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악산의 식생구조 특성과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in Mt. Kwana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344 - 356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노태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악산 산림의 식물군집동태를 22년간(1972~1993년) 모니터링 한 연구의 연속된 연구이다. 이에 도시환경변화에 따른 관악산 산림의 식생구조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도시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난 39년간(1972~2010년) 평균기온은 약 $1.1{\sim}1.7^{\circ}C$ 이상 상승하였고, 토양 산성화(pH $5.40{\rightarrow}4.50$)와 $K^+$($0.67{\rightarrow}0.25$), $Ca^{{+}{+}}$($3.20{\rightarrow}0.87$) 함량의 감소경향이 뚜렷하였다. DCA에 의하여 분류된 군집유형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39년간 신갈나무에서 멈춰 있었고, 향후 천이계열은 신갈나무에서 유지되거나 소나무${\rightarrow}$신갈나무, 상수리나무${\rightarrow}$졸참나무로 예측되었다. 관악산 산림에 생육하는 수목의 규격은 증가하였지만 종수 및 개체수는 39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도시환경 변화 지표종인 때죽나무와 팥배나무의 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난 39년간의 토양 산성화, $K^+$, $Ca^{{+}{+}}$, $Mg^{{+}{+}}$ 감소가 도시 외곽 도시림인 관악산 식생구조의 쇠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22 year consecutive study (1972~1993) to monitor community dynamics of forest in Mt. Kwanak.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rban forest management in the future by analyzing actual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in Mt. Kwanak ca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악산을 대상으로 도시환경변화에 따른 식생구조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도시림 관리의 기초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관악산의 천이계열은 신갈나무로 22년간 천이가 정체된 상태이었던 연구결과(Lee et al.
  • 이에 본 연구는 생물지표적 측면에서 도시자연환경의 질을 파악하고자 Yi(1972)의 관악산 산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관악산 산림의 군집동태를 22년간 모니터링 한 연구(Lee et al., 1994)의 연속된 연구로 도시환경변화에 따른 관악산 산림의 식생구조 변화의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도시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악산(冠岳山)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관악산(冠岳山)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 등 대도시에 걸쳐있고 지리적으로 북위 37° 27′~37° 24′, 동경 126° 55′~127° 0′에 위치하고 있다. 옛날부터 개성 송악산(松岳山), 가평 화악산(華岳山), 파주 감악산(紺岳山), 포천 운악산(雲岳山)과 더불어 경기 오악(五岳)에 속했던 산으로(City History Complation Committee of Seoul, 1997) 서울 도시 외곽의 대규모 산림이며, 조선시대에는 서울 경복궁의 조산(朝山)이며 외사산(外四山)중 하나였다.
서울지역의 SO2 배출량은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68로서 산성우의 영향을 심하게 받고 있다(Kim, 2007). 서울지역의 SO2 배출량은 경북, 경남에 이어 3번째 이었고, CO, HC, NO2, TSP 배출량은 전국에서 제일 높았으며 안양 역시 오염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Seoul, 1990; Ministry of Environment, 1990). 2003년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 미세먼지는 2001년 말 기준 ㎥당 71㎍으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밝혔고, 2000~2009년 사이 강우산도 pH 4.
관악산(冠岳山) 주변에는 어떤 사찰과 문화재가 있는가? 주봉인 연주대(629m)를 중심으로 서쪽에 삼성산(481m)이 있고 연주암, 삼막사, 염불사, 관음사, 자운암 등의 사찰과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1968년 1월 15일 건설부고시 제34호에 따라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숲길들이 넓은 지역에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고, 많은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Dubuque, Iowa, 194pp. 

  2. Choi, J.W., B.H. Han, J.H. Yeum and H.E. Jeong(2012) Spatial Analysis and Mapping of the damaged Forest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Pro. Kor. Soc. Env. Eco. Con. 22(1): 73-77. (in Korean) 

  3.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1997) Mountain of Seoul. Seoul, 478pp. (in Korean)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5.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 der Vegetationskunde,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pp. 

  6. Harcomb, P.A. and R.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7. Hill, M.O.(1979)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52pp. 

  8. Kim, J.H.(2007) Acid Ra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55pp. (in Korean) 

  9. Kim, K.H., J.Y. Yun and S.H. Yoo(1995)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8(1): 33-40. 

  10. Krebs, C.J.(1985) Ecology. N. Y., Harper Low, 800pp. 

  11. Kwak, J.I.(2011)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Succession Trends of Seoul Urban Forest, Kore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Philosophy,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314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ee, C.Y.(2000) Forest and Environmental Soil Science. BOSUNGMUNHWASA, 350pp. (in Korean) 

  13. Lee, J.B., K.K. Shim, E.R. Noh and Y.M. Ha(1998) A Study of Ec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 Ash(Sorbus alnifolia) for Landscape Woody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J., J.H. Kim, K.S. Ki and B.H. Han(2006) Change for Eleven Years(1994-2005)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Major Community in Namsan, Seoul. Kor. J. Env. Eco. 20(4): 448-4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J., J.W. Choi and T.H. Noh(2012)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hirty-nine Years(1972-2010) in Forest of Mt. Kwanak. Pro. Kor. Soc. Env. Eco. Con. 22(1): 68-72. (in Korean) 

  16. Lee, K.J., K.J. Song and W. Cho(1994)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1972-1993) in Forest of Mt. Kwana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 79-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J., W. Cho and B.H. Han(1996) 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 -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 -. Kor. J. Env. Eco. 10(1): 113-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cCune B. and M.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19. Ministry of Environment(1990)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17-344. (in Korean) 

  20.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Kor. J. Env. Eco.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65pp. 

  22. Rhyu, T.C.(1990) Changes of Amounts of Ions Leached from Soils and Plants by Simulated Acid Rain with Different Acidity.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eoul(1990)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of Seoul. Seoul, pp. 27-90. (in Korean) 

  24.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Whittaker, R. H.(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Dr. Junk, The Hague, pp. 617-726. 

  25. Woo, S.Y., D.G. Kim and D.S. Lee(2000) Effects of Air Pollution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yrax japonica in Yeochon Industrial Complex. J. KOSAE 16(2): 121-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i, B.G.(1972)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Communities on Mt. Kwanak, Seoul. The Korean J. of Botany 15(1):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