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어린이 횡단행태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Children's Crossing Behaviors on Non-signalized Crosswalk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3, 2013년, pp.19 - 32  

이덕환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  이윤석 (국토연구원 지역연구본부) ,  김원호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  이백진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교통안전 정책에서 간과되어온 어린이 보행자 횡단행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어린이 횡단행태 분석은 물리적 형태와 사고발생빈도가 상이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횡단행태 및 패턴의 차이를 비교하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자료는 경기도 7개 초등학교 비신호 횡단보도를 대상으로 현장관찰과 비디오 녹화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통계분석, CHAID 알고리즘 분석, 통행 패턴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고발생 빈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횡단특성은 대기유무, 주의유무, 특이행동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고발생빈도가 낮은 지점에서 대기후 횡단하는 비율이 69.1%인 반면, 사고다발지점에서 대기를 하지 않고 횡단하는 경우가 83.6%로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횡단 전 대기 및 주의 정도는 횡단 시작부 보도폭이 넓고 학교 출구에서 횡단보도까지 거리가 일정규모 이상일 때 높게 나타났다. 한편, 횡단패턴과 사고발생빈도의 관계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개선을 위해서는 대기 후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 횡단특성에 기반한 차별화된 맞춤형 접근이 긴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rossing behavior on crosswalk in school zones. It considers accident occurrence and physical form of school zones. Seven elementary school zones were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by field observation and video recording, statistical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횡단행태 특성을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실제 어린이 횡단행태 특성에 관한 조사기법과 조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조사기법과 분석방법론은 향후 관련 연구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과 감소를 위한 현재의 정책(제도)이 앞으로 보다 나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통사고 피해자가 되는 어린이의 횡단행태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교통안전 안전대책 수립으로 이어지는 개념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가 실제 비신호 횡단보도를 건널 때 관측되는 횡단행태 자료를 기반으로 횡단이 발생하는 행태학적 측면에서의 어린이 교통안전 위험요인들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실효성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환경 구축을 위해 현장 실증자료를 기반으로 어린이 통행행태가 물리적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위험상황발생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에 대한 기초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 보호구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범위를 반경 500m로 확대하거나, 면적(Areal) 단위의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서울시 아마존 사업) 등을 통해 기존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 보호구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우선하여 무엇보다 실질적인 어린이 통행특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러한 통행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은 무엇이며,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등에 관하여 먼저 파악하고 접근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정작 어린이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오히려 어린이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가장 큰 이유는 어린이 보호구역 관련 정책이 상대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의 주인인 어린이보다 차량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어린이 보행자의 관점에서 그들의 행동방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특정구간에 한정된 요소(component) 중심의 제한적인 접근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라고 할수 있다(Seo et al, 2012).
2010년 기준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개선된 이유는 무엇인가? 1명으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8개 회원국들 중 최하위였다. 하지만,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1995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2003-2012)’ 등 다양한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에 따라 2010년 기준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0만 명당 1.9명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C. H., Lee B. J., Bin M. Y. (2010), A Contextual Study of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Use Behavior in Daily Activity, J. Korean Soc. Transp., Vol.28, No.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9-30. 

  2. Dunbar G., Lewis V., Hill R. (2002), Parent-child Interaction and road behaviour: An exploratory stud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Vol.20, No.4, pp.601-622. 

  3.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on road safety, Pergamon. 

  4. Hwang D. C., Choi B. S. (2011),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Behavioral Index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Road Engineers, Vol.13, No.4,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pp.187-198. 

  5. Jang D. M., Lee B. C., Kim Y. J. (1998), A Study on Pedestrian Signal Warrants at Urbanized Area, J. Korean Soc. Transp., Vol.16, No.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58-72. 

  6. Jin H. J. (2010), Analysis for Consumer Group Using Decision Tree Model: Focus on Tangerine Consumption, J. Korean Agri. and Economics, Vol.51, No.1. 

  7. Ju H. S., Lee M. (2010), The Effectiveness of a Participatory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J.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7, No.1, pp.49-60. 

  8. Kang S. C., Kim M. B. (2010), The Effect Analysis of Children Traffic Park Education, Road Traffic Authority, Vol.29. 

  9. Kass G. S. (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s Statistics. 

  10. Kim J. G., Sagong M., Lee J. S., Lee Y. J. (2006), A Study on the Effective Selection of Tunnel Reinforcement Methods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 J. Korean Soc. Civil Engineers, Vol.26, No.4, pp.255-264 

  11. Kim J., Park J. J., Park K. W., Park S. Y., Kim J. H. (2008), New Methodology about the Criteria for Appointing School Zones, J. Korean Soc. Transp., Vol.26, No.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29-40. 

  12. Kim K. W., Kim D. H., Lee I. S., Lee D. W. (2009), Building a Model to Estimate Pedestrians' Critical Lag on Crosswalk, J. Korean Soc. Civil Engineers, Vol.29, No.1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33-40. 

  13. Kim W. S. (2010), A Study on Factors of Education's Outcome using Decision Trees,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13, No.4, pp.51-59. 

  14. Kim Y. S., Kang D. S., Park J. T., Lee S. B. (2010), Effect of All-Red Clearance Interval on Intersection Right-Angle Crashes, J. Korean Soc Transp., Vol.28, No.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97-105. 

  15. Kum K. J. (1999), A Characterizes to Secure the Safety of Traffic in the School Zon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Korean Soc. Civil Engineers, Vol.19, No.3-1,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27-35. 

  16. Kweon S. S., Shim M. H. (2005), An Epidemiological Study for Child pedestrian Traffic Injuries that Occurred in School-zone, J. Korean Soc. Preventive Medicine, Vol.38, No.2,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p.163-169. 

  17. Lee D. H. (2005), A Development of Safety Prediction Models for Moving Behavior of Crosswalk Pedestrians, J. Korean Soc. Civil Engineers, Vol.25, No.3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439-445. 

  18. Lee S. B., Jeong D. Y., Kim D. K. (2008), The Effects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Transp., Vol.26, No.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09-117. 

  19. NZ Transport Agency (2009), Kea Crossing: School crossing points, Factsheets 26, New Zealand Land Transport, from the world Wide Web. 

  20. NZ Transport Agency (2011), Benefit of New and improved pedestrian facilities-before and after studies. 

  21. Park J. Y., Kim D. G. (2010),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Speed Violation in School Zones, J. Korean Soc. Road Engineers, Vol.12, No.2,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pp.63-69. 

  22. Park S. H., Kim S. S., Hwang H. S. (2011), Understanding and Utilizing advance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Free Academy Book. 

  23. Park S. H., Oh I. K. (2012), Segmenting Silver Markets with Their Dining-Out Behavior, The Tourism Sciences Soc. Korea, Vol.36, No.4,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p.18. 

  24. Richard J. R., Michael W. G. (2007), Data Mining: A Tutorial-Based Primer, Pearson Education Book. 

  25. Road Traffic Authority (2011), Comparison of OECD Countries Traffic Accidents. 

  26. Samsung Traffic Safety Culture Research Institute (2008), Effective Classification and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Zone. 

  27. Seo M. H., Lee Y. S. (2012), Creating People -centered Streets for Everyone: Cases of Complete Streets in the USA, KRIHS Policy Brief, Vol.397,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8. Simpson G., Johnston L., Richardson M. (2003), An investigation of road crossing in a virtual environmen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5, No.5, pp.787-796. 

  29. So Y., Moon K., Oah S. , Lee Y. (200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Prompt on Safe Behavior of Children at Crosswalk, J. Korea Data Analysis Soc., Vol.10, No.3, pp.1387-1399. 

  30. Veysel Dogan Akgul (2008), A Study on Children and School Pedestrians Safety in Urban Areas; A Case Study From Norrkoping City, Sweden. 

  31. Yang J., Deng W., Wang J., Li Q., Wang Z. (2006), Modeling pedestrians' road crossing behavior in traffic system micro-simulation in China, Transport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