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700 - 2706  

유경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응과 자존감, 삶의 만족도와 학업성취 간의 상호관련성과 이러한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2010"초4패널의 2차년도 데이터 자료수집에 응한 5학년 아동 2254명(남;1174, 여;1080)이다. 변수 구성은 학교적응(수업적응, 규칙적응, 또래관계, 교사관계), 자존감, 삶의 만족도, 학업성취(10개 과목의 자기보고식평가, 학업만족도 문항)로 구성하였다. 학교적응이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PASW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와 구조모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설명력이 있었으며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는 학업성취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적응은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the NYPI's longitudinal data colle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tionwide for 2012. Eq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학업성취와 학교환경변인,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개별적인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있지만, 학교적응과 자존감, 삶의 만족도와 같은 정서적인 요인이 직간접적으로 학업성취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인 학교환경으로 볼 수 있는 학교적응과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변인들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를 설명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적인 관련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의 학업성취를 위한 환경조성 및 정서요인을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의 학업성취의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업성취에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 학교적응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 학교적응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 학교적응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 자존감이 증가할수록 학업성취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취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존감은 학습자에게 무엇이라고 할 수 있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습자의 개인변인 가운데 정의적인 특성인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 등은 최근에 학업성취와 관련되어 중요하게 언급되는 변인이다.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도록 원동력이 되는 자존감은 자신이 의도한 학업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위를 조직하여 실행해나가는 자기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1]. 이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효능성에 대한 기대를 어떻게 하느냐 또는 자기자신의 효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인식의 결과이기 때문에 “자기효능성에 대한 신념 또는 기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존감과 성취는 어떤 관계가 있나? 이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효능성에 대한 기대를 어떻게 하느냐 또는 자기자신의 효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인식의 결과이기 때문에 “자기효능성에 대한 신념 또는 기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높은 성취를 보인다고 하는 것이 많은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2]. 자존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자신의 수행에 대해 높은 기대를 하며 학습과제를 더 가치롭게 판단하며 높은 수준의 과제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자존감이 높을수록 높은 성취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존감이 높을수록 높은 성취를 보인다고 하는 것이 많은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2]. 자존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자신의 수행에 대해 높은 기대를 하며 학습과제를 더 가치롭게 판단하며 높은 수준의 과제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정서와 정보 및 경제적 지원은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증진된 자존감은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도 제시되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dura, A., Exercise of Human Agency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Psychological Science, 9, 75-78, 1997. 

  2. Kim, U., Park, Y., & Koo, J., Adolescent culture, socialization practic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Indigenous, psychological, and cultur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0(Special), 177-209, 2004. 

  3. Meece, J. L., Blumenfield, P. C. & Hoyle, R. H.,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514-523, 1988. DOI: http://dx.doi.org/10.1037/0022-0663.80.4.514 

  4. Y.S. Park, & U.C. Kim, & K.S. Chung,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0(3), 37-59, 2004. 

  5. Jai Sun Koo, Eun Kook Suh, "Happiness Predicts O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6(2), 35-50, 2012. 

  6. Park, Y.S. & Kim, U.C.,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6(3), 385-422, 2010. 

  7. D. H. Ahn, J. A. Kim, S. Y. Hwang, Perceived Competence, Family Processes, School Climate and Academic Achievement: An Examination of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4), 1199-1217, 2005. 

  8. Covington, M. V., & Dray, E., The developmental cour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 need-based approach. In A. Wigfield & J. S. Eccles (Ed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pp. 33-56). San Diego: Academic Press, 2002. DOI: http://dx.doi.org/10.1016/B978-012750053-9/50004-8 

  9. Stipek, D., Motivation to learn: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tanford University, 2002. 

  10. Zsolnai,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chievement, 22(3), 317-329, 2002. 

  11. Bradley, R. H., Caldwell, E. A., Home Environment and school performance : A ten-year follow-up and examination of three models of environmental action. Child Development, 59(4), 852-867, 1988. DOI: http://dx.doi.org/10.2307/1130253 

  12. Tannenbaum, R. S., Education or training : reflections on a life in computing, Educom Review, 34(1), 10-14, 1999. 

  13. H. S.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agnostic Measurements of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4), 269-303. 1999. 

  14. Hennessey, B. A. & Amabile, T. M., Consensual assessment.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Oval Road, London: Academic Press 347-360, 1999. 

  15. Mumford, D. D. & Gustafson, S . B., Creativity syndrom :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 27-43, 1988.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03.1.27 

  16. Davis, A., Barriers to creativity and creative attitudes, In Runco, M.A., & Pritzker, S. T.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2, SanDiego, 1999. 

  17. Trickett, E., & Moos, R., Social environment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 93-102, 1973. DOI: http://dx.doi.org/10.1037/h0034823 

  18.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VII: A Study of Children & Adolescent Panel Survey in 2012, User guide, Seoul: Korea Youth Panel Survey, 2012 

  19. J. K. Kim et al.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VII: A Study of Children & Adolescent Panel Survey in 2010, National Youth Police Institute research reports, 2009(1), 3-15. 2009 

  20. Browne, M. W., & Cude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e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1993. 

  21. J. Y. Lee, J. H. Ha, S. H. Jeon, "The Effects of Parents' Interacting Modes in Achievement Settings on Adolescents' Expectancy for Future Succe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ole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Educational Psychology, 20(4), 873-890, 2006. 

  22. H. I. Lee, Correlations among Self-Esteem,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2(1), 97-107, 2008. 

  23. Piko, B. & Hamvai, C., Parent, school and peer-related correlates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2, 1479-148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childyouth.2010.07.007 

  24. Saha, R., Huebner, E. S., Suldo, S. M., & Valois, R. F.,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Child Indicators Research, 3(2), 149-165,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2187-009-9050-x 

  25. S.H. Kim, O.B. Jung, Maternal overprotection, child emotion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in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8(3), 69-9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