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Limited of Stability and Gait Parameter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63 - 69  

박신준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조균희 (아벤스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한계와 보행 변수에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모집하여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과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균형변수인 안정성한계(limited of stability), 시공간적 보행 변수(spatiotemporal gait parameter)를 측정하였다.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마비측, 비마비측, 전방, 후방 이동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시간적 보행 변수인 분속수(cadence), 보행속도(gait velocity), 공간적 보행변수인 보폭(stride length)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복부압박벨트 착용은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즉각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효율적인 복부압박 수준과 중재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let on limited of stability and gait parameter in patients after stroke. Thirty stroke patients were recruited to measured pre and post wearing the abdominal pressure belt. The assessment measured limited of stabil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Y 요양병원과 A 재활병원에 입원및 통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 된 연구 이다. 연구대상자 선정은 병원 내 게시판에 공고를 내어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구체적인 연구대상자 선정조건은첫 번째 뇌졸중(first-time stroke)을 진단받은 지 6개월 이상 지난 자, 혈압이 140/90mmHg 이하인 자[17],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점수가 24점 이상인 자, 독립적으로 선 자세를 1분간 유지할 수 있는 자, 독립 적으로 10m 이상 보행이 가능한 자, 복부나 몸통에 정형 외과적 질환이 없고 수술한 병력이 없던 자로 하였다.
  • 모든 대상자는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고 후기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평가자 눈가림을 위해 본 연구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제공 받지 못한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 사전-사후 설계로 복부 압박벨트 착용 전과 착용 후 균형및 보행능력을 확인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다. 검정력 분석 (power analysis)은 Cohen의 저서를 참고하여 중간 효과 크기를(medium effect size)를 계산하였다[16].
  • 본 연구는 복부압박벨트 적용 후 나타나는 즉각적인 균형 및 보행 변화를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 한계 변화와 보행 변수 확인을 위해 복부압박벨트 (DR-B021, (주)아미글로벌, KOREA)가 Fig.
  • 본 연구는 총 30명의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여 균형능력을 의미하는 안정성 한계와 보행능 력을 의미하는 보행변수에 즉각적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 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에게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 였을 때 마비측 이동면적, 비마비측 이동면적, 전방 이동 면적, 후방 이동면적, 총 이동면적과 보행율, 보행 속도, 보폭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복부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 변화에 즉각적 개선을 확인하였다.
  • 테이핑과 같은 보조도구의 일환으로 복부압박벨트는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성인의 허리, 골반 운동 변화와 안정성 증진 및 통증 감소의 역할로 사용되어 왔다[21]. 본 연구에서는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 향상을 위해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한 후 즉각적인 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강점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최초로 복부 압박벨트 착용 후 즉각적으로 균형 및 보행능력을 확인 했다는 것이다. 복부압박벨트는 착용이 간단하여 누구나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임상현장에서 즉각적 중재 효과로 동기부여 및 재활의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를 적용한 후 균형 및 보행능력에 관한 효과를 즉각적 으로 분석하여 향후 뇌졸중 환자의 몸통 안정성 중재에 방법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F. Tyson, M. Hanley, J. Chillala, A. Selley & R. C. Tallis. (2006).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ical Therapy, 86(1), 30-38. DOI : 10.1093/ptj/86.1.30 

  2. K. M. Michael, J. K. Allen & R. F. Macko. (2005).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552-1556. DOI : 10.1016/j.apmr.2004.12.026 

  3. M. Karatas, N. Cetin, M. Bayramoglu & A. Dilek.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3(2), 81-87. DOI : 10.1097/01.PHM.0000107486.99756.C7 

  4. T. Van Criekinge, W. Saeys, A. Hallemans, S. Velghe, P. J. Viskens, L. Vereeck & S. Truijen. (2017). Trunk biomechanics during hemiplegic gai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Gait & Posture, 54, 133-143. DOI : 10.1016/j.gaitpost.2017.03.004 

  5. R. Dickstein, S. Shefi, E. Marcovitz & Y. Villa. (2004).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2), 261-267. DOI : 10.1016/j.apmr.2003.05.011 

  6. G. Verheyden, L. Vereeck, S. Truijen, M. Troch, I. Herregodts, C. Lafosse & W. De Weerdt. (2006).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20(5), 451-458. DOI : 10.1191/0269215505cr955oa 

  7. E. J. Chung, J. H. Kim & B. H. Lee. (2013). The effects of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7), 803-806. DOI : 10.1589/jpts.25.803 

  8. S. Karthikbabu, J. M. Solomon, N. Manikandan, B. K. Rao, M. Chakrapani & A. Nayak. (2011). Role of trunk rehabilitation on trunk control,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re-post design. Neuroscience and Medicine, 2(2), 61. DOI : 10.4236/nm.2011.22009 

  9. F. Ferrarello, M. Baccini, L. A. Rinaldi, M. C. Cavallini, E. Mossello, G. Masotti & M. Di Bari. (2011). Efficacy of physiotherapy interventions late after stroke: a meta-analysi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82(2), 136-143. DOI : 10.1136/jnnp.2009.196428 

  10. A. Tang, A. Tao, M. Soh, C. Tam, H. Tan, J. Thompson & J. J. Eng. (2015). The effect of interventions on balance self-efficacy in the stroke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Rehabilitation, 29(12), 1168-1177. DOI : 10.1177/0269215515570380 

  11. H. Ng, J. L. McGinley, D. Jolley, M. Morris, B. Workman & V. Srikanth. (2010). Effects of footwear on gait and balance in people recovering from stroke. Age and Ageing, 39(4), 507-510. DOI : 10.1093/ageing/afq056 

  12. T. S. Kuan, J. Y. Tsou & F. C. Su. (1999). Hemiplegic gait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using a can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7), 777-784. DOI : 10.1016/S0003-9993(99)90227-7 

  13. K. K. Kim & J. D. Choi. (2016). The Effect of Abdominal Pressure Belt During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Neurotherapy, 20(2), 1-6. 

  14. Y. I. Shin, J. Y. Kim & H. J. Lee (2019). The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Gait and Dynam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5(1), 63-70. 

  15. C. B. Kim & J. D. Choi. (2011). Comparison of Pulmonary and Gait Function in Subacute or Chronic Stroke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3(5), 23-28. 

  16. J. Cohen. (2013).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7.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2009). Seoul : Korean Stroke Society. 

  18. J. H. Kim & B. R. Choi. (2018). Intra-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BioRescu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 348-352. 

  19. H. K. Lee et al. (2009). Development of a novel step detection algorithmfor gait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based on trunk accelerometer.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0(3), 213-220. 

  20. S. J. Park & K. H. Cho. (2017).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411-419. DOI :10.14400/JDC.2017.15.2.411 

  21. A. Arumugam, S. Milosavljevic, S. Woodley & G. Sole. (2012). Effects of external pelvic compression on form closure, force closure, and neuromotor control of the lumbopelvic spine-a systematic review. Manual Therapy, 17(4), 275-284. DOI : 10.1016/j.math.2012.01.010 

  22. B. Cakmak, A. Inanir, M. C. Nacar & B. Filiz. (2014). The effect of maternity support belts on postural balance in pregnancy. The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ysician, 6(7), 624-628. DOI : 10.1016/j.pmrj.2013.12.012 

  23. K. Y. Chang & S. C. Chon. (2012). The effect of abdominal-compression belt on balance ability with one leg standing.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1(2), 337-343. DOI : 10.5143/JESK.2012.31.2.337 

  24. H. P. Ju, S. A. Choi, D. H. Jeong, N. R. Han & Y. K. Woo. (2017). Effect of Abdominal Compression Belt on Static Balance During One Leg Standing in Low Back Pain Patients.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Movement, 15(3), 353-360. DOI : 10.21598/JKPNFA.2017.15.3.353 

  25. J. T. Lee & S. C. Chon. (2017).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a Non-Elastic Fixation Belt on the Balance Ability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398-404. DOI : 10.5762/KAIS.2017.18.2.398 

  26. Y. I. Shin, T. W. Kim & J. G. Jeon. (2018).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using Pelvic Compression Belt on Hip Abductor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4(1), 77-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