Saxelin, and R. Korpela. 1996.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GG. Ntr. Today (suppl.). 31: 518-528. 

  2. Bennett, P. B., R. E. Marquis, and I. Demchenko. 1998. High pressure biology and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New York. 

  3. Cho, W. G. 2007. Comparision of drug delivery using hairless and pig skin. J. Korean Oil Chem. Soc. 24: 410-415. 

  4. Dean, R. T. and M. J. Gieseg Davises. 1993. Reactive species and their accumulation on radical damaged proteins. Trends Biochem. Sci. 18: 437-441. 

  5. Di Mazio, L., B. Cinque, C. De Simone, and M. G. Cifone. 1999. Effect of the lactic acid bacteri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on ceramide levels in human keratinocytes in vitro and stratum corneum in vivo. J. Invest. Dermatol. 113: 98-106. 

  6. Dietz, B. M., Y. H. Kang, G. Liu, A. L. Eggler, P. Yao, L. R. Chadwick, G. F. Pauli, N. R. Farnsworth, A. D. Mesecar, and R. B. van Breemen. 2005. Xanthohumol isolated from Humulus Lupulus 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 Res. Toxicol. 18: 1296-1305. 

  7. Furrie Elizabeth. Probiotics and allergy. 2005. P. Nutr. Soc. 64: 465-469. 

  8. Gibson, G. R. and M. B. Roberfroid. 1995. Dietary modulation of human colonic microbiota: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obiotics. J. Nutr. 125: 1401-1412. 

  9. Kim, C. H., M. C. Kwon, J. G. Han, C. S. Na, H. G. Kwak, G. P. Choi, U. Y. Park, and H. Y. Lee. 2008. Skin-whitening and UV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ectracts on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26: 110-116. 

  10. Kim, H. Y. and J. S. Ham.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 23: 186-192. 

  11. Kim, I. C. 2008. Antioxidative proper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olygoni multiflori radix, polygonati rhizoma and ephedrae herba. J. Korean Oil Chem. Soc. 25: 533-538. 

  12. Kim, J. S., Y. C. Seo, W. Y. Choi, H. S. Kim, B. H. Kim, D. H. Shin, C. S. Yoon, H. W. Lim, J. H. Ahn, and H. Y. Lee. 2011.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acer mono sap through nano encapsulation processes. Korean J. Med. Crop Sci. 19: 191-197. 

  13. Kim, J. S., M. H. Jeong, W. Y. Choi, Y. C. Seo, C. J. Ma, J. H. Ahn, N. S. Kim, B. Hwang, J. S. Cho, and H. Y. Lee. 2011. Enhancement of whitening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Korean J. Med. Crop Sci. 19: 97-102. 

  14. Kim, S. S., M. H. Jeong, Y. C. Seo, J. S. Kim, N. S. Kim, J. H. Ahn, B. Hwang, and H. Y. Lee. 2010.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by high pressure extrac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from different production areas. Korean J. Med. Crop Sci. 18: 248-245. 

  15. Korpela, R., K. Peuhkuri, T. Lahteenmaki, E. Sievi, M. Saxelin, and H. Vapaatalo. 1997. Lactobacillus rhamnosus GG shows antioxidative propertie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culture. Milchwissenschaft. 52: 503-505. 

  16. Kopp-Hellihan Lori. 2001.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uses of probiotics. J. Am. Dietetic Assoc. 101: 229-241. 

  17. Lim, A. K., Y. J. Jung, J. S. Kim, Y. H. Kim, J. H. Kwak, J. H. Hong, H. Y. Kim, and D. I. Kim. 2010.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69-375. 

  18. Lim, S. W., H. C. Ryoo, and S. H. Lee. 2002. Understanding of skin aging and its prevention and care. The J. Skin Barrier Res. 4: 71-80. 

  19. Macrae, R. G., R. K. Robinson, and M. J. Sadler.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 Nutr. 1: 607-171. 

  20.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1. Park, H. S., H. S. Lee, and T. B. Uhm. 1998. Selection of microorganisms for probiotics and their characteriz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33-440. 

  22. Park, J. M., J. Y. Lee, T. S. Park, S. J. Hyun, H. H. Kim, Y. J. Cho, O. J. Kwon, A. R. Son, D. S. Kim, and B. J. An. 2008.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70-78. 

  23. Pavel, S. and F. A. Muskiet. 1980. Euemlanin (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report. Cancer Detect Prev. 6: 311-318. 

  24. Pomerantz, S. H. 1963. Seperatio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wo tyrosinases from hamster melanoma. J. Biol. Chem. 238: 2351-2357. 

  25. Prota, G. 1990.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 122-128. 

  26. Prince, T., A. J. McBain, and C. A. O'Neill. 2012. Lactobacillus reuteri protects epidermal keratinocytes from Staphylococcus aureus-induced cell death by competitive exclusion. Appl. Environ. Microbiol. 78: 5119-5126. 

  27. Sanders, J. W., K. J. Leehouts, A. J. Haandrikman, G. Venema, and J. Kok. 1995. Stress response in Lactococcus lactis: cloning, expression analysis and mutation of the lactococcal superoxide dismutase gene. J. Bacteriol. 177: 5254-5260. 

  28. Shin, J. Y. 2001.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Korea J. Food Nutr. 14: 568-572. 

  29. Song, C. H., Y. C. Seo, W. Y. Choi, C. G. Lee, D. U. Kim, J. Y. Chung, H. C. Chung, D. S. Park, C. J. Ma, and H. Y. Lee. 2012. Enhanc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20: 238-244. 

  30. Tobin, D. and A. J. Thody. 1994. The superoxide anion may mediate short but not long term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melanogenesis. J. Am. Acad. Dermatol. 3: 99-105. 

  31. Yamakoshi, J., F. Otsuka, A. Sano, S. Tokutake, M. Saito, M. Kikuchi, and Y. Kubota. 2003.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 Cell Res. 16: 629-638. 

  32. Yoon, T. J., W. S. Yang, S. M. Park, H. Y. Jung, A. N. Lee, J. H. Jung, T. B. Kang, Y. C. Yoo, and J. B. Kim. 2009. In vivo toxicity and immunoadjuvant activity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60-5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