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 해석
An Interpretation of a Social Implication on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ark in Daegu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3, 2013년, pp.72 - 82  

이정연 (대구경북연구원)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1960년대에 도시계획법과 공원법이 제정되면서 법제도 내에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는 도시공원이 단지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만 인식되어 조성보다는 지정에만 급급하였다. 1970년대는 급격한 도시화와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에 주력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계획기간 내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는 연이는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로 인하여 도시미화를 위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으며, 도시민의 이용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적공간뿐만 아니라 동적시설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공원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표명 및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환경적 기능과 효과의 부각에 따라 도시공원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있어 근대적 의미의 도시공원 도입은 구한말부터이고, 본격적으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종합해 볼 때 대구에서 시민을 위한 '공용(共用)의 휴식처'라는 본연의 의미와 목적에 부합되는 도시공원의 개념이 완성된 것은 1990년대에 와서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for analyzing processes on the planning and opening of chronological urban parks in Daegu City since the 1960s, and for interpreting the social meaning on changes of the urban parks with regards to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at period. In the 1960s, urban parks, which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도시공원의 변천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그 배경이 된 시대상을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계획ㆍ개원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방도시의 도시공원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도시공원 조성에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도시공원의 변천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그 배경이 된 시대상을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계획ㆍ개원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방도시의 도시공원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도시공원 조성에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동대구로(東大邱路)가 개통되고, 동부지역이 주택단지로 개발됨에 따라 균형 있는 도시개발을 위해 1979년부터 범어 공원을 대단위 유희시설을 갖춘 어린이공원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범어공원은 1965년 2월 공원으로 지정된 곳으로서, 대구시는 당시 추진 중이던 어린이회관을 범어공원 내에 건립하기로 확정하고 1979년 12월에 기본계획을 완성하였다(그림 5 참조).
  • 본 연구는 각종 문헌자료 조사를 토대로 현지답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대구 도시공원의 발달과정을 당시의 사회상ㆍ시대상과 연관 지어 특성을 규명하였다. 우선 대구시사 및 공원계획서, 관보, 신문 등을 통해 대구의 공원계획 및 개원과정에 대한 시계열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 우선 대구시는 1970년 개발에 착수하여 1971년부터 본격적인 공원조성에 들어간 앞산공원에 대해서 1980년 12월에 새로운 10개년 계획을 수립, 조성계획을 재정비하여 도시자연공원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대구매일신문, 1981.2.3). 이미 개발된 1지구(큰골)를 제외하고, 2지구(고산골)에는 어린이유희 위주의 시설을 배치하고자 하였다.
  • 3). 이미 개발된 1지구(큰골)를 제외하고, 2지구(고산골)에는 어린이유희 위주의 시설을 배치하고자 하였다. 또한, 3지구(안지랑골ㆍ안일사와 송현동) 일대에는 교양ㆍ운동시설물을 조성하고, 4지구인 용두골에는 관광농원 등의 설치계획을 수립하였다.
  • 1980년대에는 생활수준과 의식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여가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도시민의 휴식과 레크리에이션 장소로 도시공원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었고, 1986년과 1988년 두 차례의 국제대회 개최에 대비하여 도시미화를 목표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대구시도 1970년대부터 추진된 앞산공원과 두류공원의 조성계획을 새롭게 수정하여 추진함과 동시에, 대구시의 균형개발을 고려하여 동부지역에 위치한 범어공원을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유희시설을 갖춘 대규모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60년대 대구시에서 유일한 공원은 무엇이었는가? 1960년대 이전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기 등을 거치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혼란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체계적인 공원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달성공원은 대구시 2) 에서 유일한 공원이었다.
대구시에서 시대에 따른 도시공원의 변천은 각각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1960년대에 도시계획법과 공원법이 제정되면서 법제도 내에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는 도시공원이 단지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만 인식되어 조성보다는 지정에만 급급하였다. 1970년대는 급격한 도시화와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에 주력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계획기간 내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는 연이는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로 인하여 도시미화를 위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으며, 도시민의 이용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적공간뿐만 아니라 동적시설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공원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표명 및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환경적 기능과 효과의 부각에 따라 도시공원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있어 근대적 의미의 도시공원 도입은 구한말부터이고, 본격적으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한국에 '공원'이라는 개념이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 있어 ‘공원’이라는 개념이 통용된 것은 1876년 개항 이후에 외국의 다양한 문물과 함께 공원에 대한 정보가 유입되면서 부터이다(강신용, 1995). 비록 공원이라는 것이 외국에서 도입된 것이긴 하지만, 도입 당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공원의 발달은 우리나라의 근ㆍ현대사와 함께 이루어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신용(1995)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도시출판 조경. pp.1-6. 

  2. 강신용(1995) 韓國における近代都市公園の受容と展開. 일본 경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덕삼(1990) 한국 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향자(1987) 도시공원 계획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대구광역시(1996) 중앙공원조성기본계획. p.43. 

  6. 대구광역시(1998) 공원.유원지 현황. pp.166-176. 

  7. 대구광역시 중구(1998) 경상감영사백년사. pp.801-808. 

  8. 대구매일신문. 1958-2013년 주요일자. 

  9. 대구시(1971) 앞산공원조성계획. 

  10. 대구시(1978) 봉무불로공원 조성계획. 

  11. 대구시(1979) 범어공원기본계획. 

  12. 대구시사편찬위원회(1995) 대구시사 제3권 산업.경제. pp.1120-1124. 

  13. 대구직할시(1982) 대구의 향기. pp.330-335. 

  14. 민주현(1994) 서울시 공원녹지 형성과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향토사교육연구회(1996) 대구역사기행. 도서출판 나랏말. pp.104-105. 

  16. Cranz, Galen(1995) The Politics of Park Design. The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