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Primiparas' Breastfeeding Behavio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399 - 408  

양현주 (경남정보대학교 간호과) ,  서지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model to explain primipara breastfeeding behavi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3 primiparas on postpartum ward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and AMOS 19.0 programs. Results: Fitness statistic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료 수집은 3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1차 조사는 분만한 지 24시간이 경과된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설문조사 소요시간, 보상물 등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자에게 서면 동의서를 받고,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의도에 관한 설문지를 연구 대상자가 직접 기재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2차 조사는 퇴원 하루 전날 또는 퇴원 당일 아침에 출산병원 환경, 모유수유 효과성지각에 관한 설문지를 대상자가 직접 기재하게 하였고, 분만 및 모유수유 관련 특성, 보충수유는 연구 보조자가 의무기록을 보고 최종 기록하였다. 3차 조사는 출산 6주에 연구동의서에 기록된 대상자의 연락처로 전화하여 1일 평균 모유수유 횟수와 분유수유 횟수를 질문하여 대상자가 응답한 내용을 질문지에 기록하였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출산병원 환경, 모유수유 의도, 모유수유 효과성 지각, 보충수유가 어떤 경로를 통해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요인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모형을 도출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모형구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출산초기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특히 WHO와 UNICEF에서 강조하는 출산병원 환경과 보충수유양을 중심으로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여 모유수유행위를 증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이 대부분 UNICEF에서 권장하는 모유수유 실천지침을 지키지 않는 출산병원에서 이루어진 것과 퇴원산모의 수유관련문제, 산후조리원이용 등의 다양한 영향요인을 모두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추후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반복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초산모의 모유수유 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모유수유행위를 증진하기 위한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모유수유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모형을 구성한 후 공분산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경로모형을 구축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출산병원 환경과 출산 직후와 입원기간 내 보충수유 정도를 주요요인으로 포함하고, 지속적으로 다루어왔던 모유수유 의도와 모유수유 효과성 지각을 포함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요인들이 모유수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초산모의 모유수유행위를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출산병원 환경과 출산 직후와 입원기간 내 보충수유 정도를 주요요인으로 포함하고, 지속적으로 다루어왔던 모유수유 의도와 모유수유 효과성 지각을 포함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1999). 이와 같이 상반된 연구 결과와 분만유형보다는 분만 후 신생아 관리방법, 병원의 모유수유 지원체계 등이 모유수유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지적(Park et al.)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만유형을 구성개념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모유수유행위의 현 실정은? , 2005). 그러나 모유수유의 조기중단과 낮은 모유수유율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으로(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특히, 우리나라는 출생 후 6개월의 완전 모유수유율이 13.6%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Kim, Kim,Cho,Kim,&Lim, 2009).
모유수유는 어떤 건강증진행위로 알려져있는가? 모유수유는 생후 첫 일 년간 영아의 성장과 건강에 가장 이상적인 수유방법으로 모성과 영아의 이환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부모 되기’에 가장 효과적인 건강증진행위로 알려져 있다(U.S.
모유수유는 어떤 수유방법인가? 모유수유는 생후 첫 일 년간 영아의 성장과 건강에 가장 이상적인 수유방법으로 모성과 영아의 이환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부모 되기’에 가장 효과적인 건강증진행위로 알려져 있다(U.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M. R. (1983).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ldbearing culture on breast fee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Breastfeeding report card United States, 2011. Retrieved August 24, 2011, from http://www.cdc.gov/breastfeeding/pdf/2011BreastfeedingReportCard.pdf 

  3. Cooke, M., Sheehan, A., & Schmied, V. (2003). A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experiences, breastfeeding satisfaction, and weaning in the first 3 months after birth. Journal of Human Lactation, 19(2), 145-156. http://dx.doi.org/10.1177/0890334403252472 

  4. Dodgson, J. E., Henly, S. J., Duckett, L., & Tarrant, M. (2003). Theory of planned behavior-based models for breastfeeding duration among Hong Kong mothers. Nursing Research, 52(3), 148-158. 

  5. Ewha Womans University. (2009).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breastfeed and breastfeeding rates (Policy issues, 2009-14).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6. Forster, D. A., McLachlan, H. L., & Lumley, J.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at six months postpartum in a group of Australian women.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1, 18. http://dx.doi.org/10.1186/1746-4358-1-18 

  7. Gartner, L. M., Morton, J., Lawrence, R. A., Naylor, A. J., O'Hare, D., Schanler, R. J., et al. (2005).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115(2), 496-506. http://dx.doi.org/10.1542/peds.2004-2491 

  8. Grummer-Strawn, L. M., Scanlon, K. S., & Fein, S. B. (2008). Infant feeding and feeding transitions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Pediatrics, 122(Suppl 2), S36-S42. http://dx.doi.org/10.1542/peds.2008-1315d 

  9. Hill, P. D., & Aldag, J. C. (2007). Predictors of term infant feeding at week 12 postpartum. The Journal of Perinatal and Neonatal Nursing, 21(3), 250-255. http://dx.doi.org/10.1097/01.JPN.0000285816.44022.a3 

  10. Hill, P. D., & Humenick, S. S. (1996). Development of the H & H lactation scale. Nursing Research, 45(3), 136-140. 

  11. Huang, Y. Y., Lee, J. T., Huang, C. M., & Gau, M. L. (2009). Factors related to maternal perception of milk supply while in the hospital.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7(3), 179-188.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1b25558 

  12. Huggins, K., & Ziedrich, L. (2007). The nursing mother's guide to weaning (2nd ed.). Boston, MA: The Harvard Common Press. 

  13. Jang, G. J., Kim, S. H., & Jeong, K. S. (2008).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by nurse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172-179.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172 

  14. Kim, H. S. (2008). Guide book for breastfeeding. Seoul: Hyunmoon. 

  15. Kim, H. S., & Nam, E. S. (1997). Prediction of breastfeeding intentions and behavior: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7(4), 796-806. 

  16. Kim, M., Kim, S. H., & Lee, J. H. (2011). Types of breastfeeding and its predictors of mothers in twenty-four months after bir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21-30. http://dx.doi.org/10.4069/kjwhn. 2011.17.1.21 

  17. Kim, S. H. (2009a). Factors explaining mothers' breastfeeding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270-279.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270 

  18. Kim, S. H. (2009b). Process of breast feeding mother's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3), 186-195.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3.186 

  19. Kim, S. H. (2010).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225-235.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225 

  20. Kim, S. K., Kim, Y. K., Cho, O. J., Kim, H. R., & Lim, S. O. (2009).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2009-33).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 Lee, H. S., & Lim, J. H.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Seoul: JypHyunJae Publishing Co. 

  22. Lee, S. J., Seo, J. W., Park, J. O., Shin, J. H., Lee, H. R., Chung, J. T., et al. (1997). A surve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failure of breast-feeding the nutritional committee of the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40(10), 1336-1346. 

  23. Manganaro, R., Marseglia, L., Mami, C., Paolata, A., Gargano, R., Mondello, M., et al. (2009). Effects of hospital policies and practices on initiation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5(1), 106-111.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8.00899.x 

  24. Mulder, P. J., & Johnson, T. S. (2010). The beginning breastfeeding survey: Measuring mothers' perceptions of breastfeeding effectiveness during the postpartum hospitalizatio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33(4), 329-344. http://dx.doi.org/10.1002/nur.20384 

  25. Nam, E. S. (1994).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breastfeed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nsei University, Seoul. 

  26. Overfield, M. L., Ryan, C. A., Spangler, A., & Tully, M. R. (2005). Clinical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exclusive breastfeeding (2nd ed.). Raleigh, NC: International Lactation Consultant Association. 

  27. Park, J. H., Park, Y. G., Jun, H. R., Park, S. W., Lee, J. Y., Hwang, S. G., et al. (1999). Impact of delivery method and feeding supervision on breastfeed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3(1), 7-21. 

  28. Semenic, S., Loiselle, C., & Gottlieb, L. (2008). Predictors of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among first-time mother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31(5), 428-441. http://dx.doi.org/10.1002/nur.20275 

  29. Song, J. E., Chang, S. B., & Kim, S. (2008). Childcare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and postpartum fatigue between women who used and not used sanhujori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2(1), 33-46. 

  30.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2006). The Korea Committee for UNICEF annual report 2005. Seoul: Author. 

  31.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10). The health benefits of breastfeeding. Retrieved January 17, 2012, from http://www.healthcare.gov/news/factsheets/2010/12/breastfeeding.html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Exclusive breastfeeding. Retrieved January 10, 2012, from http://www.who.int/nutrition/topics/exclusive_breastfeeding/en/ 

  33. Yeo, J. H. (2005).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2), 142-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