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회양목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1, 2012년, pp.91 - 99  

이호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이상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고, 지정사유인 회양목 분포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이 지역 회양목 분포의 특성을 밝히고자 $100m^2$ 조사구 22개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리기다소나무군락(I), 리기다소나무-회양목군락(II), 신갈나무군락(III),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회양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과 양분조건이 양호한 계곡부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토성분석 결과 점토 성분이 낮게 나타나 배수조건도 회양목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사가 급하고 암석 비율이 높은 지형에 입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토양분석 결과 회양목이 분포하는 토양의 평균 pH는 4.79로 회양목 분포하지 않는 식생의 평균 pH 4.4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a^{2+}$$Mg^{2+}$ 등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치환성양이온 함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보여 회양목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through analysis of the topography and soil characteristics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do this twenty two plots as $100m^2$ 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회양목 분포지를 대상으로 식물군락구조와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이 지역 회양목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양목은 무엇인가? 회양목은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 영월 등지에 자생하고 있는 상록활엽관목으로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라며, 크게 자라는 경우 높이가 7m에 달한다(Lee and Oh, 1970; Lee et al., 2002; Lee, 2003).
도시의 조경수로 회양목이 전국적으로 널리 식재되고 잇는 이유는 무엇인가? , 1991; Lee, 1991). 하지만 회양목은 토양 산도에 대한 내성 범위가 넓어 pH 4.0의 비교적 강한 산성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한성과 내건성을 가지며, SO2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에 강한 내성을 보인다(Kim, 1980; Kim and Kim, 1982). 또한 회양목은 토양오염에도 잘 견디므로(Cha and Kim, 1975; Jung et al.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회양목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회양목 천연분포는 북위 40도 부근까지 확인되고 있으며, 남한에는 소백산, 단양, 삼척, 영월 등 석회암지대를 중심으로 천연분포하고 전역에 식재 분포되고 있다(Kim, 1980).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회양목 종류에는 회양목(Buxus koreana), 긴잎회양목(Buxus koreana for. elongata), 섬회 양목(Buxus koreana for. insularis)의 3개 분류군이 있고, 일본 원산의 좀회양목(Buxus microphylla)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Kim and Kim, 1988). 회양목은 예로부터 목재의 재질이 치밀하고 단단하여 도장을 만드는 재료로 많이 쓰임에 따라 도장나무라고 불리기도 했다(Ki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 J.W. and B.W. Kim(1975) Ecological studies of plants for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pollution. IV. - Growth of various plans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applied cadmium -. Korean Jour. Botany 18(1): 2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M.B. and E.S. Kim(2000)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landscape trees of the landscape designers - focused on the planting design map of the beautiful sight deliberation in Chonju-city -. Research of City and Environment 15(1): 103-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Gwanak-gu(2011) www.gwanak.go.kr. (in Korean) 

  4.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Forest Soil Characteristic and Properties by Regional Groups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ung, G.B., W.I. Kim, J.S. Lee and K.M. Kim(2002)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long-term coulti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1): 3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C.K.(1980) An investigation of the adaptation at the dry endurance and the cold endurance of the Buxus Koreana Naki. Jour. Jinju A. & F. Jr. Coll 18: 9-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T.(2003) Folk culture meets foreign culture. Jipmoomdang, Seoul, 78pp. (in Korean) 

  8. Kim, J.H., H.T. Mun and Y.S. Kwak(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Chinese Cork Oak(Quercus variabilis) forests in limestone area. Korean J. Ecol. 14(2): 159-169.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9. Kim, J.W. and Y.K.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51pp. (in Korean) 

  10. Kim, O.R. and J.S. Kim(1982)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menace to public health by the ornamental tree. Jour. Korean For. Soc. 55: 37-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T.W. and S.H. Chun(1989) Flora of Mt. Kwan-ak. Seoul National Univ. Coll. of Agric. Res. 14(2-1):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T.W.(1988) Investigation on the shade tolerance of Pinus rigida, P. Thunbergii and Buxus korean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4(1): 33-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S. and J.H. Kim(1988) A taxonomic study of Buxus in Korea. Kor. J. Plant Tax. 18(3): 211-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2011) http://geoinfo.kigam.re.kr. (in Korean) 

  15. Lee, C.Y.(1992) Forest Environmental Soil Science. Boseongmunhwasa, Seoul, 71pp. (in Korean) 

  16. Lee, H.S.(1991)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soil and flora on limestone area, Danyang. Basic Science Jour. of Seowon Univ. 5: 67-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I.S., O.K. Kim, K.S. Cho and J.S. Park(1998) Studies on the Enzyme Activities and Heavy Metals of Forest Soil in Mt. Nam, Seoul. Korean Journal of Ecology 21(5-3): 695-7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682pp. (in Korean) 

  19. Lee, W.B., Y.M. Jeon and C.I. Choi(2002) Flora in the Dong river valley, Korea. Korean J. Limnol. 35(5): 396-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Y.N. and Y.C. Oh(1970) Limestoe flora of Todam, Province Chung Buk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Better Living: 101-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John Wiley, 165pp. (in English) 

  22. Seoul(2009) News release. (in Korean) 

  23. Seoul(2011) Actual Vegetation Map in http://urban.seoul.go.kr. (in Korean) 

  24. Shannon, C.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in English) 

  25. Yim, Y.J. and E.S. Ch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