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공원조성예산 변동 추세 - 예산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Budget Trends related to Creation of Urban Park in Seoul - Focusing on Budgetary Document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3, 2020년, pp.1 - 11  

고하정 ((재)숲과나눔)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공원은 복잡하고 과밀한 도시에서 도시민들에게 생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가치가 있는 중요한 시설이자 공간이다. 하지만, 도시공원을 조성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의 의지와 실행이 필요하며, 특히 재정적인 부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도시공원 조성 관련 예산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울시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푸른도시국 및 공원 조성 예산은 2011년 이후 감소하였다. 민선시기별로 보면 공원조성이 주요 시책사업이었던 민선 1기, 3기, 4기에는 예산이 증가한 반면, 민선 6기 이후부터는 예산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시공원에 비해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공원은 예산이 10% 내외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산편성 특징인 공원별 연평균예산과 예산투입기간(연단위)을 기준으로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단년도 예산편성을 원칙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 여건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공원녹지는 단기적인 성과를 위한 사업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하는 만큼 지속적인 예산확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공원 관련 예산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연구대상을 푸른도시국 예산으로 한정하여 자치구 관할 공원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못한 한계가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parks are important spaces of ecological and socio-cultural value to citizens who lead busy lives in increasingly complex and densely populated megalopolises. However, creating and maintaining city parks takes the will of the authorities to put it into practice and provide the attendant fin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95년 이후 민선시장 25여년의 예산변화를 다룬 연구로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공원조성 예산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추후 다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서울시 예산서 기준의 푸른도시국의공원조성 관련 예산만 분석하여, 자치구에서 조성 및 관리운영 하는 공원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공원 조성 관련 예산편성현 황을 살펴보고, 민선시장 선출 이후 지난 25년간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 로는 법적분류, 관리주체 등 공원 기준을 세분화하여 예산편성비율을 살펴보고, 공원별 예산편성 특징을 도출을 통해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 또는 예산 분류기준 변동에 따라 특정 사업 항목이다른 항목으로 이관되는 경우도 있고, 사업명도 시책별로 구분 되다 보니 한 공원에 투입되는 비용이 여러 세부항목으로 나눠져서 편성 및 집행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어떤 공원에 어느 정도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었는지 검토하기 위해 공원별로 예산투입내역을 정리, 분석하였다. 공원별 예산분석을 위해서 시책과는 별도로 공원명칭을 기준으로 예산서에 기재된 예산액을 정리하였으며, 신규 공원 조성뿐만 아니라, 기존 공원의 재정비(재조성) 예산도 함께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nual Budget Data in Seoul, Seoul. 

  2. CABE. (2009).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The Real Value of Park Assets. Summary. CABE Space. 

  3. Chang, M. K.(1974) Review: Landscape architecture in green space of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 2049. 

  4. Choi, Y. H.(2006) Policy on gree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proceeding Papers 2006(1): 11. 

  5. Harnik, P.(2012) Urban Green: Innovative Parks for Resurgent Cities. Island Press. 

  6. Hwang, K. W.(1993) Review: Urbanscape and urban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3): 3117. 

  7. Kang, S. Y. and Y. H. Jang(2004) Korea Modern Urban Park History. 

  8. Kim, D. S.(1990) A Study on the Change of Korean Urban Park. Ph.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9. Kim, W. J. (2019) Plan for Improving the Park Management System, The Seoul Institute. 

  10. Kim, Y. G. and S. K. Cho(2019) Park-based Inclusive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11. Kim, Y.(1995) Special:Urban parks and citizens' lives: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urban parks in Korea, Urban Affairs 30(320): p. 9-20. 

  12. Konijnendijk, C. C., M. Annerstedt, A. B. Nielsen, and S. Maruthaveeran (2013) Benefits of urban parks: A systematic review. A report for IPFRA. IFPRA. 

  13. Minutes of the 290th Second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 Committee, Seoul Metropolitan Council. 

  14. Oh, C. S.(2018) Legal issues of urban parks as a reservation area in the initial legislation on urban parks in Korea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k act(1967-1980).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3): 3-116. 

  15.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History of Seoul II (2001). 

  16.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History of Seoul III (2013). 

  17. Park, I. J.(2002) A Study of the History of Parks System Transformation of Seoul, Korea, Ph.D. Thesis, Sangmyung University. 

  18. Yoo, B. R.(1978) Nature conservation and urban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and urban park policy, Urban Affairs 13(5): 32. 

  19. Yoon, H.(2013) Is a high-quality park worth the cost?: Hedonic analysis of housing market near the high line, New York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7): 135-1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