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and Stroke Impact Scal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788 - 2794  

지상구 (을지대학교병원 재활센터) ,  차현규 (을지대학교병원 재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22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무작위 추출법으로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 11명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 11명으로 각각 배정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전통적 물리치료를 6주 동안 주 5회, 하루 30분씩 시행하였으며,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하루에 30분씩 각각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이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에 비해 보행 속도와 분속수,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트레드밀 보행 훈련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유익한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보행 훈련은 뇌졸중 환자에게 실행 가능하며 적합한 훈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and treadmill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and stroke impact scal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due to stroke. Twenty-two patients with hemiplegia due to stroke were assigned to the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group(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훈련은 과제의 수행 수준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실제 환경에서 직면할 수 있는 환경적 상황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한다[23]. 따라서 본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보행 훈련과제가 제공되도록 실제 지역사회 환경에서의 보행훈련을 시행하였다.
  • Shummy-Cook 등[19]은 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 보행 훈련 시 4가지 환경적 요소 즉 보행 속도, 나를 수 있는 짐의 무게, 보행 시 직면하는 장애물 그리고 방향 전환에 있어 차이나 난다고 하였으며, 뇌졸중 환자들이 지역사회 보행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4가지 요소를 고려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운동 회복 능력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훈련은 다양한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져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선행 연구들에서 지면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실시하여 보행 능력을 비교하였으나[16,17],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확실한 치료적 증거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트레드밀 보행 훈련과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각각의 보행 훈련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의 지배 영역이 손상됨에 따라 마비측 근력이 약화되는 질환이다[1].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증상에는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마비측 하지와 비마비측 하지의 활보장(stride length)에 차이가 나타나고, 짧은 마비측 입각기(stance phase)는 상대적으로 유각기(swing phase)를 길게 하여 보행 속도를 감소시킨다[2].
뇌졸중 환자가 일상적 활동에 제약을 가장 많이 받는 활동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해 집중적인 물리치료를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이 가정이나 사회에서 일상적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는데, 그 중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활동 중 하나가 보행이다[3]. 뇌졸중 환자의 80%가 발병 초기에 보행 능력을 상실하며, 그 후 6개월 이내에 보행 능력은 빠르게 개선되지만 이들의 보행 속도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W. Saunders, D. Rath, and P. W. Hodges. "Postural and respiratory activatin of the trunk muscles change with mode and speed of locomation", Gait Posture, Vol. 20(3), pp. 280-290, 2004.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3.10.003 

  2. K. H. Mauritz.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 J Neurol, Vol. 9(1), pp. 23-29,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68-1331.2002.0090s1023.x 

  3. G. Chen and C. Patten. "Treadmill training with harness support: selec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 Rehabil Res Dev, Vol. 43(4), pp. 485-498, 2006.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5.04.0063 

  4. K. Hill, P. Ellis and J. Berngardt. "Balance and mobility outcomes for stroke patients: A comprehensive audit", Aust J Physiother, Vol. 43(3), pp. 173-180, 1997. 

  5. M. Pohl, J. Mehrholz, C. Ristschel and S. Ruckriem. "Speed 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 33(2), pp. 553-558, 2002. DOI: http://dx.doi.org/10.1161/hs0202.102365 

  6. J. Perry, M. Garrett and J. K. Gronley.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Vol. 26(6), pp. 982-989, 1995. 

  7. L. Ada, C. M. Dean, J. M. Hall and J. Bampton.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84(10), pp. 1486-1491,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03)00349-6 

  8. S. E. Lord, K. McPherson, H. K. McNaughton, L. Rochester and M. Weatheral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Vol. 85(2), pp. 234-239, 2004.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3.05.002 

  9. S. Hesse, C. Bertelt, M. T. Jahnke and A. Schaffrin.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compared with physiotherapy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troke, Vol. 26(6), pp. 976-981, 1995. DOI: http://dx.doi.org/10.1161/01.STR.26.6.976 

  10. H. G. Cha, J. Y. Park, S. G. Ji, M. K. Kim and D. G. Le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integrated mental practice on the balance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of hemiplegia", J Spec Edu & Rehabil Sci, Vol. 51(2), pp. 337-354, 2012. 

  11. S. Hesse, T. Platz and K. H. Mauritz. "Indication for optimal use of orthoses in the treatment of hemiparetic patients", Biomed Tech(Berl), Vol. 35(3), pp. 52-53, 1990. DOI: http://dx.doi.org/10.1515/bmte.1990.35.s3.52 

  12. B. H. Dobkin.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Neuro, Vol. 3, pp. 528-536, 2004. 

  13. M. Anne, S. Angela and P. Alex. "Treadmill training and body weight support for walking after stroke", Stroke, Vol. 34, pp. 3006,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02415.43108.66 

  14. A. M. Jones and J. H. A. Doust. "1% treadmill grade most accurately reflects the energetic cost of outdoor running", J Sprots Sci, Vol. 14(4), pp. 321-327, 1996. DOI: http://dx.doi.org/10.1080/026404196367796 

  15. P. Pound, P. Gompertz and S. Ebrahim. "A patient-centred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stroke", Clin Rehabil, Vol. 12(4), pp. 338-347, 1998.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98677661555 

  16. F. Alton, L. Baldey and S. Caplan. "A kinematic comparison of overground and treadmill walking and treadmill walking", Clin Biomech(Bristol, Avon), Vol. 13(6), pp. 434-440,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268-0033(98)00012-6 

  17. J. R. Nymark, S. J. Balmer, E. H. Melis, E. D. Lemaire and S. Millar. "Electromyographic and kinematic nondisabled gait differences at extremely slow overground and treadmill walking speeds", J Rehabil Res Dev, Vol. 42(4), pp. 523-534, 2005.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4.05.0059 

  18. C. S. Robinett and M. A. Vondran. "Functional ambulation velocity and distance requirements i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A clinical report", Phys Ther, Vol. 68(9), pp. 1371-1373, 1988. 

  19. A. Shumway-Cook, A. E. Patla, A. Stewart, L. Ferrucci, M. A. Ciol and J. M. Guralnik. "Environmental demand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mobility disabilities", Phys ther, Vol. 82(7), pp. 670-681, 2002. 

  20. Y. R. Yang, M. P. Tsai, T. Y. Chuang, W. H. Sung and R. Y. Wang.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Vol. 28(2), pp. 201-206, 2008.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7.11.007 

  21. Y. R. Yang, Y. C. Chen and C. S. Lee.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 with stroke", Gait Posture, Vol. 25(2), pp. 185-190, 2007.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6.03.007 

  22. P. Duncan, S. Studenski, L. Richards, S. Gollub, S. M. Lai, D. Reker, S. Perera, J. Yates, V. Koch and S. Rigler.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Vol. 34(9), pp. 2173-2180,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83699.95351.F2 

  23. S. E. Lord and L. Rochester. "Measure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Stroke, Vol. 36(7), pp. 1457-1461, 2005.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70698.20376.2e 

  24. H. J. Park and H. S. Cho. "Effectivenes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for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 Korean Neur Rehabil, Vol. 1(2), pp. 54-62, 2011. 

  25. J. S. Winter. "Clin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aspects of 17-hydroxylase deficiency", Endoer Res, Vol. 17(1-2), pp. 53-62, 1991. DOI: http://dx.doi.org/10.1080/07435809109027189 

  26. C. D. Cozean, W. S. Pease and S. L. Hubbell. "Biofeedback and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strok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gabil, Vol. 69(6), pp. 401-405, 1988. 

  27. M. G. Bowedn, C. K. Balasubramanian and R. R. Neptune. "Anterior 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s as a measure of paretic leg contribution in hemi paretic walking", Stroke, Vol. 37(3), pp. 872-876, 2006.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204063.75779.8d 

  28. R. J. De Haan, M. Limburg, J. H. P. Van der Meulen and H. M. Jacobs.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Impact of stroke type and lesion location", Stroke, Vol. 26(3), pp. 402-408, 1995. DOI: http://dx.doi.org/10.1161/01.STR.26.3.402 

  29. J. Carod-Artal, J. A. Egido, J. L. Gonzalez and E. V. de Seijas.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survivors evaluated 1 year after stroke: experience of a stroke unit", Stroke, Vol. 31(12), pp. 2995-3000, 2000. DOI: http://dx.doi.org/10.1161/01.STR.31.12.2995 

  30. S. M. Lai, S. Perera, P. W. Duncan and R. Bode.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after stroke: Comparison of the Stroke Impact Scale and Short Form-36", Stoke, Vol. 34(2), pp. 488-493, 2003. 

  31. N. F. Gordon, M. Gulanick, F. Costa, G. Fletcher, B. A. Franklin, E. J. Roth and T. Shephar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recommendations for stroke survivors: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Subcommittee on Exercise, Cardiac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and the Stroke Council", Stroke, Vol. 35(5), pp. 1230-1240, 2004.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27303.1926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