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잡통행료와 대중교통 보조금의 효용개선 원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Welfare Gain Achieved by Congestion Pricing and Transit Subsidi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3, 2013년, pp.74 - 85  

이혁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  유상균 (대진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효과를 일반균형조건을 충족하는 공간모형에서 비교하고 이들이 발생시키는 후생개선 효과를 분해한 후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Anas and Kim (1996)를 기원으로 구축된 확률균형모형에 수단선택 조건을 추가한 후,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가 제안하는 연구방법론을 응용하여 후생개선 효과를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중 입지요인과 수단요인으로 구분하여 관찰한다. 최선의 정책수단(First-best pricing)에 대한 혼잡통행료 부과 또는 보조금 지급의 상대적 효율성은 혼잡통행료 부과의 경우가 보조금 지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후생개선 효과의 분해를 통해 이들 효과의 대부분은 수단요인에 의해 달성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대중교통 보조금의 지급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장거리 대중교통 분담률을 더욱 증가시키고, 이러한 현상은 혼잡통행료 징수에 비하여 입지요인으로 인한 더욱 많은 후생감소 효과를 유발하여 후생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원인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보조금 지급이 도심 내 과다한 통과교통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 the efficiency of congestion pricings and transit subsidies in the spatial micro-economic model based on a general equilibrium environment. In this setting, we decompose the total welfare change into component factors and identify the reason of the change in the efficiency caused by po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균형조건을 만족하는 가구의 주거지-직장 쌍 선택과 수단선택이 가능한 도시공간모형을 구축한 후, 분석적 전개와 수치해석법을 통해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수준을 측정하고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규명토록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제한적 논의를 확대하며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교통부문에 수단선택 조건과 시간의 외부비용 만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모형은 UrbanSim와 TRANUS 등과 같은 계획지원용 기술적 모형(記述的 模型)과 교통계획에서 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모형에 비하여 유연성과 현실관찰력이 떨어진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효과를 일반균형조건을 충족하는 공간모형에서 비교하고 이들이 발생시키는 후생개선 효과를 요인별로 분해한 후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부분균형 상태를 전제로 비공간모형을 이용하거나 직관적인 설명을 위해 도식적 풀이법을 이용한 바, 정책수단 시행으로 인한 시장가격, 수단분담율, 그리고 가구의 주거지-직장 쌍의 입지변화로 인한 후생변화를 구분하고 명시적으로 측정하지는 못하고 있다.
  •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은 (#ij)가 매우 작아 시장가격 벡터(ri, wi, pi)에 의한 간접효과가 0에 근사함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단순성과 가독성을 높이고자 지대 ri를 제외한 가격벡터 (pi, wi)가 외생적으로 주어지도록 구성하였고 시장가격으로 인한 간접효과가 0에 근사하는 지는 수치해석을 통해 확인토록 한다.
  • 이에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은 이를 개선코자 수단선택이 제외된 간략한 확률균형모형을 대상으로 분석적 연구 방법론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분해코자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가 제안하는 연구방법론을 확장 및 응용토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의 경우 혼잡통행료는 어디에 부과되고 있는가 혼잡통행료는 서울의 경우 남산 1호, 3호 터널에 부과되고, 대중교통 보조금은 버스운송사업자를 대상으로 버스 유가보조금과 버스운송 사업에 대한 재정지원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들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실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출퇴근 시간대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Han 2007: 223).
혼잡통행료는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혼잡통행료는 Corridor 방식, 구역통행료, 진입통행료, 그리고 거리비례요금제 등으로 시행되고(Yu et al., 2009), 혼잡의 외부비용을 통행료로 징수하는 최선의 혼잡통행료(First-best pricing)인 피구세(Pigouvian tax)가 징수방식 간 효율성 비교를 위해 이론연구에서 등장한다.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효과를 일반균형조건을 충족하는 공간모형에서 비교하고 이들이 발생시키는 후생개선 효과를 분해한 후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규명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Anas and Kim (1996)를 기원으로 구축된 확률균형모형에 수단선택 조건을 추가한 후,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가 제안하는 연구방법론을 응용하여 후생개선 효과를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중 입지요인과 수단요인으로 구분하여 관찰한다. 최선의 정책수단(First-best pricing)에 대한 혼잡통행료 부과 또는 보조금 지급의 상대적 효율성은 혼잡통행료 부과의 경우가 보조금 지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후생개선 효과의 분해를 통해 이들 효과의 대부분은 수단요인에 의해 달성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대중교통 보조금의 지급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장거리 대중교통 분담률을 더욱 증가시키고, 이러한 현상은 혼잡통행료 징수에 비하여 입지요인으로 인한 더욱 많은 후생감소 효과를 유발하여 후생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원인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보조금 지급이 도심 내 과다한 통과교통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as A., Kim I. K. (1996), General Equilibrium Models of Polycentric Urban Land Use with Endogenous Congestion and Job Agglomer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40, pp.232-256. 

  2. Anas A., Rhee H. -J. (2006), Curbing Excess Sprawl with Congestion Tolls and Urban Boundaries,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36, pp.510-541. 

  3. Anas A., Rhee H. -J. (2007), When are Urban Growth Boundaries not Second-best Policies to Congestion Tolls?, Journal of Urban Economics 61, pp.263-286. 

  4. Arnott R. (2007), Congestion tolling with agglomeration externaliti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62, pp.187-203. 

  5. Basso L. J., Guevara A. C., Gschwender A., Fuster M. (2011), Congestion pricing, transit subsidies and dedicated bus lanes: Efficient and practical solutions to congestion, Transport Policy 18, pp.676-684. 

  6. Basso L. J., Jara-Diaz S. R. (2012), Integrating congestion pricing, transit subsidies and mode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46, No.6, pp.890-900. 

  7. Ben-Akiva M., Lerman S. R.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MIT Press. 

  8. Borck R., Wrede M. (2008), Commuting subsidies with two transport mdo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63, pp.841-848. 

  9. Downs A. (1962), The law of peak-hour expressway congestion, Traffic Quarterly 16, pp.393-409. Reprinted in Downs A. (1968), Urban problems and prospects, Markham: Chicago. 

  10. Han S. -Y. (2007), A Comparative Analysis on Transfer Effects to Public Transit by Regulatory and Incentive Systems, Journal of Regulation Studies, Vol.16, No.1, pp.221-254. 

  11. Han S. -Y., Lee S. W. (2006),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Subsidizing Commuting Cost for Public Transit User, J. Korean Soc. Transp., Vol.24, No.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59-72. 

  12. Karlaftis M., McCarthy P. (1998), Operating subsidies and Performance in Public Transit: An Empirical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2, pp.359-375. 

  13. Kim T. G., Ahn H. C., Kim S. G. (2009), Predictive Modeling of the bus arrival time on the arterial using real-time BIS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9, No.1D. 

  14. Kockelman K. M., Lemp J. D. (2011), Anticipating new-highway impacts: Opportunities for welfare analysis and credit-based congestion pric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45, pp.825-838. 

  15.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8), A study on Standard guidelines of Preliminary Feasibility Test for Road and Railroad projects. 

  16. Kraus M. (2012), Road pricing with optimal mass transit, Journal of Urban Economics, 72, pp.81-86. 

  17. Maruyama T., Harata N. (2006), Difference between area-based and cordon-based congestion pricing: investigation by trip-chain-based network equilibrium model with non-additive path cos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64, pp.1-8. 

  18. Maruyama T., Sumalee A. (2007), Efficiency and equity comparison of cordon-and area-based road pricing schemes using a trip-chain equilibrium model, Transportation Reaserch Part A 41, pp.655-671. 

  19.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07), The 2006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I, II, IV (2006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I, II, IV). 

  20.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도로용량편람), Republic of Korea. 

  21. Mogridge M. (1997), The self-defeating nature of urban road capacity policy: a review of theories, disputes and available evidence, Transport Policy, 4(1), pp.5-23. 

  22. Mohring H. (1972), Optimization and scale economies in urban bus transport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62, pp.591-604. 

  23. Mun S. -i., Konishi K. -j, Yoshikawa K. (2003), Optimal Cordon Pricing, Journal of Urban Economics 54, pp.21-38. 

  24. Mun S. -i., Konishi K. -j, Yoshikawa K. (2005), Optimal Cordon Pricing in Non-Monocentric C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9, pp.723-736. 

  25. Parry I. W. H., Bento A. M. (2001), Revenue Recycling and the Welfare Effects of Road Pricing,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103, pp.645-671. 

  26. Parry I. W. H., Small K. A. (2009), Should urban transit be reduced?, American Economic Review, 99, pp.700-724. 

  27. Rhee H. -J. (2012), Welfare Function of Theory-Based Spatial Equilibrium Models and Congestion Toll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47, No.4, pp.183-192. 

  28. Seoul city Transportation Headquarter (2007), 2006 Travel Speed of Motor Vehicle in Seoul (2006년도 서울시 차량통행속도). 

  2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7), 2006 Seoul statistical yearbook. 

  30. Thomson J. M. (1997), Great Cities and their Traffic, Gollancz, London. (Peregrine edition p.165). 

  31. Tisato P. (1998), Service unreliability and bus subsid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2, pp.423-436. 

  32. Tscharaktschiew S., Hirte G. (2012), Should subsidies to urban passenger transport be increased? A spatial CGE analysis for a German metropolitan are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6, pp.285-309. 

  33. Verhoef E. T. (2002), Second-best congestion pricing in general networks, Heuristic algorithms for finding second-best optimal toll levels and toll poin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6, pp.707-729. 

  34. Verhoef E. T. (2005), Second-best Congestion Pricing Schemes in the Monocentric City, Journal of Urban Economics 58, pp.367-388. 

  35. Vickrey W. (1980), Optimal transit subsidy policy, Transportation 9, pp.389-409. 

  36. Yu S. -g., Jung C. -M., Rhee H. -J. (2009), Comparison of Area pricing and Cordon pricing in General Equilibrium model, J. Korean Soc. Transp., Vol.27, No.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45-155. 

  37. Yu S. -g., Rhee H. J. (2011), A study of the welfare Function of a spatial Equilibrium Model and the Implication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46, No.4, pp.199-208. 

  38. Yu S. -g., Rhee H. -J., Kim H. -K. (2010), Development of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with Route Choice,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45, No.1, pp.1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