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및 출산 여성의 요실금 및 대변실금 예방을 위한 케겔운동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Effect of Kegel Exercise to Prevent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in Antenatal and Postnatal Women: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420 - 430  

박성희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강창범 (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개발팀) ,  장선영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  김보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to determine whether intensive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uring pregnancy and after delivery could prevent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of low-risk obstetric populations who had done Kegel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결과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임부 및 출산여성을 대상으로 요실금 및 대변실금의 효과에 대해 확인하고, 요실금 예방의 중재방안으로서 케겔운동의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신 및 출산여성에게 시행한 케겔운동이 요실금 및 대변실금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케겔운동이 임신 및 출산여성의 요실금과 대변실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14편의 RCT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총 6,454명의 연구 대상자 특성과 측정시점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간호중재로서 케겔운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RCT 문헌만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요실금의 비수술적 치료로 골반저근을 강화시키는 방법은 질콘이나 바이오피드백 및 전기자극요법 등을 병용하기보다는 케겔운동 단독치료가 가장 기본으로 요실금 증상의 호전과 치료를 기대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합당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Hong, 1997; Wall& Davidson, 1992), 이는 주로 간호사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안전한 간호중재 중 하나이므로 RCT 연구를 통합한 메타분석으로 가장 높은 강도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간호사들이 이미 오래 전부터 교과서를 통해 배운 케겔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올바른 효과를 확인하고 임상 실무에서 자신감있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근거와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 중 보존요법이 주로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중 보존요법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발생한 요실금에서 통상적으로 약물 및 수술요법보다 우선 수행된다. 일부 약물의 경우 임신과 수유 기간 중 금기사항에 해당되고, 수술은 항문 괄약근의 파열 등과 같이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적응증이 되지않기 때문이다(Boyle, Hay-Smith, Cody, & Møkved, 2012). 보존요법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골반저근운동(pelvic floor muscle training)이며, 골반저근운동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중재는 1948년 케겔 박사(Dr.
요실금 및 대변실금이란 무엇인가? 소변이나 대변의 불수의적인 배출이 사회적 활동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배뇨 및 배변 이상의 제증상군으로 정의되는 (Hwang et al., 1998) 요실금 및 대변실금은 생명에 위협을 주는 심각한 상태는 아니지만 사회 심리적으로 많은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질환이다.
임신은 요실금과 대변실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임신 시 자궁의 증대와 아울러 태아의 머리가 음부신경을 압박하거나 분만 시 골반저의 근막, 인대나 신경 및 근육의 손상이 발생하면 외항문 괄약근과 골반저 근육의 신경지배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요실금 및 대변실금이 발생하게 된다(Lemos, de Souza, Ferreira, Figueiroa, & Cabral-Filho, 2008; Møkved, Bø, Schei, & Salvesen, 2003). 일반적으로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요실금의 유병률은 20-30%, 대변실금은 3-5% 정도로 알려져 있다(Glazener, Herbison MacArthur, Grant, & Wilso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o, K., & Haakstad, L. A. (2011). Is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effective when taught in a general fitness class in pregnanc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hysiotherapy, 97(3), 190-195. http://dx.doi.org/10.1016/j.physio.2010.08.014 

  2. Boyle, R., Hay-Smith, E. J., Cody, J. D., & Mokved, S. (2012).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in antenatal and postnatal wom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CD007471.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471.pub2 

  3. Chiarelli, P., & Cockburn, J. (2002). Promoting urinary continence in women after delivery: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24(7348), 1241. 

  4. Chiarelli, P., Murphy, B., & Cockburn, J. (2004). Promoting urinary continence in postpartum women: 12-month follow-up data from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15(2), 99-105; discussion 105. http://dx.doi.org/10.1007/s00192-004-1119-y 

  5. Choi, J. B. (2010).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9), 661-671. http://dx.doi.org/10.4082/kjfm.2010.31.9.661 

  6. Choi, M. H., Kim, H. K., Kim, T. E., Lee, J. Y., Chung, D. Y., Shin, J. I., et al. (1995). The effects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8(9), 1572-1576. 

  7. Glazener, C. M., Herbison, G. P., MacArthur, C., Grant, A., & Wilson, P. D. (2005).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onservative management of postnatal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Six year follow up.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30(7487), 337. http://dx.doi.org/10.1136/bmj.38320.613461.82 

  8. Glazener, C. M., Herbison, G. P., Wilson, P. D., MacArthur, C., Lang, G. D., Gee, H., et al. (2001). Conservative management of persistent postnatal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23(7313), 593-596. 

  9. Hay-Smith, E. J., Bo Berghmans, L. C., Hendriks, H. J., de Bie, R. A., & van Waalwijk van Doorn, E. S. (2001).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for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1), CD001407.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1407 

  10. Higgins, J. P. T.,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Retrieved March 30, 2011, from www.cochrane-handbook.org 

  11. Hong, J. Y. (1997). The efficacy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n patients with genuine stress incontinence. Korean Journal of Urology, 38(6), 639-643. 

  12. Hwang, J. S., Park, T. H., Kim, D. K., Kang, M. A., Kim, S. M., Bae, C. S., et al. (1998). The prevalence of female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1(6), 1552-1559. 

  13. Jeong, N. O. (2009). Effects of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on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3), 177-185.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3.177 

  14. Kim, K. S., & Suh, M. J. (1997). A study on prevalence and its relating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1), 73-85. 

  15. Kim, S. Y., & Park, J. S. (2000). The effect of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2), 267-277. 

  16. Ko, P. C., Liang, C. C., Chang, S. D., Lee, J. T., Chao, A. S., & Cheng, P. J. (2011).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tenatal pelvic floor exercises to prevent and treat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2(1), 17-22. http://dx.doi.org/10.1007/s00192-010-1248-4 

  17. Lee, K. S., & Lee, Y. S. (2007). Pharmacological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11), 1025-1036. http://dx.doi.org/10.5124/jkma.2007.50.11.1025 

  18. Lemos, A., de Souza, A. I., Ferreira, A. L., Figueiroa, J. N., & Cabral-Filho, J. E. (2008). Do perineal exercises during pregnancy prevent the development of urinary incontinen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y, 15(10), 875-880. http://dx.doi.org/10.1111/j.1442-2042.2008.02145.x 

  19. Mokved, S., & Bo, K. (1997). The effect of postpartum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8(4), 217-222. 

  20. Mokved, S., & Bo, K. (2000). Effect of postpartum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A one-year follow up.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107(8), 1022-1028. 

  21. Mokved, S., Bo, K., Schei, B., & Salvesen, K. A. (2003).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uring pregnancy to prevent urinary incontinenc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101(2), 313-319. 

  22.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W264. 

  23. Mon, Y. J., Lim, H. S., Jung, J. E., Cho, H. H., Kim, M. R., Lew, Y. O., et al. (2007).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normal vaginal deliveries to the function of low urogenital system.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0(4), 638-644. 

  24. Reilly, E. T., Freeman, R. M., Waterfield, M. R., Waterfield, A. E., Steggles, P., & Pedlar, F. (2002). Prevention of postpartum stress incontinence in primigravidae with increased bladder neck mobilit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ntenatal pelvic floor exercises.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109(1), 68-76. 

  25. Sampselle, C. M. (2000). Behavioral intervention for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Evidence for practic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45(2), 94-103. 

  26. Sleep, J., & Grant, A. (1987). Pelvic floor exercises in postnatal care. Midwifery, 3(4), 158-164. 

  27. Taskin, O., Wheeler, J. M., Yalcinoglu, A. I., & Coksenim, S. (1996). The effects of episiotomy and kegel exercises on postpartum pelvic relaxation: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Journal of Gynecologic Surgery, 12(2), 123-127. 

  28. Thomason, A. D., Miller, J. M., & Delancey, J. O. (2007).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during and after pregnancy in continent and incontinent primiparas.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18(2), 147-151. http://dx.doi.org/10.1007/s00192-006-0124-8 

  29. Wall, L. L., & Davidson, T. G. (1992). The role of muscular re-education by physic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genuin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Obstetrical and Gynecological Survey, 47(5), 322-331. 

  30. Wilson, P. D., & Herbison, G. P. (1998).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elvic floor muscle exercise sto treat, postnatal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9(5), 257-264. 

  31. Woldringh, C., van den Wijngaart, M., Albers-Heitner, P., Lycklama a Nijeholt, A. A., & Lagro-Janssen, T. (2007).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is not effective in women with UI in pregnanc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18(4), 383-390. http://dx.doi.org/10.1007/s00192-006-0175-x 

  32. Yoo, E. H. (2006). Pelvic floor muscle rehabilit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9), 1838-1843. 

  33. Yoo, Y. J., & Lee, E. J. (1999). A study on the nursing needs and satosfactions of early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5(3), 389-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