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균성분의 지속력에 대한 인체적용 시험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Residual Effectiveness of Antibacterial Agen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9 no.2, 2013년, pp.133 - 140  

최서희 ((주)엘리드) ,  김현주 ((주)엘리드) ,  이범천 ((주)엘리드) ,  문태기 ((주)엘리드) ,  김남수 ((주)엘리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균비누에 흔히 사용되는 항균성분인 PCMX와 IPMP에 대하여 ASTM E2752-10 (Standard Guide for Evaluation of Residual Effectiveness of Anti- bacterial Personal Cleansing Products)에 기술된 cup scrub method에 따라 항균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건강한 남녀 총 8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5% PCMX와 0.1% IPMP를 함유한 액체비누는 대조군에 비해서 E. coli와 S. aureus의 수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27시간 동안 항균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성분의 지속력에 대한 인체적용 시험은 국내에서는 처음 시행된 것으로 결과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n vivo study via ASTM E2752-10, cup scrub method, was performed to evaluated the residual effectiveness of PCMX and IPMP commonly used in antibacterial soap. The liquid soap having 5% of PCMX and 0.1% of IPM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E. coli and S. aurues as compar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9]에 의해 2001년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2752-10의 cup scrub 적용 방법을 이용하여 흔히 사용되는 항균 물질인 PCMX, IPMP가 함유된 액체 비누의 항균 지속력 효과를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항균물질이 함유된 액체비누의 사용이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성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를 항균 지속력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생활에서의 비누, 혹은 세정제의 사용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직접적으로 피부에 병변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식품위생에서 중요한 오염의 지표가 될 수 있다[10]. 세균에 의한 감염이 일어나기 전 단계, 즉, 일상생활에서의 비누, 혹은 세정제의 사용은 피부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포도상 구균 같은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고, 음식물 오염이나 수인성 전염병의 지표인 대장균을 차단하기 위한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11]. 콜레라 같은 수인성 전염병의 예방뿐 아니라, 신종 플루, 조류 인플루엔자 같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질환의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서도 비누로 자주 손을 씻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보다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세정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항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항균 물질을 첨가한 항균 비누가 최근 다양하게 출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세균에 의한 감염이 일어나기 전 단계, 즉, 일상생활에서의 비누, 혹은 세정제의 사용은 피부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포도상 구균 같은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고, 음식물 오염이나 수인성 전염병의 지표인 대장균을 차단하기 위한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11]. 콜레라 같은 수인성 전염병의 예방뿐 아니라, 신종 플루, 조류 인플루엔자 같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질환의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서도 비누로 자주 손을 씻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보다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세정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항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항균 물질을 첨가한 항균 비누들이 최근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12-21].
일반적으로 세정제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는가? 일반적으로 세정제의 항균효과를 측정하는 위해서는 피부에 특정 세균을 도포하고 세정제로 세척하여 세균이 얼마나 감소되는가를 측정,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22-26].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가장 큰 한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세정제의 항균력이 실제로 피부에서 얼마나 지속되는지, 즉, 얼마나 오랫동안 항균성분이 피부에 남아서 세균이 성장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 C. Hadaway, Skin Flora and Infection, J. Infus. Nurs., 26(1), 44 (2003). 

  2. C. Bangert, P. M. Brunner, and G. Stingl, Immune functions of the skin, Clin. Dermatol., 29(4), 360 (2011). 

  3. F. P. Downes,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 ed. K. Ito,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Press, Washington, D. C. (2001). 

  4. J. G. Holt, N. R. Krieg, P. H. A. Sneath, J. T. Staley, and S. T. Williams,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 D. (1994). 

  5. K. A. N. Messingham, D. E. Faunce, and E. J. Kovacs, Alcohol, injury, and cellular immunity, Alcohol., 28(3), 137 (2002). 

  6. G. Germann, U. Barthold, R. Lefering, T. Raff, and B. Gartmann, The impact of risk factors and pre-existing conditions on the mortality of burn patients and the precision of predictive admission scoring system, Burns., 23(3), 195 (1997). 

  7. D. E. Faunce, M. S. Gregory, and E. J. Kovacs, Effects of acute ethanol exposure on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a murine model of thermal injury, J. Leukoc. Biol., 62(6), 733 (1997). 

  8. S. N. Cohen, Skin Microbiology: Relevance to Clinical Infection, eds. H. I. Maibach and R. Aly, 329, Spinger-Vetlag, New York (1981). 

  9. W. C. Noble, The Skin Microflora and Microbial Skin Disease, ed. W. C. Noble, 1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 K. (1992). 

  10. Y. K. Park, G. Y. Jeong, M. H. Kim, J. A. Kim, and H. S. Kim, Characterization of coliform group isolates from drinking water, Rep. Busan Inst. Health & Environ., 14(1), 5 (2004). 

  11. C. S. Park, G. S. Park, and M. L. Kim, Effect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196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Soc. Food., 13, 440 (1997). 

  12. G. Kampf and A. Kramer, Epidemiologic background of hand hygiene and evaluation of the most important agents for scrubs and rubs, Clin. Microbiol. Rev., 17(4), 863 (2004). 

  13. A. E. Aiello and E. Larson, Antibacterial cleansing and hygiene products as an emerging risk factor for antibiotic resistance in the community, Lancet Infect. Dis., 3(8), 501 (2003). 

  14. S. B. Levy, Antibacterial household products: cause for concern, Emerg. Infect. Dis., 7(3), 512 (2001). 

  15. A. D. Russell, Mechanisms of bacterial insusceptibility to biocides, Am. J. Infect. Control., 29(4), 259 (2001). 

  16. C. A. Bartzokas, J. E. Corkill, and T. Makin, Evaluation of the skin disinfecting activity and cumulative effect of chlohexidine and triclosan handwash preparations on hands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Serratia marcescens, Infect. Control., 8(4), 163 (1987). 

  17. S. Luby, M. Agboatwalla, B. M. Schnell, R. M. Hoekstra, M. H. Rahbar, and B. M. Keswick, The effect of antibacterial soap on impetigo incidence, Karachi, Pakistan, Am. J. Top Med. Hyg., 67(4), 430 (2002). 

  18. E. E. Sickbert-Bennett, D. J. Weber, M. F. Gergen- Teague, M. D. Sobsey, G. P. Samsa, and W. A. Rutala, Comparative efficacy of hand hygiene agents in the reduction of bacteria and virus, Am. J. Infect. Control., 33(2), 67 (2005). 

  19. M. Braoudaki and A. C. Hilton, Low level of cross-resistance between triclosan and antibiotics in Escherichia coli K-12 and E. coli O55 compared to E. coli O157, FEMS Microbiol. Lett., 235(2), 305 (2004). 

  20. M. Braoudaki and A. C. Hilton, Adaptive resistance to biocides in Salmonella enterica and Escherichia coli O157 and cross-resistance to antimicrobial agents, J. Clin. Microbiol., 42(1), 73 (2004). 

  21. M. T. Suller and A. D. Russell, Triclosan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J. Antimicrob. Chemother., 46(1), 11 (2000). 

  22. J. J. Leyden and A. M. Kligman, Safety and Efficacy of Topical Drugs and Cosmetics, eds. J. J. Leyden and A. M. Kligman, 289, Grune & Stratton, New York (1982). 

  23. R. N. Michaud, M. B. McGrath, and W. A. Goss, Application of a gloved hand model for multiparameter measurements of skin-degerming activity, J. Clin. Microbiol., 3(4), 406 (1976). 

  24. M. Roter, W. Kobler, and G. Wewalka, Pr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gluconate containing detergents for disinfection of hands, J. Hosp. Infect., 2(3), 273 (1981). 

  25. J. L. Fuls, N. D. Rodgers, G. E. Fischler, J. M. Howard, M. Patel, P. L. Weidner, and M. H. Duran, Alternative hand contamination technique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antimicrobial and nonantimicrobial soaps under different test conditions, Appl. Environ. Microbiol., 74(12), 3739 (2008). 

  26. M. Rotter, S. sattar, S. Dharan, B. Allegranzi, E. Mathai, and D. Pittet, Method to evaluated the microbicidal activities of hand-rub and hand-wash agents, J. Hosp. Infect., 73(3), 191 (2009). 

  27. R. Aly and H. I. Maibach, In vivo methods for test ing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J. Soc. Cosmet. Chem., 32, 317 (1981). 

  28. M. B. Finkey, N. C. Corbin, J. B. Aust, R. Aly, and H. I. Maibach, In vivo effect antimicrobial soap bars containing 1.5% and 0.8% trichlorocarbanilide against two strains of pathogenic bacteria, J. Soc. Cosmet. Chem., 35, 351 (1984). 

  29. W. L. Billhimer, C. A. Berge, J. S. Englehart, G. Y. Rains, and B. H. Keswick, A modified cup scrub method for assessing the antibacterial substantivity of personal cleansing products, J. Cosmet. Sic., 53(6), 369 (2001). 

  30. M. Burton, E. Cobb, P. Donachie, G. Judah, V. Curtis, and W.P. Schmidt, The effect of handwashing with water or soap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hand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8(1), 9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