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School Zones Study to identify the key influencing factor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9 no.2 = no.82, 2017년, pp.167 - 174  

박시내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형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mplementation of a school zone traffic safety improvement project on the number of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these zones. METHODS :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zone traffic safety features of roads in the zone and the num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각각의 어린이사고 발생확률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에 따라 어린이사고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시 고려되는 도로교통환경 또는 안전시설물과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사고 발생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위계와 도로교통 특성이 다른 어린이보호구역내 도로를 분할하여 블록내부와 중로 이상 도로들로 구분하여 모형을 각각 구축하였으며, 구축 결과 각 도로교통 환경에 따라 어린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자가 다르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어린이사고 발생유무와 앞서 제시한 설명변수들과의 영향관계를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 변수를 채택하여 모형에 투입하고자 하였다. 이는 모형 구축 시 최소의 독립변수를 채택하여 적합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박규영, 2006).
  • 분석 시기존에 다수의 문헌이 어린이보호구역 지점들을 대상으로 했던 내용과는 다르게, 보호구역내 도로를 각 특성의 연속성을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 분할된 도로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사고와의 영향 관계에 있는 도로교통환경 및 교통안전시설물을 각 영향도의 크기에 따라 비교해보고자 한다.
  • 기존에는 어린이보호구역내 도로교통환경 및 안전시설물에 대한 속도저감효과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속도저감효과에 따라 어린이사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들이 존재하였으나, 직접적으로 어린이사고와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시 고려되는 도로교통환경 및 안전시설물을 중심으로 어린이사고와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시 주로 설치 또는 개선의 대상이 되는 어린이보호구역내 도로교통환경과 교통안전시설물 중 어린이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분석 시기존에 다수의 문헌이 어린이보호구역 지점들을 대상으로 했던 내용과는 다르게, 보호구역내 도로를 각 특성의 연속성을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 분할된 도로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이란?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지정된 어린이보호구역에 제한속도 설정, 보도폭 확보 등의 도로교통환경에 대한 개선과 표지판, 방호울타리 등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최근에는 국민안전처의「어린이·노인·장애인보호구역 통합지침(2015)」에 따라 노인보호구역 및 장애인보호구역과 통합된 관리 지침에 따라 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은 어린이교통사고 감소에 있어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왔다.
어린이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노력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위와 같은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교통안전 강화 활동뿐 아니라 어린이보호구역내 옐로 카펫 지원, LED 속도표출 표지판 지원, 어린이보호구역 정비 표준모델을 마련(MPSS, 2016)하는 등 어린이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다방면의 많은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블록내부가 어린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자는? 우선 블록내부의 경우 과속방지턱 유무, 최소 보도폭 확보 유무, 고원식횡단보도 유무가 어린이사고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선정된 변수들은 차량 통행속도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들 위주로 선정되었으며, 특히 차량에 물리적으로 영향을 주는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Saerona, Kim M.J., Oh C., Lee K.Y. (2013), Effects of Weather and Traffic Conditions on Truck Accident Severity on Freeway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 1105-1113. 

  2. Data Solution Consulting Team(2007), SPSS Statistics Regression Analysis, Data Solotion, Korea. 

  3. Dilum Dissanayakea, J. Aryaija, D.M. Priyantha Wedagama (2009), Modelling the effects of land use and temporal factors on child pedestrian casualt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1, 1016-1024. 

  4. Jung Doyoung, Kim D.K., Lee S.B. (2008), An Evaluation of the Crash Reduction Effects of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s, Seoul City Research, 9(1), 1-13. 

  5. Kim Taeho, Kim D.K., Lee S.B. (2013), An Influence of Safety on Elementary School Road by Typ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8(5), 71-77. 

  6. Lee Hoonyoung (2010), Research Methodology, ChungRam, Korea. 

  7. Lee Howon, Joo D.H., Hyun C.S., Kim D.H., Park B.H., Lee C.K.(2012), An Analysis of Effects of Travel Speed Using the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s, Journal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11(3), 124-132 

  8. Lee Ilhyun (2014), EasyFlow Regression Analysis, HanNaRae, Korea. 

  9. Lesley Strawderman, M. M. Rahman, Y. Huang, A. Nandi (2015), Driver behavior and accident frequency in school zones: Assessing the impact of sign saturation,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82, 118-125. 

  10. Lina Kattan, R. Tay, S. Acharjee (2011), Managing speed at school and playground zon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3, 1887-1891.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Inclusive School.Silver.andicap Zone Action Plans. 

  1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Standard School Zone Maintenance Model. 

  13.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09), Evaluation of Improvement of Local Road Structure Project. 

  14. NHTSA (2006), Demonstr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in School Zones in Portland, Oregon. 

  15. Nurul Hidayatia, R. Liu, F. Montgomery (2012), The Impact of School Safety Zone and Roadside Activities on Speed Behaviour: the Indonesian Cas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4, 1339-1349 

  16. Park Jaeyoung, Kim D.K. (2010),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Speed Violation in School Zone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2(2), 63-69. 

  17. Park Jeongsoon, Kim J.H., Hyun C.S., Joo D.H. (2016), Analysis of Speeding Characteristics Using Data from Red Light and Speed Enforcement Camera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34(1), 29-42. 

  18. Park Jongsun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Pedestrian Accidents in Urban Area, Master's Degree thesis, University of Seoul. 

  19. Park Kyuyung, Lee S.B. (2006),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using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24(4), 55-65. 

  20. Xiaohua Zhaoa, J. Lia, H. Ding, G.Zhang, J. Rong (2015), A generic approach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control devices in school zon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82, 134-142. 

  21. Yoo Jineun (2013), The Goodness-of-fit of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Continuous Covariates through Hosmer-Lemeshow Statistic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7(3), 579-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