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악산 등산로 이용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Impact on the Trail in Gwanak Mounta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1, 2011년, pp.111 - 117  

유기준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등산 이용에 따른 등산로 영향 관계의 이해를 통해 등산 이용에 의해 발생되는 영향지표를 설정하고, 실제 현장에서 각 지표의 영향수준을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에 의해 생태적 영향 지표 3가지, 물리적 영향 지표 4가지, 사회적 영향 지표 5가지를 각각 이용영향 지표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관악산 등산로를 대상으로 관측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영향수준을 측정하였다. 등산활동에 의한 생태적 영향으로 등산로 주변 식생교란은 나타났으나 귀화 및 외래식물에 의한 산림식생의 교란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산로 노면의 경화, 노폭 확대 등 등산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는 비교적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회적 영향 지표의 측정 결과, 관악산 등산로를 찾는 등산객들은 높은 혼잡과 조우 수준을 예상하고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혼잡도 수준을 높게 느꼈음에도 불구,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악산 등산로는 입지적 특성상 대도심권 생활권 등산로 유형으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이용특성으로 인해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가 가중되고 있다. 사회적 영향은 현재까지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등산로 주변환경의 물리적, 생태적 환경이 악화된다면 이용객의 이용 만족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용경험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등산로 훼손지 복원과 같은 물리적, 생태적 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등산문화 개선을 위한 관리노력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rail use impact indicators, and evaluate the degree of use impac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ausality among the impacts on the spot. Theoretical reviews developed three indicators in terms of three ecological impacts, four physical impacts, and five...

주제어

참고문헌 (13)

  1. Frissell, S.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s. J. For. 76: 481-483. 

  2. Graefe, A.R., F.R. Kuss and J.J. Vaske(1990) Visitor Impact management: the Planning Framework. National parks Association, Washington D.C., 105pp. 

  3. Kim, D.W.(2006)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and Maintenance Direction of the Trails in Urban Area: A Case Study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Korea, 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orea Forest Service(2004) Ecological based Maintenance Guideline for Trails, Korea Forest Service, 188pp. (in Korean) 

  5.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01) A Study on Trail Degradation Analysis and Restoration. 161pp. (in Korean) 

  6. Kuss, F.R., A.R. Graefe and J.J. Vaske(1990) Visitor Impact Management: A Review of Research. National Parks and Conservation Association, Washington D.C.. 

  7. Kwon, T.H., D.W. Kim and J.W. Lee(2005)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9(2):130-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won, T.H., J.W. Lee and D.W.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Kor. J. Env. Eco. 18(2):175-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J.G. and W.B. Bang(2000)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ople's Mountaineering the Puk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13: 721-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Wager, J.A.(1964) The Carrying Capacity of Wildlands for Recreation.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Forest Service Monograpy 7. Washington, D.C.. 

  11. Hammitt, W.E. and D.N. Cole(1987) Wildland Recreation: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341pp. 

  12. Yoo, K.J. and J.M. Kim(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l Use and Trail Users' Perception Regarding Visitor Impact levels on Baekdudaegan Trails of Korea, Kor. J. Env. Eco. 23(6): 603-6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Yoo, K.J. and T.H. Kwon (2004) Visitors' Perceptions on Trail Use in Korean National Parks: Case studies in 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8(4): 437-4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