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on Balance Capability and Gait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367 - 373  

최현석 (안승환외과 물리치료실) ,  전선복 (광주보건대학교 피부미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후방보행 훈련이 균형능력(기능적 보행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및 보행(10 미터 보행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9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두 그룹 모두 일반적인 신경학적 재활 물리치료를 1회 45분씩 주당 5회 4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는 후방보행 훈련을 4주 동안 1회당 20분씩 주당 3회를 추가하여 실시하였다. 후방보행 훈련 후 균형능력을 평가한 결과 기능적 보행평가는 $17.67{\pm}1.00$점에서 $19.22{\pm}1.10$점으로 상승하였고(p<.05),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는 $26.45{\pm}1.37$초에서 $23.28{\pm}1.35$초로 감소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후방보행 훈련 후 10 미터 보행검사에서도 $21.74{\pm}1.35$초에서 $18.33{\pm}1.10$초 감소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후방보행 훈련을 적용하면 균형능력(기능적 보행평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및 보행(10 미터 보행 검사)에 향상을 가져옴으로 유용한 운동치료의 프로그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on the balance capability(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Timed Up & Go Test; TUG) and gait performance(10 meter Walking Test; 10 mWT) of stroke patients. Eighteen with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방보행 훈련이 균형능력과 보행에 어떠한 변화율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후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에게 균형능력과 보행의 회복을 위한 운동치료의 한 방법으로 기여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대상자 수가 적은 인원이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뇌졸중 환자에게 일반화 시키는데 제한이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 기간이 짧아서 연구의 결과를 장기간의 효과로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셋째, 뇌졸중 발병 후 6개월 이상 12개월 이하인 환자들로서 독립적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기능이 양호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뇌졸중 발병 후 기간에 따른 변수들을 가정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이란 무엇인가? 균형이란 두발이나 한발로 기저면(Base Of Support; BOS)내에서 중력중심(Center Of Gravity; COG)을 유지하여 자세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가는 과정을 의미하며[5], 크게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적균형은 고정된 지면에서 흔들림 없이 있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하고, 동적균형은 지지면이 움직이거나 외부로부터 자극이 있을 때 혹은 스스로 움직일 때의 균형을 말한다[6].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로 전달되는 혈액공급이 차단되거나 혹은 뇌 조직으로 출혈이 발생하여 뇌에 혈액 공급의 장애가 나타나는 뇌혈관 질환으로[1], 우리나라에서 사망원인 세번째로 조사되고 있으며, 특히 60대에서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 R. Sims, & H. Muyderman,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and cell death in stroke, Biochimica et Biophysical Acta, Vol. 1802, No. 1, pp. 80-81, 2009. 

  2.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2, 2013. 

  3. S. O'Sullivan, & T. J. Schmitz,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3rd ed, F.A Davis Company, Philadelphi, pp. 327-328, 1994. 

  4. D. T. Wade, V. A. Wood, & R. Langton-hewer, Predici ting barthel ADL score at 6 months after on 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4, pp. 24-28, 1983. 

  5. H. Cohen, C. A. Blatchly, & L. L. Gombash,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Physical Therapy, Vol. 73, No. 6, pp. 346-351, 1993. 

  6. S. R. Jung, & J. I. Won, Effects of Dural-Task Training on Balance and Performanc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Vol. 21, No. 2, pp. 18-27, 2014 

  7. J. I. Won, & K. H. Yu,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Vol. 18, No. 1, pp. 64-73, 2011. 

  8. S. F. Tyson, M. Hanley, J. Chillala, & A. Selley, Tallis RC,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ical Therapy, Vol. 86, No. 1, pp. 30-38, 2006. 

  9. K. I. Ki, S. Y. Kim, D. W. Oh, & K. H. Kim, The Effect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in the Walking Speed and Balance Capability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16, No. 2, pp. 1-9, 2009. 

  10. M. F. Ng, R. K. Tong, & L. S. Li, A pilot study of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 of gait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ix-month follow-up, Stroke, Vol. 39, No. 1, pp. 154-160, 2008. 

  11. A. Wandel, H. S. Jorgensen, H. Nakayama, H. O. Raaschou, & T. S. Olsen, Prediction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initial lower extremity paralysi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6, pp. 726-738, 2000. 

  12. R. W. Tyson, & A. B. Selly, The effect of perceived adherence to the Bobath concept on physiotherapist choice of intervention used to treat postural control after stroke, Diosability Rehabilitation, Vol. 29, No. 5, pp. 395-401, 2007. 

  13. G. Leonard & F. Tremblay, Corticomotor facilitation associated with observation, imagery and imitation of hand actions; a comparative study inyoung and old adul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Vol. 177, No. 2, pp. 167-175, 2007. 

  14. R. G. Carson, & S. P. Swinnen, Coordination and movement pathology: models of structure and function, Acta Psychologica Vol. 110, No. 2-3, pp. 357-364, 2002. 

  15. R. A. Geiger, J. B. Allen, J. O'Keefe, & R. R. Hicks,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ical Therapy, Vol. 81, No. 4, pp. 995-1005, 2001. 

  16. C. G. Canning, The effect of directing attention during walking under dual-task conditions in parkinsonism Relat Disord, Vol. 11, No. 2, pp. 95-99, 2005. 

  17. S. Alder, D. Beckers, & M. Buck, PNF in Practice, 3rd ed, Springer, pp. 259, 2008. 

  18. R. Grasso, L. Bianchi, & F. Lacquaniti, Motor patterns for human gait: Backward versus forward locomotion, Journal Neurophysiol, Vol. 80, No. 4, pp. 1868-1885, 1998. 

  19. S. H. Cho, & S. G. Kim, The Effect of Depending on Variations of Speed in Backward Walking on Lower Extremities Musc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5, pp. 2199-2205, 2012. 

  20. T. W. Flynn, & R. W. Soutas-Little, Patello -femoral joint compressive forces in forward and backward running,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 21, No. 5, pp. 277-282, 1995. 

  21. J. S. Dufek, Exercise variability: a prescription for overuse injury prevention, Health and Fitness Journal, Vol. 6, pp. 18-23, 2002. 

  22. D. M. Wrisley, G. F. Marchetti, D. K. Kuharsky, & S. L. Whitney,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of data obtained with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Physical Therapy, Vol. 84, No. 10, pp. 906-918, 2004. 

  23. H. Thieme, & C. Ritsche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German vers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90, No. 9, pp. 1565-1570, 2009. 

  24. D. Podsiadlo, & S. Richardson,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39, No. 2, pp. 142-148, 1991. 

  25. T. S. Mark, & D. B. Gillian, Achievement of simple mobility milestons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 pp. 442-447, 1999. 

  26. J. Green, A. Forster, & J. Young, Reliability of gait speed measured by a timed walking test in patients one year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6, No. 3, pp. 306-314, 2002. 

  27. T. S. Olsen,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dictors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Vol. 21, No. 2, pp. 247-251, 1990. 

  28. D. T. Wade, V. A. Wood, A. Heller, J. Haggs, & H. R. Longton, Walking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3 month,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19, No. 1, pp. 25-30, 1987. 

  29. H. R. Baer, & S. L. Wolf,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An outcome measure for the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gait dysfunction, Stroke, Vol. 32, No. 2, pp. 973-979, 2001. 

  30. J. S. Kim, The Effect of Mental Practic 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 10, No. 4, pp. 271-277, 2012. 

  31. E. J. Roth, C. Merbitz, K. Mroczek, S. A. Dugan, & W.W. Suh, Hemiplegic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 American Journal Medicine Rehabilitation, Vol. 76, No. 2, pp. 128-133, 1997. 

  32. K. Y. Kim, & J. H. choi,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oxygen consumption between forward and backward walking, Th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5, No. 3, pp. 474-478, 2001. 

  33. D. J. Cipriani, C. W. Armstrong, & S. Gaul, Backward walking at three levels of treadmill inclination: an electromyographic and kinematic analysis, Journal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 22, No. 3, pp. 95-102, 1995. 

  34. M. A. Park, Effects of Forward and Backward Walking Training in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upo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Sport Research, Vol. 22, No. 3, pp. 73-86,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