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룹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뇌졸중 장애인의 보행기능, 균형지수 및 무릎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Local Community Stroke Patient's Walking Function, Balance Index and Muscle Strength in the Knee Joi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4, 2018년, pp.15 - 27  

이형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윤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REPEP) for local community stroke patients by examining an exercise program provided from traditional physical therapeutic perspectiv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40 stroke patients residing in a local 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뇌졸중 장애인들의 2차 장애예방 및 기능향상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물리치료 관점에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그룹운동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독일 재활체육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룹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활운동 및 체육프로그램을 지역사회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룹운동군과 개별운동군으로 나누어 각각 제공한 후 프로그램의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재활운동 및 체육프로그램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재활운동 및 체육프로그램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먼저 준비운동으로 스트레칭 및 자가 수동, 능동운동을 15분간 실시한 후 60분의 본 운동, 그리고 15분간의 마무리 운동으로 정리하였다. 본 운동에서는 대상자가 뇌졸중 노인인 것을 감안하여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동작을 위주로 하였으며, 이로써 무리한 운동으로 발생하는 이차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재활운동 및 체육프로그램의 순서는 팔다리 및 몸통, 골반운동과 일상생활활동, 보행훈련이 교대로 이루어지며, 팔다리 및 몸통의 근력강화와 균형조절 운동, 체중이동 및 체중부하 운동, 탄성밴드(노랑색)을 이용한 팔다리 근력강화운동, 호흡운동, 기능적 능력에 맞는 보행훈련 등가동성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
  •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장애인들을 그룹운동군과 개별운동군으로 나누어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 적용 후 보행기능 및 다리근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보행능력 및 무릎관절 근력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여 기술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물리치료 관점에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독일 재활체육 모델에서 정의하고 있는 재활체육의 관점, 즉 의료적 재활 연장선상에서 증상의 악화 방지 및 건강증진을 위한 ‘그룹운동’과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치료사와 장애인 간 1:1, 또는 장애인 혼자서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개별운동’을 비교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방안과 방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또한 주차별로 장애인별로 매 회기별로 운동 횟수와 set를 기록지에 작성하여 차기 회기에는 점진적인 저항이 증가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재활운동 및 체육프로그램 운영기간을 위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4주(Kim과 Kang, 2016), 6주(Kim, 2004; Kim 등, 2012; Ji와 Cha, 2013), 8주(Shin과Kang, 2017; Lee 등, 2017), 10주(Hong 등, 2018), 12주(Jung과 Kim, 2014) 등 다양하게 시도 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으로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가 가능하고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주로 구성하였다. 또한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를 독일의 재활체육 현장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인 운동 지도자가 소집단 형태의 참여자에게 프로그램을 알려주고 그룹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그룹운동군’과 물리치료사가 장애인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알려주고 장애인이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개별운동군’으로 나누어 진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건강복지와 관련한 장애인건강권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편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건강복지와 관련하여 2015년 12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약칭: 장애인건강권법)’을 제정하고, 본법제15조(재활운동 및 체육)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재활운동프로그램을 장애인 또는 손상이나 질병 발생 후 완전한 회복이 어려워 일정기간 내에 장애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라고 명시하였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 그러나 ‘재활운동 및 체육’의 용어에 대한 조작적 정의가 모호하여 보건복지부와 국립재활원에서는 ‘장애인 건강권법’ 시행준비를 위해 재활체육 관련 세미나 및 토론회를 개최하고, 재활운동 및 체육의 용어에 대한 개념과 프로그램 운영방안에 대한 합의점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사회적 공감대가 있는 정의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지역사회에서 재활 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 운영 방안, 운영주체, 프로그램 서비스 대상자 등 법 시행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뇌졸중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의 허혈성 또는 출혈성 손상으로 인해 해당 뇌의 영역에 갑작스런 신경학적 결손이 야기되어, 손상된 뇌의 반대 측 신체의 운동마비, 감각, 지각, 언어 기능 등에 장애를 야기한다(O'Sullivan & Schmitz, 2007). 약 80 % 이상의 뇌졸중 환자에서 보행 능력이 손상되고, 이들 환자의 대부분은 어느 정도의 보행 능력을 회복하지만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이전의 역할로 복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Wevers 등, 2009).
그룹집단을 활용한 기능훈련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재가 뇌졸중 장애인의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ean 등(2000)은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에게 이차적 합병증에 대한 위험요소의 감소와 활동에 대한지구력을 증가시키는 그룹훈련을 통해 전반적인 기능 수준이 향상됨을 보고하였다. 그룹집단을 활용한 기능훈련 프로그램이나 운동 클래스는 환자들이 서로 정보교류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삶의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더구나 운동시간에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하므로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고 제안하였다(Carr & Shepherd, 2003; Rusi,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H(2004). The effects of activities daily living after group therapeutic exercise in elderly the stroke patient.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2. Ahn SH, Lee HJ, Lim WS(2006). The effect of the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in elderly persons. Phys Ther Korea, 13(2), 26-34. 

  3. Ahn SH, Shin YI(2004). The effects of activities daily living after group therapeutic exercise in elderly the stroke patient.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6(3), 309-320. 

  4. Carr JH, Shepherd RB(2003).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New York, Butterworth-Heinemann. 

  5.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1(4), 409-417. 

  6. Drouin JM, Valovich-mcLeod TC, Shultz SJ, et al(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iodex system 3 pro isokinetic dynamometer velocity, torque and position measurements. Eur J Appl Physiol, 91(1), 22-29. 

  7.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2002). Functional walk test in individuals with stroke relation to perceived exertion and myocardial exertion. Stroke, 33(3), 756-761. 

  8.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2003).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Med Sci Sports Exerc, 35(8), 1271-1278. 

  9. Green J, Forster A, Young J(2002). Reliability of gait speed measured by a timed walking test in patients one year after stroke. Clin Rehabil, 16(3), 306-314. 

  10. Hong SK, Lee DG, Lee GC(2018). Effects of low intensity muscle training on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serotonin level in strok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emotional incontinence.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6(2), 69-76. 

  11. Ji SG, Cha HG(2013).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and stroke impact scale in stroke pati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4(6), 2788-2794. 

  12. Jung EJ, Kim WB(2014).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exercise on balance and cognition in mild dementia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9(1), 83-91. 

  13. Kim CM, Lee HJ, Choi MS, et al(2012). The effects of circuit obstacle group gait training on gait and emot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7(1), 125-135. 

  14. Kim KH(2012). The effect of gross motor group exercise on functional status in chronic stroke: applying the analysis of ICF Tool.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5. Kim SM(2004). The efficacy of PNF and circuit group exercise on improvement of motor function in disabled persons after stroke.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6. Kim SM, Kang SH(2016). The effects of task-related circuit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in persons with stroke : A pilot study.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4(4), 21-32. 

  17.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www.law.go.kr. 

  18. Lee SJ, Kim DH, Shim YJ(2017). Effects of 8 weeks suspension-rail gait training on ankle ROM, gait speed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troke. Exerc Sci, 26(2), 103-110. 

  19. Noad R, Lincoln NB, Challen K(1998). Community and hospital stroke patients: long term rehabilitation. Br J Ther Rehabil, 5(11), 578-581. 

  20. O'Sullivan SB, Schmitz TJ(2007).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5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21. Park JB(2017).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sport in korea and germany.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22. Patricia AG, Thomas AM, Owen ME(2001). Gait after stroke: initial deficit and changes in temporal patterns for each gait phase. Arch Phys Med Rehabil, 82(8), 1057-1065. 

  23. Richards CL, Malouin F, Wood-Dauphinee S, et al(1993). Task-specific physical therapy for optimization of gait recovery in acute stroke patient. Arch Phys Med Rehabil, 74(6), 612-620. 

  24. Rusi R(1991). Effectiveness of group physiotherapy on motor function in elder stroke patients. Hoitotiede, 3(4), 169-175. 

  25. Ryu KM(2016). The effect of 12 weeks rehabilitation on emotion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encephalopathy.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26. Shin KH, Kang SH(2017). Changes in balance and gait following backward walking exercise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12(2), 21-31. 

  27. Yang YR, Chen YC, Lee CS(2007).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 with stroke. Gait Posture, 25(2), 185-190. 

  28. Walker MF, Gladman JRF, Lincoln NB, et al(1999).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not admitted to hospit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54(9175), 278-280. 

  29. Wendy JCC, Bethany S, Leamor K, et al(2001). Reliability of biodex balance system measures. Meas Phys Educ Exerc Sci, 5(2), 97-108. 

  30. Wevers L, van de Port I, Vermue M, et al(2009).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class training on walking competenc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Stroke, 40(7), 2450-2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